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디지털 미디어 시대, 게이 하위문화의 상징권력과 문화정치: 2010년대 이후 한국 게이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 저자명|임동현
  • 학위|박사
  • 졸업연도|2024
  • 담당교수|이상길

주제어

디지털 미디어, 게이, 게이 하위문화, 게이 커뮤니티, 게이 정체성, 퀴어, 하위문화장, 하위문화의 미학, 상징권력, 문화정치, 미디어생태학, 미디어정경, 정동

국문초록

이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 정경 속에서 확장된 국내의 게이 하위문화를 문화정치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디지털 미디어가 게이 남성의 관계 형성 무대를 온라인을 중심으로 재편하면서 게이 하위문화의 양적, 질적 변화가 지속되고 있는 맥락에서 한국 게이 하위문화의 상징권력과 주류문화와의 문화정치적 역학 등의 문제에 비판적으로 접근한다. 이 연구는 이론적 틀로서 버밍엄의 하위문화연구 전통 위에서 주체 미학과 장이론의 절합을 통한 하위문화의 미학이라는 새로운 접근을 시도하며, 미디어생태학적 관점에서 게이 하위문화의 디지털 정경을 맥락화한다.
게이 하위문화는 PC통신, 초고속 인터넷, 모바일 미디어 등의 지속적으로 발달하는 미디어 테크놀로지의 등장을 변곡점으로 하여 구조변동을 겪었다. PC통신은 게이 하위문화의 구술문화에서 문자문화로 이행에 영향을 미치면서 온라인상의 유대적 공간 형성의 시발점이 되었으며, 초고속 인터넷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커뮤니케이션은 게이 남성들의 성무대를 온라인 중심으로 재편했다. 이어 등장한 모바일 미디어는 이동성과 무선연결성이라는 특징으로 말미암아 신체의 일부로서 기능하면서 게이 남성들을 지속적이고 실시간으로 매개하는 디지털 공간을 창출했으며 이는 전에 없던 유대적, 성애적 성격이 융합된 특징을 띤다.
이와 같이 상호작용의 양상을 중심으로 게이 하위문화 공간과 집단을 이해할 수 있는 한편, 디지털 미디어로 말미암은 문화적 상징과 정보의 공유라는 보다 너른 맥락에서 형성되는 문화적 집단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게이 하위문화 공간의 다중화는 각 공간의 이용 실천에 따라 행위자들이 다양한 정체성을 형성한다는 사실을 가리킨다. 집단 내 행위자들의 이질적 정체성의 증가는 디지털 미디어가 밀접한 상호작용을 통해 창출된 상징과 정보를 이차적으로 폭넓게 매개하면서 공동체의 경계와 상징 공유의 경계가 불일치한다는 점에서 비롯된다. 따라서 하위문화적 집단의 경계와 구성원의 정체성을 파악하고자 한다면, 하위문화를 이루는 개별 미디어의 장소성을 중요한 변수로서 이해힐 필요가 있다.
디지털 미디어가 매개하는 커뮤니케이션장 위에서 펼쳐진 게이 커뮤니티는 구성원들의 성적 담론이 유통되고 성적 관계 및 명성에 대한 인정이 오가는 전형적인 성협상의 무대라는 중요한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성협상의 무대는 필연적으로 인정권력의 문제를 수반하는데, 매력자본은 게이 하위문화에서 독보적 위상을 갖는 하위문화자본으로 기능한다. 이는 혼인제도 바깥의 성적 관계라는 조건과 게이 하위문화를 주요하게 구조화하는 온라인 공간의 시각문화 중심 커뮤니케이션이라는 행위유도성에서 비롯된다. 즉, 시각 중심 소셜미디어의 사회기술적 행위유도성은 게이 하위문화장에서 매력자본의 위상을 제고하는 동시에 성적 명성이라는 상징자본을 추구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
이 과정에서 하위문화자본으로 기능하는 매력자본과 주류문화의 소비자본주의적 기호가 얽혀 구성되는 스키마를 통해 모종의 규범성이 확립된다. 게이 하위문화의 이러한 양상은 하위문화장의 갖은 매력자본을 추구하는 성향체계로서 게이 하비투스를 드러낸다. 이때 게이 하비투스와의 관계 속에서 나타나는 행위자들의 복속과 저항의 실천은 정동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게이 하비투스와 맞물린 규범적 게이 정체성은 게이 하위문화장의 위계를 구성하며 상징권력으로 행사된다. 게이 하위문화의 규범적 정체성은 소비자본주의라는 상위장으로부터 갖는 상대적 자율성이 낮다는 점을 드러내며, 따라서 게이 하위문화장은 상위장과의 권력관계의 측면에서 미학적 특성과 정치성을 띤다고 보기 어렵다.
한편, 이 같은 특징을 갖는 게이 하위문화와 그 요소는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일정하게 주류화되면서 복합적인 문화정치적 의미를 띤다. 유튜브의 새로운 산업적 논리에 편입된 문화생산자이자 매개자로서 게이 유튜버들은 게이 하위문화적 요소와 정체성을 다양한 방식으로 콘텐츠 상품화한다. 이는 성적 스펙터클, 여성화된 남성, 메트로섹슈얼이라는 상징자본을 바탕으로 자아를 성취하는 신자유주의적 주체성 등의 게이 재현이라는 특징을 띤다. 디지털 미디어가 재편하는 새로운 산업 환경에서 운신의 폭을 넓힌 매스미디어는 ‘진정한’ 자아와 프라이드의 성취, 자본주의 재생산적 주체로서 동성혼을 통해 시민에 담론적으로 통합되는 게이 재현을 통해 ‘진보적 서사’를 구축하는데, 이는 민족주의에 뿌리박고 형성되어온 한국의 발전주의와 맞닿아있다는 점에서 보수적 서사와 쌍둥이 꼴을 이룬다. 주류화 양상은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한 문화산업의 새로운 경향과 게이 하위문화적 요소가 맞물려 나타나는 문화적 생산으로까지 확장된다. 예컨대, 게이 하위문화에서 발달해왔던 남성의 색조 메이크업 문화는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려는 산업적 요구와 맞물려 소셜미디어를 통해 주류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과정에서 나타나는 헤게모니적 남성성의 일정한 변형은 최근 몇 년 사이 소셜미디어에서 대중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바디프로필에서도 응집되어 나타난다.
그런데 시각문화와 소비주의를 중심으로 발달한 게이 하위문화적 요소가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유사한 방식으로 변형하면서 남성의 몸을 소비문화의 미디어로 재구성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즉 이러한 현상은 주류문화가 게이 하위문화적 요소를 전유한다기보다, 게이 하위문화가 소비주의적 정체성을 중심으로 형성해온 남성상이 주류 사회의 산업적 요구와 일정하게 조응하면서 나타나는 결과라는 점을 가리킨다. 남성을 성적 응시의 대상으로 구성해온 게이 하위문화의 유구한 전통과 기술 위에서 소비주의는 이성애자와 게이 가릴 것 없이 남성의 몸을 적극적으로 스펙터클로서 구성하고 주류문화화하는 것이다. 이는 게이 하위문화의 주류화가 헤게모니적 남성성에 일정한 균열을 낸다는 점에서 문화정치적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게이 하위문화적 은어와 요소들이 남초 커뮤니티에서 밈화되는 현상은 그것이 갖는 한계를 시사한다. 즉 소비문화 영역 바깥에서의 게이 하위문화적 요소의 매개가 낳는 효과는 제한적이다. 따라서 그것이 게이 하위문화의 주류화가 주류문화의 산업적 요구와 조응한 결과로 나타난다는 사실은 헤게모니적 남성성이 약화된다기 보다, 헤게모니적 남성성이 소비주의를 통과하여 재포장되고 있는 것에 불과하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영문초록

