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영상을 통해 바라보는 진실과 허구의 간극
  • 저자명|장승희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07
  • 담당교수|서현석

주제어

다큐멘터리 ; 모큐멘터리 ; 진실 ; 허구 ; 가짜 다큐멘터리 ; 객관성 ; documentary ; mockumentary ; zelig ; the blair witch project ; best in show

국문초록

다큐멘터리의 진실성에 관한 담론은 오랜 기간 지속되어 왔다. 1920년대 플레허티와 그리어슨으로부터 현대 다큐멘터리 이론가들에 이르기까지 현실의 객관적인 기록이 가능한가, 편집과정에서 제작자의 이데올로기가 완벽하게 배제될 수 있는가, 또 다큐멘터리가 반드시 진실해야 하는가에 관한 논의가 있어왔으며 이에 따라 다큐멘터리의 개념과 양식이 변화해왔다. 제작과정을 드러내어 열린 해석의 기회를 제공하는 자기성찰적 양식의 다큐멘터리가 등장하였고 다큐멘터리와 오락성을 결합한 리얼리티 프로그램과 드라마 다큐멘터리가 제작되었으며 새로운 양식의 하나로 모큐멘터리가 탄생하기에 이르렀다.\r\n\r\n위 논문은 이러한 양식적 변화를 야기시킨 다큐멘터리에서의 진실과 재구성의 문제를 알아봄으로써 다큐멘터리가 어떤식으로 현실을 왜곡할 수 있는가를 이야기한다. 또한 날조된 정보를 다큐멘터리의 관습을 이용하여 재현함으로써 다큐멘터리 장르를 풍자하는 모큐멘터리를 연구한다. 이를 위해 대표적인 모큐멘터리 작품인 , , 의 제작 의도와 형식, 기능을 알아보고 연구작품 <김정훈씨의 개 공포증 극복기>를 제작해 본다.\r\n\r\n모큐멘터리는 다큐멘터리가 갖는 문화적 위상을 조롱하고 영상표현의 한계를 드러내어 다큐멘터리 장르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를 제기하는 양식으로써 이에 관한 연구는 수용자에게 그 안에 내재하는 진실과 허구의 간극을 인지시키고 영상 속 텍스트를 여과하여 받아들여야 함을 알리는데 효과적인 과정이 될 것이다. 아울러 영상 속 진실과 허구의 표현에 중점을 둔 모큐멘터리를 연구 작품으로 제작하여 패러디를 이용한 유머에 치중하여 엔터테인먼트를 지향하는데 그치는 관습적인 모큐멘터리에서 벗어나 모큐멘터리가 나아갈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고 그 발전 가능성을 조망해 본다.

영문초록

The discourse of the fact of realism and the fiction of objectivity of the documentary genre lasted for about a century. From Flaherty and Grierson in 1920's to contemporary documentary theorists, numerous academic researchers have questioned if objective documentation of reality can be possible, if documentary can truly be independent from ideology of producers, and if documentary should always be an objective representation of the real world. As a result, the traditional concept of documentary has shifted and new styles of documentary emerged, such as self reflective, reality program and drama documentaries have formed.\r\nMockumentary, the most recent and innovative transformation of documentary style, is a representation of hoaxed message using codes and conventions of documentary. \r\nThis thesis research explores the issue of realism of documentary and examines mockumentary in order to reveal how reality is deformed when presented to audiences in form of documentary. For this research, “ Ze l ig,”“ The B la ir W itch Project,”and “Best in Show, ”which are typical mockumentary films, will be examined and categorized according to their intention, storytelling style, subject matter, and its function. In addition, a mockumentary video, “ How Mr. Kim\r\nOvercame His Cynophobia,”will be produced as a thesis project. Mockumentary is a genre that raises the fundamental question of realism regarding documentary by satirizing the cultural authority that documentary holds and disclose the limitation of a moving image. Researching on mockumentary will provide audience the opportunity to acknowledge the gap between the truth and fiction in moving image and emphasize the content carried in documentary form of representation should not be taken as the truth itself. On the other hand, unlike other mockumentary films that focus on humor with parody, the thesis project will concentrate on presenting the gap between the truth and fiction of the content to seek out a new direction in mockumentary.

비고 : MCD-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