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장-특정적 세대 연구의 모색 : 이론 틀의 구성과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 저자명|김선기
  • 학위|박사
  • 졸업연도|2024
  • 담당교수|이상길

주제어

장-특정적 세대, 세대 수행성, 피에르 부르디외, 연극 장, 지역정치 장, 저널리즘 장

국문초록

이 연구는 대안적인 세대 연구의 이론이자 방법의 하나로 ‘장-특정적 세대 연구’를 제시하였다. 이 맥락에서 ‘장-특정적 세대’ 개념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발전시키고 연극 장, 지역정치 장, 저널리즘 장을 대상으로 한 세 개의 사례연구를 통해 장-특정적 세대 연구 방법을 실제로 어떻게 수행할 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보여주고자 하였다.
장-특정적 세대라는 개념의 실마리를 구체화하기 위해 두 가지 이론적 탐구를 진행하였다. 첫째로, 청년세대를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를 두고 벌어진 국내의 학술 담론을 유형화하여 살펴보면서 세대 수행성 개념을 바탕으로 청년들이 스스로의 세대성을 구성해나가는 과정에 관심을 둘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둘째로, 사회학자 피에르 부르디외의 사회학을 통해 세대 개념을 어떻게 바라볼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장-특정적 세대 연구의 몇 가지 원칙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세대 개념을 실체론적이기보다는 관계론적이며 구성론적인 위치 현상으로 보아야 한다. 둘째, 세대 분석을 위해 연령 기준 외에 행위자가 특정한 장에서 점유하는 위치를 중요한 요소로서 고려해야 한다. 셋째, 세대 관계는 생물학적으로, 혹은 자연적인 출생 순으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행위자들 사이의 갈등과 투쟁으로부터 형성된다는 관점을 취해야 한다.
사례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젊은 신참자들에 초점을 두고 그들이 과연 어떤 실천 전략을 수행하고 있는지, 흔히 예상하듯 전복 전략을 취하는지, 또 자신들의 전략을 통해 개별 장의 변화 잠재력을 현실화시키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결국 신참자들이 장에서 통용되는 상징자본을 재정의하기 위해 벌이는 투쟁이 장의 역사적 변화를 이끄는 장-특정적 세대 현상의 핵심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장 내부의 신참자들과 기성 주류 행위자들 사이에서 주로 신참자들에 의해 추동되는 세대 현상과 이를 통해 나타나는 장의 변화를 보여주고자 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신참자 집단의 장의 구조 이해, 신참자 집단의 세대의식의 특성, 하비투스와 실천 전략의 특성, 장-특정적 세대 동학의 특성을 사례연구를 통해 탐구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연극, 지역정치, 저널리즘 장의 신참자 집단을 선정하였다. 각 사례별로 10명씩, 총 30명의 신참자들을 심층 인터뷰하여 수집한 자료를 구성주의적 근거이론에 입각하여 분석하였다.
세 사례연구의 결과를 비교해보면, 이들이 공통적으로 전복적이라고 할 수 있을만한 세대적 하비투스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이유로 실제로 전복적 세대 수행이 일어나는지 여부에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극 장의 연구참여자들은 상대적으로 탄탄한 세대 네트워크와 연극 담론을 바탕으로 기성 장에 구축된 연극성을 의문시하는 실천을 수행하였다. 지역정치 장의 경우 연구참여자들이 ‘청년정치’에 관한 이해관계와 ‘구태 정치’에 대한 반감은 명확히 가지고 있으나, 그것을 뒷받침하여 정치 장에서 통용되는 상징자본을 재정의하기 위한 집단적인 실천은 발견하기 어려웠다. 저널리즘 장의 연구참여자들은 대부분 사회초년생인 회사의 직원으로서, 대안적인 저널리즘에 대한 이상을 실현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전혀 갖지 못한 경우가 많았으며 대안적인 저널리즘에 대한 구상도 구체화되어 있지는 않았다.
이 연구는 장-특정적 세대 및 세대 수행성이라는 개념의 실마리를 바탕으로, 장-특정적 세대 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구체화하고, 이를 토대로 세 개의 경험적 사례연구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또한 사례연구 대상으로 선정한 연극인, 지역정치인, 뉴미디어 저널리스트는 사례의 중요성에 비해 연구관심을 받지 못하였다. 이들을 세대 행위자로 인지하여 이들이 장을 바꾸어내는 실천 혹은 담론을 조명한 것 역시 이 연구의 의의라고 하겠다.

영문초록

This thesis sought to present ‘field-specific generational research’ as one of the theories and methods of alternative generational research. Two theoretical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to flesh out the concept of field-specific generation. First, we categorized and examined the domestic academic discourse on how to study the youth generation. Second, we looked at how the concept of generation can be viewed through the sociology of Pierre Bourdieu.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several principles of field-specific generation research were derived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generation should be viewed as a relational and constructivist positional phenomenon rather than a substantive one. Second, for generation analysis, in addition to age criteria, the position an actor occupies in a specific field must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factor. Third, we must take the perspective that generational relationships are not given biologically but are formed from conflicts and struggles between actors.
In the case study, we focused on relatively young newcomers and attempted to examine what practical strategies they were carrying out and whether they were adopting subversive strategies. A group of newcomers in the field of theater, local politics, and journalism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The data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a total of 30 people was analyzed based on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three case studies, it can be seen that although they all have a generational habitus that can be considered subversive, there are differences in whether subversive generational performance actually occurs for various reasons. Research participants in the field of theatre practiced a subversive strategy based on relatively strong generational networks and theater discourse. In the case of local politics, it was difficult to find collective practice to redefine the symbolic capital used in the field. Research participants in the field of journalism did not have any means to realize their ideals of alternative journalism, and their plans for alternative journalism were not concret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pecified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field-specific generational research and attempted to conduct three empirical case studies based on this. Young theater artists, local politicians, and new media journalists have not been studied compared to the importance of their cas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lso to shed light on their practices and discourse as generational actors.

비고 : PVC-24.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