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5·16광장에서 여의도공원으로: 공간사의 관계적 재구성
  • 저자명|한승지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3
  • 담당교수|이상길

주제어

국문초록

이 연구는 5·16/여의도광장이 여의도공원으로 변화하기까지의 역사적 과정을 공간정치적 관점에서 분석한다. 5·16광장은 여의도 개발 당시 박정희 대통령의 직접 지시로 인해 조성되었고, 오랜 기간 국가 및 도시의 대표적인 관제 행사 공간으로 활용되었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공간에 부여되는 의미가 달라졌음에도 불구하고, 광장에서 벌어진 일련의 사건들은 정치권력의 역사로 환원되어 서술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5·16/여의도광장이 정치권력을 가시화하기에 적합한 스펙터클 공간으로 기능해 왔던 특수성 때문이다. 그러나 광장과 공원은 다양한 권력과 행위자들의 관계 속에서 사회-공간적 의미를 갱신해 왔다. 또한 광장의 공간정치적 의미가 탈색되어 시민들의 녹색 쉼터인 공원으로 재탄생한 과정은 결코 절대적인 권력 작용의 결과가 아니었다. 특정한 주체의 권력 행사에 한정된 공간의 의미화는 5·16/여의도광장과 여의도공원의 사회문화적 구성 과정에 관여한 사건 및 행위자들의 공간적 실천과 역사를 비가시화한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비판적 권력 이론과 사회-공간 이론의 관점에 입각하여 국가의 공간으로 이해되어 왔던 광장의 공간사를 관계적으로 재구성했다. 이를 통해 광장이라는 공간-시간과 결부된 권력‘들’의 층위와 공간적 실천을 수행한 사회영역 및 행위자 각급의 다중스케일적 구성 및 관계를 파악하고자 했다. 이러한 관점을 기반으로 이 연구는 광장과 공원을 다룬 당대 정부(들)의 공식 기록물, 비공식 기록물, 연구 자료, 신문 기사 등의 문헌을 검토했다. 문헌들의 검토와 재배치를 통해 규명하고자 설정한 질문은 다음의 세 가지이다. 첫째, 5·16/여의도광장은 어떠한 권력관계가 교차하는 공간이었는가? 둘째, 광장에서 교차하는 사회영역들은 무엇을 목표하고, 어떠한 방식으로 광장에 나타났는가? 셋째, 광장에서 교차하는 사회영역들과 행위자들은 어떠한 사회-공간적 의미를 만들어 냈는가? 그리고 그것이 광장의 공원화와 어떻게 연결되는가?
1987년 민주화 이전까지의 광장은 관제 행사, 종교 행사, 미디어 이벤트, 그리고 문화/여가 생활의 공간으로 활용되었다. 이 시기의 광장은 시민들이 비교적 자유롭게 문화/여가 생활을 누릴 수 있는 ‘일상-여가’의 차원과 ‘비일상-(관제)행사/이벤트’의 차원이 공존하는 권력관계의 각축장, 즉 ‘자유로서의 억압 공간’이었다. 당시 광장에 자유와 억압이라는 모순이 공존했던 까닭은 정치권력이 스스로와 긴밀하게 관계 맺은 사회영역들이 광장에서 드러날 수 있게끔, 정치적 암흑기에 시민들이 자유로운 방식으로 운집할 수 있게끔 허가하는 강력한 주체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1987년 도래한 민주화는 ‘자유로의 가능성’을 실험하는 공간, 동시에 분출하는 공간으로 여의도광장의 공간적 특수성을 바꾸어 놓았다. 1988년부터 1997년 공원화 착공 이전까지의 광장은 시민사회의 적극적인 정치적 실천으로 구성된 사회운동의 공간이었다. 사회운동의 주체로 등장한 농민과 노동자는 진보 성향을 띤 정치권력 및 언론권력과의 연합을 통해 대항 세력의 운동 진영을 구축했고, 광장에 배태되어 있던 기존의 정치적 성격을 전유했다. 이 과정에서 여의도광장은 시민의 정치적 의제 표현 장소로 새롭게 의미화되었다.
하지만 사회운동으로부터 추동된 시민-광장정치의 성격은 광장의 공원화로 인해 장기적으로 지속되지 못했다. 여의도공원은 광장에 부여되었던 집합적 연대 공간의 의미가 탈색되는 방식으로, 즉 광장에 기입되어 있던 사회-공간적 의미가 흐려지는 방식으로 탄생했다. 이에 이 연구는 여의도공원을 ‘망각으로서의 억압 공간’이라 명명한다. 물론 여의도광장의 공원화를 ‘특정 주체의 독단적 결정에 의한 결과’로 환원하여 해석할 수는 없다. 여의도광장/공원을 둘러싼 초국가-국가-도시-로컬 스케일의 행위자들이 각자의 이해관계에 기반해 여타/상위 스케일 행위자와 복합적인 관계를 맺고, 공원화 과정에 개입했기 때문이다. 여의도공원의 탄생은 다채로운 공간적 역동의 결과였다.
5·16광장에서 여의도공원으로의 변화 과정은 자유와 억압의 긴장 속에서 다양한 권력관계, 사회영역의 각축과 연대가 이어지는 과정과도 같았다. 이 연구는 5·16/여의도광장이 ‘누구의 것도 아니었음’을, 그러나 동시에 다양한 사회영역들이 첨예한 각축을 벌인 공간이었음을 드러냈다는 데 의의를 지닌다. 또한, 기존 여의도 공간사 연구에 부재했던 문화연구의 방법을 접합하여 총체적이고 관계적인 방식으로 5·16/여의도광장의 권력관계를 풀어내는 공간사 기술을 시도하고, 이를 통해 근현대의 세부적인 사회사적 맥락에 5·16/여의도광장이라는 사회-공간적 층위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기존 연구/작업의 한계를 극복했다는 의의를 지닌다.

