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번역 출판의 문화정치와 사회적 상상: 1950년대 후반-1970년대 번역서의 미디어 사회문화사
  • 저자명|채웅준
  • 학위|박사
  • 졸업연도|2024
  • 담당교수|이상길

주제어

번역 출판, 번역서, 책, 미디어 사회문화사, 사회적 상상, 문화적 정당성, 문화적 근대화, 문화정치, 상상 지리

국문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195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번역서와 번역 출판 실천, 담론, 제도를 분석함으로써, 사회적 상상의 작동 양상과 초국적 문화 교류를 둘러싼 문화정치를 밝히는 것이다. 이 연구는 기존의 텍스트주의적·지성사적 접근에서 벗어나 번역서의 미디어 사회문화사를 기술하고자 한다. 분석의 주요 목표는 두 가지다. 하나는 사회적 상상이 문화적 실천, 문화적 정당성, 문화정치와 어떤 관계를 맺고 있었는지 탐구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번역 출판 장의 문화적 근대화 과정에서 ‘세계적인 것’이 가져온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 글은 사회적 상상을 이론적 틀로 삼아 논의를 전개한다. 사회적 상상이란 사회 구성원 사이에서 공유되는, 사회 그리고 사회 내외부의 존재에 대한 막연한 이해, 의미 부여, 기대를 가리킨다. 그것은 집단적 실천의 틀과 문화적 정당성에 대한 감각을 제공한다. 사회적 상상은 사회 구성원에게 일반적으로 공유되지만, 균질적인 강도와 형태로 공유되지는 않는다. 한편 번역은 타자와 자기 자신에 대한 쌍형상화로서, 타자와 자기 자신, 그리고 둘이 공존하는 세계를 일정한 방식으로 상상하고 경계 지으려는 작업이자 그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사회적 상상과 상호 구성적 관계를 맺는다.
1950년대 후반부터 국내 번역 출판 분야가 급격한 성장을 이룰 수 있었던 것은 그것에 부여된 상상적 의미 작용 덕분이었다. 민족 문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상상에 따라 문화적 정당성을 부여받은 책은 ‘양서’로 불렸고, 그것은 번역 출판 장 내외부의 실천을 이끄는 동력이 되었다. 당대 제작된 세계문학전집은 모호했던 ‘양서’에 대한 상상을 구체화했다. ‘양서’를 둘러싼 경쟁이 심화되자 번역 출판 장에서는 1960년대 중반 제도화를 시도했다. 정부는 ‘양서’가 대중 독자의 실천과 연계될 수 있도록 장의 합리화된 규칙을 법적·제도적으로 뒷받침했다. 민족적 상상에 의거한 ‘양서’는 번역 출판 장에서 상징 투쟁의 내기물이었을 뿐만 아니라, 정부가 국민을 동원하기 위한 문화정치적 대상이었고, 또 문인과 지식인의 담론을 구성하는 주제였다. 이에 따라 번역 출판 장의 중심부, 정권, 그리고 문인과 지식인은 ‘양서’라는 문화적 기획을 중심으로 한 공모 관계를 형성했다.
문화적 정당성을 박탈당한 책들을 가리키던 ‘악서’는 몇 가지 정당성 기준을 벗어나 있었다. 통속적인 내용을 담은 책, 비윤리적인 방법으로 출간 및 유통된 책, 일본 번역 도서가 그것이다. 제도화 단계 이후로도 ‘악서’가 살아남을 수 있었던 것은 그만큼 ‘양서’의 토대가 불안정했기 때문이었다. ‘양서’가 무엇인지 합의되지 않은 채 진행된 제도화는 정부와 번역 출판 장의 불화를 야기했고, 정부의 제도적 인정이 주는 상징적 권위와 그에 따른 경제적 기대 효과가 커지자 ‘양서’의 생산을 위해 ‘악서’의 방법을 사용하는 부조리가 벌어졌다. 이는 문화적인 것에서 경제적인 것을 분리하려던 ‘양서’라는 문화적 기획의 이분법적 논리의 한계를 드러낸다. 그런 가운데 문화적 정당성을 박탈당했던 대중적인 번역물의 생산과 수용은 민족적 상상을 벗어난 문화의 가능성과 문화적 다원성에 대한 시야를 열어두고 있었다.
국내 번역 출판의 문화적 근대화 과정은 대내적인 것을 넘어서 세계와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진 것이었다. ‘양서’는 국제화와 전 지구화가 얽히며 빚어낸 효과였다. 즉 그것은 국내 번역 출판 장과 정부가 불평등하게 구조화된 번역 출판의 세계 체제에서 국제적 상징 투쟁을 위해 내세운 무기이면서, 전 지구적 정치경제적 권력 작용을 승인한 결과였다. 이데올로기적 상상 지리가 강화되면서 국내에서 번역이 지닌 내포도 민족 문화의 창달과 세계로의 진출로 축소되었다. 그러나 국내 번역 출판 장의 주변부에서는 제3세계론의 번역을 통해, 지역적인 차이를 넘어서 텍스트를 전유하고 세계의 경계와 권력관계를 성찰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번역의 정치성은 이처럼 ‘초국적인 것’에 대한 지향에서 발아하고 있었다.
이 연구는 1950년대 후반에서 1970년대 번역서에 대한 미디어 사회문화사를 통해 사회적 상상이 문화적 실천과 생산물의 정당성에 미치는 효과, 그리고 사회적 상상의 한계, 즉 사회적 상상으로부터 벗어나는 실천이 지닌 의도치 않은 문화정치적 의미를 논의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더불어 번역이 전 지구적 권력 작용의 효과로서 이데올로기적 기능을 수행하지만, 동시에 그러한 권력관계를 성찰하게 하는 힘을 지니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초록

