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창의노동자 되기, 창의노동자 만들기 - 아나운서 준비생과 아나운서 아카데미의 사례를 중심으로 -
  • 저자명|서우빈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4
  • 담당교수|이상길

주제어

창의노동, 열망노동, 열정노동, 아나운서 준비생, 아나운서 아카데미, 창의노동 교육기관

국문초록

이 연구는 지망생(준비생)들이 아카데미라는 창의노동자 양성기관을 통해 어떻게 창의노동자로 만들어지는지 가시화한다. ‘네가 좋아하는 일을 해라(Do What You Love)’라는 명제는 문화 산업을 넘어 모든 산업 종사자들에게 영향을 끼치고 있다. 특히 창의 산업에 종사하는 창의노동자는 좋아하는 일을 하는 대가로 노동의 불안정성과 유연성을 합리화하고 견뎌야 하는 상황에 놓여있다. 선행연구들은 이러한 악순환의 반복을 ‘그럼에도 불구하고’ 산업 현장 속에서 창의노동자로 남으려는 다수의 대기인력(reservoir of labour)이 존재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대기인력의 존재는 다시금 산업 현장 밖의 ‘지망생(준비생)’을 전제하지만 이들에 대한 논의는 가시화되지 못했다. 또한 창의 산업 내 직업군의 위상은 그 직업이 위치한 국가나 직업문화에 따라 다른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이 연구는 지망생(준비생)의 관점에서 이들이 열망하는 창의노동 직업군 중 하나인 ‘아나운서’에 주목한다.
아나운서는 한국의 첫 방송국인 경성 방송국의 출현과 함께 등장하여 다양한 미디어 플랫폼이 등장한 지금까지 오랜 기간 화려한 직업적 위상을 유지해온 직업이다. 오늘날 아나운서 준비생들은 아나운서가 되기 위해 기존의 직업을 포기하기도 하고, 아나운서 아카데미라는 창의노동자 양성기관에 오랜 기간 머물며 아나운서 노동 규범을 학습하고 아나운서 노동시장으로의 진입을 꿈꾸고 있다. 그러나 아나운서와 관련된 기존 연구들은 산업 내부의 존재하는 아나운서들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그 결과, 현재 방송 산업에서 변화하고 있는 아나운서의 직업적 위상은 다층적으로 분석되지 못했으며, 산업 외부에 오래토록 존재해 온 아나운서 준비생과 아나운서 아카데미의 존재는 누락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창의 노동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살피고, 대학 교육기관과 비공식 커뮤니티에 주목한다. 이때 창의 노동 개념을 산업 현장 밖으로 확장한 맥로비(McRobbie)의 논의를 경유해 아나운서 지망생들의 수행을 넓은 의미의 창의노동으로 확장하고, 이들의 준비과정을 창의노동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그 과정 속에서 아나운서 준비생들의 열망을 들여다보며 오늘날 창의 산업 내 아나운서 직업의 위상을 분석한다. 또한 이들이 오랜 훈련기간을 보내는 아나운서 아카데미라는 창의노동자 양성기관에서 어떤 교육을 받으며, 그 안에서 어떤 일들이 일어나는지를 연구 질문으로 묻는다. 이에 답하기 위해 12명의 아나운서 준비생과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며, 아나운서 아카데미 안에서 9개월간의 참여관찰을 수행하였다. 더불어 오랜 기간 아나운서 준비생으로 정체화한 연구자의 자기기술지를 통해 두터운 서술을 보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나운서 준비생은 아나운서를 텔레비전을 통해 재현된 소수의 기성 아나운서와 유튜브를 통해 재현된 다수의 새로운 아나운서로 구분하여 인식했다. 이러한 차이는 미디어 플랫폼이 다양해짐에 따라 아나운서에게 전달력 있는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신뢰감 있는 이미지 외에 창의성이 요구되면서 나타나게 되었다. 누구나 개인의 창의성을 통해 창의노동자가 될 수 있다는 환상은 역사적 맥락에서 젠더화된 아나운서 전문화의 차이를 흐리게 만들면서, 동시에 아나운서 준비생들로 하여금 ‘나도 아나운서가 될 수 있다’는 희망을 갖게 하였다. 이러한 인식 속에서 아나운서 준비생들은 방송과 유관한 개인적인 경험을 통해 아나운서를 자아실현의 직업으로 열망하게 되었다. 또한, 아나운서라는 직업을 통해 다른 미디어?문화 산업으로의 진입을 열망하였다.
이를 위해, 아나운서 준비생들은 아나운서에게 요구되는 창의성이라는 모호한 전문성을 교육받으면서 동시에 인적 네트워크와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추천채용 제도를 통해 채용 기회를 얻을 수 있는 아나운서 아카데미로 들어가게 된다. 이곳에서 아나운서 준비생들은 아나운싱과 이미지라는 아나운서 노동 규범을 학습하며, 불안을 관리받기도 하고, 추천채용을 통해 아나운서 노동 시장에 진입하기도 한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젠더화되고, 이미지 상품화되는 과정을 겪는다. 젠더에 따라 정형화된 아나운서의 역할과 이미지가 존재하며, 채용 과정에서 창의성이 아닌 이미지가 강조되기 때문이다. 아나운서 준비생들은 이를 불합리하다고 인지하면서도 ‘방송국 아나운서’라는 포트폴리오를 보상으로 획득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수용하거나 준비생 신분을 이탈하기도 한다.
이 연구는 아나운서 아카데미와 아나운서 준비생의 존재를 가시화하며, 오늘날 아나운서를 열망하게 되는 직업 위상의 인식과 변화를 드러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그 과정에서 아나운서 노동시장에 진입하기 위해 아나운서 아카데미에서 교육되는 노동 규범이 어떻게 학습되고, 추천채용이라는 제도가 어떻게 불합리하고 은폐된 기회를 제공하는지 가시화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영문초록

