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몸된 자연으로서 제주 해녀의 바다: 신유물론을 통해 본 비인간 자연의 행위자성과 공-생하는 몸들
  • 저자명|최서현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3
  • 담당교수|이상길

주제어

제주, 해녀, 몸, 신유물론, 다종민족지학, 비인간 자연, 정동

국문초록

전세계적인 기후위기가 현 세기의 가장 큰 문제로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이 연구는 자연 가까이서 노동하는 이들이 경험한 것이 무엇이며, 이들은 이 변화 속에서 무엇을 느끼고 있는지를 묻기 위해 시작되었다. 국내에서 기후위기를 가장 빠르게 겪고 있는 지역 중 하나는 제주도로, 제주 바다의 수온은 지난 40년간 약 1.5℃ 가량 상승했으며, 동계 수온은 무려 3℃ 이상 상승했다. 이와 관련하여 바다의 변화를 직접 경험하는 해녀들은 바닷속이 말도 못하게 황폐화 됐다며 걱정을 표출한다. 바다를 위에서만 볼 수 있는 대부분의 사람들과, 바닷속에 들어가 바다의 풍경을 볼 수 있는 사람들이 체감하는 바다의 변화는 분명 다를 수밖에 없다. 제주의 해녀들은 일생에 거쳐 바닷속에 들어가 바다 생명체들을 채집하였던 이들이라는 점에서, 이들이 경험하는 바다의 변화는 다른 누가 보는 것보다도 더 생생하게 다가올 것이다.
이제까지 해녀 연구는 다방면에서 수행되어 왔는데, 대체로 해녀들의 문화와 물질 기술, 무속신앙 등에 걸친 것으로 민속학, 사회학, 인류학 등에서의 성과가 두드러진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선행연구들과는 조금 다른 시각에서 해녀와 바다의 관계를 탐구한다. 신유물론의 도입이 그것이다. 신유물론은 지금껏 활기를 갖지 않는 객체로만 취급되었던 물질, 비인간 자연에 행위성을 부여하고, 이로부터 새로운 정치성과 윤리적 가능성을 제시하는 학문이다. 본 연구는 신유물론의 시각을 도입하여 제주의 해녀가 자신의 몸을 통해 바다와 연합되고 함께-되어(becoming-with)가는 과정을 그려보았다.
이때 해녀들의 ‘몸’에 집중하는 이유는 몸이 광범위한 환경과 맞닿는 ‘접촉지대’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몸을 통해 세계로 나아가고 또 연합된다. 해녀들은 바다에서 다양한 비인간 행위자들을 몸을 통해 만나며, 이 몸과 몸들의 마주침에서 다양한 정동이 발생한다. 이 과정에는 해녀들이 채집하고자 하는 소라나 보말 뿐 아니라 문어, 불가사리, 돌고래, 바다거북, 상어 등 다양한 바다생물이 개입하게 된다. 본고는 신유물론과 함께 다종민족지(multispecies ethnography)적인 접근방법을 취해 이들 비인간 자연이 인간 사회를 어떻게 겨냥하며, 인간 문화와 교차, 구성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이를 위해 연구자는 구술생애사 방법론에 더해 현지조사를 수행하였다.
한편 몸은 환경 뿐 아니라 문화와도 연결되어 있는 횡단-신체라는 점에서 본 연구는 해녀들의 몸이 어떠한 사회맥락 위에 존재하는 것이었는지를 살펴본다. 해녀에게 바다는 평생 일해 온 직장이자 노동의 장소였다는 점에서 바다의 변화로 인한 해산물 개체수의 감소는 그들 경제력의 하락으로 이어지게 되는데, 해녀들은 이에 더해 생태계의 변화를 목격하는 과정에서 말해지지 않는 정동으로 슬픔이나 안타까움과 같은 신체적 느낌을 함께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이들이 목격한 사실과 이들 몸에 축적된 정동은 중요한 것으로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었는데, 이는 해녀들의 지식이 근대 과학의 관점에서 포착될 수 없는 ‘상황적 지식’에 해당했기 때문이다. 이에 더해 제주 사회 내 해녀들의 지위는 이들이 자신들의 느낌을 구체화하기보단 체념하고 침묵하는 쪽으로 남아있게 하는 기제로 작용하였다.
본 연구는 인간 바깥의 것으로만 여겨졌던 비인간 자연과 물질이 실은 언제나 인간과 연합되어 있었으며 인간의 몸과 함께 행위하고 정동을 만드는 주체적인 행위자였다는 사실을 밝혀보았다는 데에서 의의를 갖는다. 연구자는 이러한 비인간 자연과 인간의 역동적인 얽힘을 그려내는 과정에 다종민족지학을 도입하여 보았는데, 다종민족지학적 접근이 아직 국내에서는 거의 시도된 바 없다는 데에서 본 연구는 앞으로의 연구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동시에 본고는 인간이 비인간과 함께함으로써 축적하게 되는 정동이 어떠한 사회적, 정치적 맥락에서 탈각되고 미끄러졌는지를 밝히는 시도를 해 보았다. 이는 비인간과 연합되는 인간의 몸이 모두 균등한 것으로 파악되선 안 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신유물론이 당면했던 문제, 모든 물질과 몸이 연결되어 있다고 말함으로써 윤리적이고 정치적인 책임의 대상을 지워버렸다는 비판은 이와 같이 환경과 맞닿아 있는 몸이 처한 상황을 두텁게 읽음으로써만 대항 가능하다. 본고는 정동이론을 통하여 이를 시도하여 보았으며, 이러한 점에서 후속 연구를 위한 유의미한 토대를 세웠다고 평가할 수 있다.