영문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ical process of 5·16/Yeouido Square becoming Yeouido Park from a spatial-political perspective. Created under the direct order of President Park Chunghee during the development of Yeouido, 5·16 Square has long been utilized as a representative event space for national and city control. Despite the different meanings assigned to the space over time, the series of events that took place in the square have been reduced to a history of political power, as it served as a spectacle space specifically designed to make political power visible. However, the meaning of the space limited to the exercise of power by a particular actor is problematic in that it invisibilizes the spatial practices and histories of the events and actors involved in the socio-cultural construction of 5·16/Yeouido Square and Yeouido Park. The square and park have been spaces that continually renew their socio-spatial meanings through interactions between various powers and actors. The transformation of the square's spatial-political meaning, discolored and reborn as a park ― a green shelter for citizens ― was never solely influenced by a specific or absolute power.
Based on these questions, this study relationally reinterprets the spatial history of the square, which has been understood as a space of the state, from the perspective of critical power theory and socio-spatial theory. In doing so, it sought to identify the layers of power and the multi-scalar organization and relationship of the social sectors and actors who performed spatial practices in the space-time of the square. Based on this perspective, this study reviewed literature, including official government documents of the time, unofficial documents, research materials, and newspaper articles that focused on squares and parks. Through the review and reorganization of the literature, this study set out to answer three questions. First, what were the intersecting power relations in 5·16/Yeouido Square; second, what did the intersecting social sectors aim for and how did they manifest in the square; third, what kind of socio-spatial meanings did the intersecting social sectors and actors create in the square and how does it connect to the parkification of the square?
Prior to the democratization in 1987, the square was an axis of power relations where the dimensions of ‘daily life and leisure’ and ‘non-daily life and events’ coexisted, where citizens could enjoy their cultural and leisure life relatively freely, or ‘freedom as oppression’. The contradictions of freedom and repression coexisted in the square at that time because the political power was a powerful actor that allowed the social sectors that were closely related to itself to be visible in the square, and allowed citizens to assemble in a free manner during the political dark ages. However, the democratization in 1987 transformed Yeouido Square into a space of experimentation or eruption of the ‘possibilities of freedom’. From 1988 to 1997, before its parkification, the square was a space for social movements that consisted of active political action by civil society. This study found that farmers and workers, who emerged as the main actors of the social movement, established a movement camp of opposing forces through their alliance with the progressive political and media power, and appropriated the existing political character of the square. In this process, Yeouido Square was redefined as a place for the expression of citizens’ political agendas.
However, the nature of civic and square politics driven by social movements did not last long due to the parkification of the square, and Yeouido Park came to mean ‘a space of repression as oblivion’. This is because Yeouido Park was developed in such a way that the meaning of collective solidarity space given to the square was discolored, thus blurring the socio-spatial meaning written on the square. The spatial actors surrounding Yeouido Square/Park were involved in the process of parkification through complex and intricate relationships. This study traces the process of (multi-)scale actors, ranging from transnational, national, urban, and local, intervening in the parkification process through coalitions and angles with other/upper scale actors based on their own interests, resulting in the current Yeouido Park.
The process of space transformation from 5·16 Square to Yeouido Park was a process of various power relations, social sectors, and solidarity in the tension between freedom and oppres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reveals that 5·16/Yeouido Square ‘belonged to no one’, but at the same time, it was a space where various social sectors were at sharp odds. It is also significant that this study overca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research/work by attempting a spatial history technique that unravels the power relations of 5·16/Yeouido Square in a holistic and relational manner by combining the methods of cultural research, which were absent from existing spatial history studies of Yeouido Square, and inserting the socio-spatial layer of 5·16/Yeouido square into the detailed socio-historical context of the modern era.

비고 : MCS-2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