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오타쿠의 존재론적 정치학
  • 저자명|이상명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4
  • 담당교수|윤태진

주제어

오타쿠, 신유물론, 좌파포퓰리즘이론

국문초록

본 연구는 즐거움, 즉 기호와 선호를 기반으로 한 정동정치에 대한 가능성을 살피고자 하는 것에서 출발했다. 이러한 정치에 대한 가능성을 재고찰하고자 연구는 기호와 선호로 느슨하게 묶인 집단 혹은 기표로서의 ‘오타쿠’를 주목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오타쿠가 선호를 기반으로하는 정동정치에 어떠한 가능성과 의의를 지니는지 그리고 이를 위한 신유물론과 좌파포퓰리즘이라는 이론적 재전유를 통해 오타쿠를 살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일본을 비롯한 여러 기존 오타쿠 논의를 검토했다. 특히 오타쿠 그 자체에 대한 논의뿐만이 아니라 오타쿠의 정치성을 조명한 담론들을 집중적으로 검토했다.
나아가 오타쿠라는 개념의 가능성과 확장 그리고 재전유를 하고자 하였다. 일본대중문화에서의 맥락은 일본전후의 사회사와 미국문화와 관련되어 단순히 소비하는 자로서의 오타쿠가 아닌 새로운 사회상의 변화의 모델로서 제시되는 오타쿠였다. 나아가 기존 오타쿠 담론들의 연장선상에서 오타쿠가 가진 가능성들을 살펴보았다. 오타쿠는 잠세태로서의, 다중세계를 여는 자로서의, 서브컬쳐 문화와 정보집적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자로서의, 그리고 미적인 상상력과 기호화하는 자로서의 정치적 가능성을 지녔다. 또한 정치전략인 좌파포퓰리즘적 기표의 논의와 연결짓기 위해서 오타쿠의 기표로서의 가능성 또한 살폈다. 오타쿠라는 기표가 가진 낙인과 정동성 그리고 세계의 기표화와 적극적인 기표생산자로서의 오타쿠의 성질을 분석했다.
또한 두 이론적 토대인 신유물론과 좌파포퓰리즘이론과 오타쿠와의 접합을 살펴보았다. 두 이론은 현대의 정치문화 속 기존 인식론적 정치와 변화방식의 한계에서 등장했고 존재론과 새로운 경계를 긋는 헤게모니적 정치로서 의의를 지녔다는 것을 보았다. 또한 신유물론과 좌파포퓰리즘은 서로 비인간 행위소와 정동정치로서 교집합을 지니며 이는 위에서 논의한 오타쿠가 가진 성질과 연결지을 수 있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페페라는 밈과 기표를 둘러싼 사례를 통해서 페페라는 캐릭터의 등장과 이것이 각각 다른 맥락의 정치적인 의미까지 이어졌는지 살펴보았다. 기표로서의 페페는 의미망이 비어지고 채워지는 텅 빈 기표로서 작용을 했고 비인간 행위자들과 연결되고 그로서 오타쿠적 성질을 지니는지 논의해보았다.

영문초록

This study started with the intention of examining the possibility of affective politics based on pleasure, that is, preferences and preferences. In order to reconsider the possibility of such politics, the study aims to pay attention to 'otaku' as a group or signifier loosely bound by preferences and preferences. Through this study, we tried to examine Otaku through the possibility and significance of Otaku to affect politics based on preference, and through the theoretical re-existence of new materialism and left-wing populism. To this end, several existing Otaku discussions, including Japan, were first reviewed. In particular, not only the discussion of Otaku itself, but also the discourses that illuminated Otaku's politics were intensively reviewed.
Furthermore, it attempted to create, expand, and re-exchange the concept of Otakura. The context of Japanese popular culture was not just Otaku as a consumer in relation to the social history and American culture after the Japanese war, but Otaku as a model of new social change. Furthermore, the possibilities of Otaku were examined as an extension of the existing Otaku discourse. Otaku has political potential as a latent form, a person who opens up multiple worlds, a person who builds a subculture and information-intensive network, and an aesthetic imagination and symbolizer. In addition, the possibility of Otaku as a signifier was also examined in order to connect it with the discussion of left-wing populist signs, a political strategy. Otakura analyzed the stigma and affectivity of signifiers, and the nature of Otaku as a global signifier and an active signifier producer.
We also examined the connection between the two theoretical foundations, the theory of new materialism and the theory of left-wing populism and Otaku. The two theories emerged from the limitations of existing epistemological politics and methods of change in modern political culture and saw that they were significant as hegemonic politics that drew new boundaries with ontology. We also examined that new materialism and left-wing populism intersect each other as non-human behavior and affective politics, which can be linked to the properties of Otaku discussed above.
Finally, we examined the emergence of the character Pepe and whether it led to political meanings in different contexts through examples surrounding memes and signs of Pepe. Pepe as a signifier acted as an empty signifier in which the semantic network was empty and filled, and discussed whether it was connected to non-human actors and had an otaku character.

비고 : MCS-24.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