영문초록

With the global climate crisis emerging as the biggest problem of the century, the study was launched to ask what people who working close to nature have experienced and what they are feeling in this change. Jeju island is one of the fastest regions experiencing the climate crisis in Korea, where the water temperature of the Jeju sea has risen by about 1.5 degrees over the past 40 years, and the water temperature of the sea in winter has risen by more than 3 degrees. In this regard, ‘Haenyeo’, who directly experience changes in the sea, express their concerns that the sea is becoming very seriously devastated. The changing scenery in the sea felt by people who can enter the sea is clearly different from what most people expecting who can only see the sea from above. Given that Jeju Haenyeo have entered the sea throughout their lives and collected sea life, the changes in the sea they experience will be more vivid than anyone else can see.
Until now, Haenyeo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in various ways. They are generally span the culture, ‘Muljil It means going into the sea and picking seafoods.
’ technology, and shamanistic beliefs of Haenyeo, and their achievements are prominent in folklore, sociology, and anthropology.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Haenyeo and the sea from a slightly different perspective from these previous studies. That is the introduction of new-materialism. New-materialism is a study that gives agency to nonhuman nature and materials that have been treated only as objects that do not have vitality, and presents new political and ethical possibilities from this. This study introduced the perspective of new-materialism and depicted the process of Jeju Haenyeo being united and becoming-with the sea through their body. The reason why I focus on the "body" of Haenyeo is that the body is a "interface zone" in contact with a wide range of environments. We move into, and stay with the world world through our body. Haenyeo meet various nonhuman actors through their bodies in the sea, and various affects arise from the encounter between the bodies and the bodies. In this process, various sea creatures such as octopuses, starfish, dolphins, sea turtles, and sharks will be involved as well as conchs and booms that Haenyeo want to collect. This research takes a multispecies ethnography approach and new-materialism to confirm how these nonhuman nature targets human society and intersects with human culture, and to this end, the researcher conducted a field survey in addition to oral life-and-life methodology.
On the other hand, in that the body is a trans-corporeal thing which is connected not only to the environment but also to culture, this study examines what social context the bodies of Haenyeo existed on. For Haenyeo, the sea has been a place of work and labor for a lifetime, so the decline in seafood population due to changes in the sea leads to a decline in their economic power. In addition, Haenyeo has affects such as sadness and regret in the process of witnessing changes in the ecosystem. However, the facts they witnessed and the affects accumulated in their bodies were not considered important because the knowledge of Haenyeo was "situated knowledge" that could not be captured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science. In addition, the status of Haenyeo in Jeju society served as a mechanism for them to give up and remain silent rather than ignite their feeling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at nonhuman nature and matters, which were considered only to be outside humans, were in fact always united with humans and were the main actors who acted with the human body and created affects. The researcher introduced multiracial geography in the process of drawing the dynamic entanglement of nonhuman nature and humans, and this study contributes greatly to future research in that few multispecies ethnography approaches have been attempted in Korea yet.
At the same time, this paper rvealed what social and political context detaches and slides the affects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This shows that the human body allied to nonhuman, should not be considered all same. New-materialism has been criticized for erasing the subject of ethical and political responsibility by saying that all matter and body are connected. This criticism can only be countered by reading deeply about the situation in which the body is in contact with the environment. This paper attempted this through the theory of affections, and in this respect, it can be evaluated that it laid a meaningful foundation for follow-up research.

비고 : MCS-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