This study delves into the training programs announcer trainees go through in institutions referred to as ‘Academies’, which aim to cultivate creative labours, and it explores the entire process of becoming a creative labour that involves trainees and academies. The pervasive "Do What You Love" mindset affects not only the cultural industry but the labours across diverse sectors. In particular, labours in the creative industry are forced to accept and tolerate the precariousness and instability of their labour in order to do what they love.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the cool and glamorous nature of creative industries as an explanation for this vicious cycle, and for a substantial reservoir of labour with so many people who aspire to become creative labourers. The existence of the reservoir of labour once again presupposes ‘aspirants’ outside the industry, but they are invisible in the discussion. Furthermore, the prestige of each occupation in the creative industries has different meanings and social status depending on country and culture.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announcer’ as one of the creative labour occupations that aspirants aspire to.
In South Korea, announcer, typically known as news host or anchor, has long been considered prestigious and glamorous. This perception has persisted since the establishment of Korea's first broadcasting station, Kyungsung Broadcasting Station(경성 방송국), up to the emergence of various media platforms. Today, some even leave their current jobs to become announcers and engage in extensive period of training courses or a gig work. They often go to creative labour training institutions called ‘Announcer Academies’, where they learn labour principles in the broadcasting industry and dream of entering the announcer labour market. However, existing research related to announcers focuses on announcers who have been working, and acknowledged as professional announcers in the industry. As a result, the changing professional status of announcers in the broadcasting industry has not been analyzed in a multilayered manner, and the long-standing existence of announcers who work outside the typical broadcasting industry and announcer academies that existed for a long time have been overlooked.
Therefore, to address these gaps, this study explores the theoretical discourse on creative labour, focusing on both university programs and informal communities. Drawing on McRobbie's discussion of creative labour, which extends the concept of creative labour beyond the industrial workplace, this study expands the understanding of announcer aspirants’ practices as a form of creative labour and analyzes their preparation process from the perspective of creative labour. In this process, we examined the goals and passion of announcer aspirants and analyzed the status of the profession within the creative industry today. In addition, the study poses the following two questions: What education do trainees receive in the announcer academy, and what transpires within this institution? To address these question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welve announcer trainees with nine months of participatory observation in the announcer academy. Additionally, the researcher, who has identified as an announcer trainee for several years supplemented the findings with a self-descriptions and self-narrative.
The findings reveal the following insight: Announcer aspirants distinguish between traditional announcers and newly emerging group of announcers. The former, traditional announcers, mainly appears in conventional media channels such as television, and there are relatively few of them. While the latter, a larger group of announcers are visible in new media platforms such as YouTube. This distinction arises as the media platforms diversified and announcers are required to have creativity, in addition to the typically required skills such as effective communication and a trustworthy image. This stoked the illusion that anyone can become creative labourer, blurring historically gendered roles in announcing and specialization, while giving announcer aspirants hope that they too can successfully become an announcer. This hope is fueled by related experiences in the broadcasting industry, leading them aspire to become announcers as a way to achieve self-realization, and be more eager to get hired as announcers in order to expand their portfolio of certified creativity to work in other media channels and culture industries.
To achieve their goals, announcer aspirants enroll in ‘Announcer Academies’, where they can take programs aimed at improving their creativity- an ambiguous yet commonly required ability for becoming an announcer. Academies also provide access to networks and information, as well as job opportunities through referral recruitment system. In the academy, trainees learn industry labour principles, how to build a desirable image as an announcer and manage their anxiety. And some successfully enter the announcer labour market through referrals. But this process involves gendering and commodification, with gendered roles and images of announcers still exists, and the recruitment process emphasizing appearance and image, rather than creativity in reality. While announcer trainees acknowledge the unfairness of the process, they have no option but to accept it in order to become "broadcasting station announcers," or choose to leave the training program.
This research contributes by shedding light on the existence of announcer academies and announcer trainees, revealing the changing perceptions in professional status to which announcers aspire today. It also highlights how labour principles are taught in announcer academies, shaping trainees to successfully enter the announcing labour market, and how these academies provide unfairly exclusive, unrevealed job opportunities to trainees through the referral program.

비고 : MCS-24.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