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서울도 불타고 있다”- 퀴어 페미니스트 관점으로 본 한국 볼룸 씬의 미학 -
  • 저자명|김하연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4
  • 담당교수|이상길

주제어

우울증적 동일시, 탈동일시, 수행성, 한국 볼룸 씬, 헤테로토피아, 퀴어 페미니즘, 파리는 불타고 있다

국문초록

이 연구는 한국 볼룸 씬이라는 퍼포먼스 문화에서 여성-퀴어 댄서들의 정체성이 재구성되는 과정과 그들의 공동체 문화가 갖는 미학적 특징을 밝히고 있다. 연구자는 여성-퀴어 댄서 11인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 한국 볼룸 씬에 대한 참여관찰, 그리고 온라인 자료 조사를 병행하여 비판적 문화기술지를 수행했다. 연구 설계와 분석 과정은 페미니즘과 퀴어 이론을 주축으로 삼되, 맥락에 따라 사회 구조에 대한 여러 비평이론과 논의들을 자원으로 삼았다.
2010년대 중후반 한국에 상륙한 볼룸 씬은 뉴욕에서 약 140년 전에 발생한 볼 문화에 뿌리를 두고 있다. 우울증적 젠더에 관한 일련의 선행 논의들은 ‘탈동일시’ 개념을 통해 퀴어들의 존재 양식을 해독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 이를 기반으로 과거 유색인종 퀴어들이 기존의 지배 담론과 실천에 전적으로 순응하지도 저항하지도 않는 중층적 전략을 통해 자신들의 문화를 변칙적으로 영위할 수 있었음을 검토했다. 그러나 1990년대부터 미국 매스미디어가 볼 문화를 소재로 삼기 시작하면서 최근 뉴욕 볼룸 씬에는 포스트퀴어 감수성과 소비주의가 꽤 만연한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한국 볼룸 씬을 분석함에 있어 미디어 재현의 문제 또한 검토할 필요성을 시사했다.
연구 결과, 한국 볼룸 씬의 미학은 크게 세 가지로 특징지어진다. 첫째, 댄서들은 보깅의 ‘펨’ 코드를 디딤돌 삼아 나와 내 몸이 맺는 관계를 새롭게 구축한다. 펨은 일반적으로 레즈비언 관계에서 여성 역할을 가리켜 이르는 용어이지만, 보깅의 하위 카테고리인 보그 펨을 통해 다양한 양태의 섹슈얼리티로 확장된다. 펨 미학은 한국 사회의 ‘여성’이나 ‘남성’에 결코 정합적이지 못한 탈동일시적 주체로서 ‘자기’를 끊임없이 가다듬는 실존의 기술로 정의될 수 있다.
둘째, 댄서들은 ‘실패’의 의미와 가치를 열등성이 아닌 포용성으로 재전유한다. 퍼포먼스 예술에서 ‘완성도’는 중요한 기준점으로, 공연이나 무대의 형식적 측면만이 아니라 퍼포머와 관객의 태도까지 포괄한다. 한국 볼룸 씬은 기존의 카테고리 체계 및 질서를 부분적으로 재구성함으로써 반드시 성공 지향적이지 않은 퍼포먼스를 위한 조건을 확장하고 있다. 이러한 실패의 미학적 전환은 ‘행복한 퀴어’ 모델을 이탈해 ‘행복하게 퀴어 되기’에 향하며, 새로운 관계성을 실험하고 그 속에서 자기 삶을 추동한다.
한편, 매스미디어에서 보깅의 재현은 외견상 댄서들과 그들을 지지하는 시청자들이 환영하는 진보를 이루었지만, 현 산업구조는 보깅이 볼룸 씬 안에서 갖는 수행적 기능을 여전히 규율한다. 댄서들은 더욱이 미국 볼룸 씬의 사례를 통해 미디어 노출이 씬에 미칠 수 있는 부작용을 어느 정도 인지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 볼룸 씬에 대한 그들의 애착은 미디어 재현의 미래를 희망적으로 바라보는 태도로 귀결되며 자기 모순을 드러낸다. 이처럼 한국 볼룸 씬에 대한 댄서들의 열망은 선형적 목적론을 이탈해 성공의 불가능성을 실패의 미학으로 변환하는 실천과 맞붙으며, 시간성에의 주목을 요한다.
댄서들은 과거 뉴욕 볼룸 씬의 단편적 실천들을 초시간적으로 통합하여 현재에 투사하며, 현재의 의미를 영원히 미래로 지연시킨다. 이 같은 한국 볼룸 씬의 독특한 시간성은 ‘헤테로크로니아’와 관련되며, 세 번째 미학적 특징인 ‘헤테로토피아’로 이어진다. 댄서들은 스크린을 주요한 매개체로 하여 영상물에 재현된 뉴욕 볼룸 씬의 근/과거를 참조하며, 그에 대한 동일시와 반동일시 사이를 반추함으로써 한국 볼룸 씬의 현재를 재구성한다.
펨 미학, 실패의 미학, 그리고 헤테로토피아의 미학은 주류에 동화되지도 않고 저항하지도 않으며 양쪽 모두의 가능성을 포괄한다는 속성을 공유한다. 뉴욕에서 한국으로 이어지는 볼룸 씬의 발전사에 대한 검토는 정체성 자체가 본질적이고 고정된 것이 아니라, 역사적이고 변칙적이라는 점을 예증한다. 그런 점에서 한국 볼룸 씬의 미학은 앞으로도 언제나 재의미화에 열려 있으며, 정체성보다는 위치성에서 퀴어 정치와 윤리를 재고할 수 있는 경로를 마련한다.