This thesis undertakes an examination of the Korean gay subculture within the digital media landscape from the vantage point of cultural politics. Employing a critical lens, it delves into the symbolic power wielded by Korean gay subcultures and explores their cultural political dynamics vis-a-vis mainstream culture, particularly as digital media continue to reshape the online sphere of gay men's relational formations. The analytical framework adopts a novel approach, combining aesthetics of existence and field theory within the context of Birmingham's subcultural studies tradition, while contextualizing the digital terrain of gay subcultures from a media ecology perspective.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gay subcultures is closely linked to advancements in media technologies, notably PC communication, high-speed Internet, and mobile media. PC communication facilitated the transition from orality to literacy, instigating the establishment of online bonding spaces. Andhigh-speed internet enabled communication that included images, reshaping the stage for gay men to form sexual relationships online. Subsequently, mobile media, with its mobility and wireless connectivity, integrated into the body, created a virtual space facilitating continuous and real-time mediation of gay men, characterized by a unique fusion of bonding and sexuality.
The multiplicity of gay subcultural spaces highlights that actors forge distinct identities based on their engagement with each space. The growing heterogeneity in actors' identities is attributed to digital media's wide mediation of symbols and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close interaction, consequently blurring the boundaries of community and symbol sharing. Therefore, to comprehend subcultural groups' boundaries and members' identities, it is imperative to consider the specificities of individual media constituting the subculture.
The gay community, existing within a communication field mediated by digital media, is noteworthy for serving as a prominent stage for sexual negotiation. In this context, members' sexual discourses circulate, and sexual relationships and reputations are acknowledged. This sexual negotiation stage inherently involves issues of recognition power, with capital of attraction assuming a distinctive status within the gay subculture due to the unique conditions of sexual relationships and the visual culture-driven communication prevalent in online spaces.
The intertwining of consumerist symbols around capital of attraction in the gay subculture establishes a normativity. This aspect of the gay subculture unveils the gay habitus as a system of disposition pursuing various forms of subcultural capital. Practices of submission and resistance in relation to the gay habitus are closely linked to affects, relating to the hierarchy of the gay subcultural field and the exercise of symbolic power. However, the normative gay identity reveals its lack of relative autonomy from the overarching capitalist field.
Conversely, the mainstreaming of gay subcultures in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assumes a complex cultural political significance. As creators within the new industrial logic of platforms like YouTube, gay content producers commodify subcultural elements and identities in diverse ways. This commodification often involves representations of gay men through sexual spectacle, feminized portrayals, and neoliberal subjectivities rooted in the symbolic capital of the metrosexual. The mainstreaming process extends to cultural production, where emerging trends in media and cultural industries intertwine with gay subcultural elements. For instance, the culture of men's makeup, originating in the gay subculture, becomes mainstreamed through online media, meeting industrial demands for exploring new markets. However, it is crucial to note that gay subcultural elements centered around visual culture and consumerism concurrently reshape hegemonic masculinity and redefine the male body as a medium of consumer culture.
In essence, rather than mainstream culture appropriating gay subcultural elements, gay subcultures actively participate in creating new outcomes by aligning their constructed masculine image with consumerist identities and the industrial demands of mainstream society. This phenomenon, while appearing to challenge hegemonic masculinity, ultimately represents a repackaging of such masculinity through the lens of consumerism. The intricate interplay between gay subcultural elements and mainstream culture suggests nuanced cultural political implications, highlighting the transformation of traditional norms and the emergence of new dynamics within the broader societal context.

비고 : PVC-24.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