This thesis aims to investigate the social imaginaries and the cultural politics surrounding transnational cultural exchange by analyzing the practices and institutions of translation publishing from the late 1950s to the 1970s. This study describes the media socio-cultural history of translated books regarding the translation as a socio-cultural practice and product beyond the textual and the intellectual. It focuses on two goals. One is to explore how the national imaginaries were related to cultural practices, cultural legitimacy, and cultural politics. The other is to identify how worldhood affected the process of cultural modernization of translation publishing.
This study uses social imaginaries as a theoretical framework. Social imaginaries are vague understandings, connotations, and expectations of things interior and exterior of a society, shared among members of it. It constitutes a sense of cultural legitimacy and the repertory for legitimate collective actions. Translation has a mutually constitutive relationship with social imaginaries in that it is a con-figuring of the other and the self, and the work of imagining and bounding the world in which a society exists in specific ways.
The development of translation publishing from the late 1950s onward was driven by its imagined contribution to modernizing national cultures. In this sense, the yang-seo, the books given cultural legitimacy, became a drive for cultural practices. In particular, the World Literature Anthologies crystallized the vague imaginaries of the yang-seo. As competition for yang-seo intensified, the translation publishing field attempted to institutionalize translation publishing in the mid-1960s. The Korean government provided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for the rationalized rules of the field to ensure that the yang-seo was aligned with the practices of reading public. In the national imaginaries, the yang-seo was not only a stake for which the translation publishing field struggled to earn, but also a cultural political object for the government to mobilize the people and a subject that constituted the discourse of the elite group. Accordingly, the center of the translation publishing field, the government, and the intellectuals formed a conspiratorial relationship for the cultural project of the yang-seo.
The ak-seo were referred to the books stripped of their cultural legitimacy, that fell outside the standards of the time. These included books with popular genre novels, books published and distributed in unethical ways, and translations of Japanese novels. The ak-seo survived in the face of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yang-seo and illegalization of the ak-seo, because the foundation and logic of the yang-seo were too unstable. The promoters of yang-seo experienced discord on cultural legitimacy. In addition, as the symbolic authority and economic expectations from the government’s institutional recognition of yang-seo grew, the producers of yang-seo also made books for the struggle using the methods of ak-seo. These results reveal the limits of the dichotomous logic of the cultural project of yang-seo that separates the cultural from the economic. Meanwhile, the production and reception of popular ak-seo deprived of cultural legitimacy opened up the possibility of cultures outside the national imaginaries and a view of cultural pluralism.
The process of cultural modernization was not just a domestic phenomenon but accompanied by a relationship with the world. The world was imagined as a competitive field for symbolic struggle. The yang-seo was a symptom of this imaginative geography and a weapon used by the Korean government and the translation publishing field in the unequally structured world system of translation publishing. This process of internationalization, or participation in the world system of translation publishing, was inextricably linked to the globalization of geopolitical power. Korea, a peripheral country, endorsing the international standards set by the West, sutured some critical opinions into the logic of modernization. In Korea, the connotations of translation were obsessively reduced to developing and promoting national culture. As a result, the internationalization strategy was narrowed down to adopt the Western order and obtain cultural leadership worldwide. Nevertheless, some translation practices emerged on the periphery of the domestic translation publishing field to reflect on global boundaries and power relations appropriating texts across regional differences.
Through a media socio-cultural history of translation publishing from the late 1950s to the 1970s, this study discusses the effects of the social imaginaries on the legitimacy of cultural practices and products, as well as the limits and fissures of it, and the unintended political implications of those deviated from it. This thesis shows that translation fulfills an ideological function as an effect of global power relations but also has the power to make us reflect on those power relations.

비고 : PVC-24.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