영문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process of how woman/queer dancers in a performance culture, known as Korea ballroom scene, reconstruct their identities and how they have developed the aesthetics of their culture. The method of critical ethnography was conducted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of three performance events, in-depth interview with eleven dancers, and online data research. The research design and analysis is centered around feminism and queer theory, and depending on the context, the paper also quotes various critical theories and discussions.
Created in the mid-to-late 2010s, Korea ballroom scene has its roots in the 140-year-old ball culture of New York. A series of preceding discussions on melancholy and gender laid a foundation for deciphering the mode of existence of queer people through the theory of ‘disidentification’. Based on this, the paper finds that queer people of color in the past were able to maintain their ball culture through a multi-layered strategy that neither complies with nor resists the existing hegemony. From the 1990s, however, the mass media industry of the states began to appropriate ball culture. Since then, discourses on New York ballroom scene have prevalently emerged around the issues of post-queer sensibility and consumerism. Accordingly, the paper considers how media representation of voguing is associated with Korea ballroom scene in the later parts.
This paper defines three elements that characterize the aesthetics of Korea ballroom scene. First, dancers take the ‘femme’ code from voguing as a basis for building a new relationship between themselves and their bodies. Femme is a term that generally refers to the female role in a lesbian relationship, but dancers expend it to include various forms of sexuality especially through vogue femme, a subcategory of voguing. Femme aesthetics can be defined as a technology of self that constantly refines one’s identity across the boundaries of ‘women’ and ‘men.
Secondly, dancers re-appropriate the meaning and value of ‘failure’ as inclusiveness rather than inferiority. For most performance, completeness is a standard that both performer and the audience consider important. Korea ballroom scene reconstructs the existing categories and rules and expands the conditions of performance that are not necessarily success-oriented. This kind of aesthetic transition of failure breaks away from ‘happy queer’ model and moves towards ‘happily queer’ who seeks new ways of relating oneself to others.
While the representation of voguing in mass media has seemingly made progress, the current structure of media industry still regulates voguing’s performative function. The dancers are aware of the side effects that media exposure can have on their scene through the example of American ballroom scene. But their emotional attachment to the scene makes them take a hopeful attitude toward the future relating to media representation, resulting in self-contradiction. In this way, the dancers’ desire for the scene is freed from linear teleology. This is also in line with how they transform the impossibility of success into the aesthetics of failure.
Regarrding temporality, the dancers integrate the fragments of the past of New York ballroom scene into their present, forever delaying the signification of present into the future. Such unique temporality of Korea ballroom scene can be defined as ‘heterochronia’, leading to the aesthetics of ‘heterotopia’. The dancers reconstitute the present of Korea ballroom scene with partial references to the past of New York ballroom scene represented in films and videos. Ruminating between identification and counter-identification with such references, they configure the presence of Korea ballroom scene.
The aesthetics of femme, failure, and heterotopia neither assimilate nor resist the mainstream, but instead embrace the possibilities of both cases. The investigation into the history of ball culture ranging from New York to Korea demonstrates that one’s identity itself is not essential nor fixed, but rather historical and anomalous. In this respect, the aesthetics of Korea ballroom scene always remain open to resignification. This paper will provide a chance to reconsider queer politics and ethics in terms of positionality rather than of identity.

비고 : MCS-24.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