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여성 게이머의 플레이 규범 연구
  • 저자명|박다흰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4
  • 담당교수|윤태진

주제어

게임연구, 여성 게이머, 매직서클, 현실 규범, 젠더 규범, 왜곡

국문초록

이 연구는 여성 게이머가 게임에서 성별을 숨기는 행위에 주목하며, 이를 규범과 연결 지어 설명한다. 자체적인 놀이 공간을 의미하는 하위징아의 ‘매직서클’ 개념은 게임이라는 공간에 맞춰, 완전한 몰입감을 상징한다. 하지만 매직서클은 현실 정체성과 경험이 게임 안에서도 이어진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여성 게이머에게 적용되는 게임 내 젠더 규범을 살피며, 매직서클 개념과 남성화된 게임문화를 비판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여성 게이머에게 매직서클이라는 개념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관찰에서 시작되었다. 현실과 게임에 공고히 자리 잡은 젠더 규범이 여성 게이머의 매직서클 형성을 저지한다고 본 것이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사회적 규범들과 젠더 규범을 이론적 토대로 삼고, MMORPG, AOS, FPS 여성 게이머들을 심층 인터뷰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여성 게이머들은 폭력적이고 일방적인 행위들을 마주하면서 매직서클을 형성할 수 없게 되었다. 이러한 행위들은 언어적인 표현 및 무시와 배려, 이성 교제라는 형태로 나타났는데, 이는 현실 규범이 왜곡된 모습으로 침투한 것이었다. 이에 여성 게이머들은 회피, 인정과 적응, 여성 간 공유와 연대, 성별 위장, 실력 행사라는 다섯 가지 대응 전략을 세웠다. 이 대응책들은 각각이 연결되고 순환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효과적인 방법이 되지는 못했다. 규범을 타파하기 위한 시도가 오히려 그를 재생산하였기 때문이다. 특히 이 대응법들은 재생산의 주체가 여성이 되기도 한다는 점에서 딜레마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요컨대 사회적 규범 및 젠더 규범은 여성 게이머의 매직서클 형성을 저지하고, 이들이 성별을 밝힐 수 없게 만드는 데 기여한다.
여성 게이머에 관한 연구는 학문과 주제를 가리지 않고 나타났지만, 그 결과가 여성 게이머를 일반화하고 고정관념을 강화하는 것으로 이어지기도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여성 게이머가 현실에서부터 체화하는 규범 그 자체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 연구는 규범에 주목하여, 여성 게이머와 매직서클의 관계를 드러낸다. 이는 현실과 게임의 경계를 살피려는 시도이며, 여성 배제적인 게임문화를 ‘규범’의 왜곡과 침투, 대응이라는 새로운 시각으로 설명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영문초록

This study focuses on the tendency of female gamers to conceal their gender during game play, and examines such behavior through the concept of ‘norm’. Johan Huizinga’s idea of ‘magic circle’ means a full immersion into game world. What is missing in the concept of magic circle is that identity and the following experience in the reality is still valid, and continues to cause its influence in game world. From the following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delve into the nature of gender norms forced upon female gamers and criticize male-based gaming culture.
As this study has begun with the phenomenon that female gamers are excluded from the idea of magic circle, a hypothesis could be set that gender role in reality is exerting its power hindering the formation of female gamers’ magic circle. In order to prove this hypothesis, social and gender norms are taken as a theoretical frame and interviews are conducted with MMORPG, AOS, FPS female gamers to collect data.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female gamers failed to form a magic circle as they faced violent and egoistic behaviors of male gamers. Such behaviors take the form of verbal harrassment, ignoring/condescending and flirting, and these are stemming from distorted form of gender norm in reality. In reaction to male gamers, female gamers invented the following strategies; evasion, acceptance/adaptaion, forming solidarity with other female gamers, camouflaging gender, and proving better gaming performance. Each of these strategies are closely connected and circulate from one to another, but none of these strategies are proven to be effective. It is because the trials female gamers make to escape from gender norm actually reproduce and enhance it. It is even dilemmatic as some cases show that female gamers become the very subjective of gender norm reproduction. In short, social and gender norm hinder female gamers from forming magic circle and force them not to reveal their gender.
Numerous studies on female gamers have been conducted in many different scholatic fields, but some of them resulted in generalizing concepts on female gamers and reproducing stereotypes on them. This is the very norm that is exerted on female gamers in reality in the first place. However, this study tries to shed light on the norm itself to reveal its relationship with female gamers, which leads to better understanding on the border of the reality and game world, and brings fresh perspective on gaming culture excluding women players with the idea of permeation of distorted gender norm and reaction to it.

비고 : MCS-24.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