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매체의 자기 반영성을 통한 버내큘러의 현대적 적용: 서울시 공공디자인 정책을 중심으로
  • 저자명|한요한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2
  • 담당교수|박효신

주제어

버내큘러 디자인 ; 공공 디자인

국문초록

2000년대 이후 서울시로부터 시작된 공공디자인의 열기가 오늘날 전국적으로 퍼져가고 있다. 특히 2007년부터 오세훈 시장의 주도로 야심차게 조직된 ‘디자인 서울 총괄본부’와 그들이 기획한 ‘디자인 서울’이란 거대 도시디자인 프로젝트로 짧은 사업기간에 비해 서울시의 모습이 과거와는 눈에 띄게 달라졌다. 이런 사업들이 전국 지자체들로부터 긍정적으로 평가되었고 오늘날 공공디자인에 대한 관심과 변화의 선구적인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사업의 영향으로 먼저 밋밋했던 도시의 스카이라인에 괄목할만한 랜드마크들과 넉넉한 녹지조성 그리고 골칫거리였던 난잡했던 옥외광고물들과 보도블럭들이 정비되면서 거리환경이 개선되었을 뿐 아니라 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휴식공간과 문화공간의 제공으로 도시에 보다 활기를 더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규모에 비해 단기간 동안 이루어진 행정의 맹점이 존재하는데 단기프로젝트의 특성상 지역의 정체성이 공공디자인에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였고 오히려 디자인의 양식에 있어 서구의 현대적인 스타일을 추구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시민의 복지보다는 관광객 유치와 랜드마크 조성과 같은 전시성과 수익성에 집중 되면서 공공디자인의 본질인 대중성이 우선적으로 반영되지 못하였다는 부정적인 측면도 존재한다. 무엇보다 가장 큰 문제는 이미 사라져버린 우리의 기억이 담긴 장소들이다. 수익성이 떨어지고 낙후된 기반시설로 보존가치가 부족하다고 판단된 지역 및 건축물들은 그것이 가진 역사적 의미와 대중들과의 기억은 무시된 채 철거되는 운명을 맞을 수 밖에 없었다. 하이데거는 근대과학적 형이상학을 비판하며 ‘존재망각의 역사’라고 하였는데 근대형이상학이 어떤 무언가의 ‘존재’와 ‘존재자’를 구분하지 못하고 오직 존재자만을 본질로 보는 존재망각을 가져왔고 이러한 관점은 인간과 세계의 관계를 주체와 객체로 보는 도구주의적 태도를 불러온다. 다시 말해 언제든지 내가 원하면 쓰고 필요 없으면 버릴 수 있다는 존재 망각의 폭력성을 하이데거는 비판하였는데 그런 점에서 서울시의 사업들은 매우 근대적인 성격을 보이고 있으며, 이미 탈근대로 접어든 역사적 흐름에 부응한다고 보기 어렵다. 이러한 현상은 우리가 매우 심각한 문화 정체성의 혼란을 겪고 있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인데 가장 시급한 것은 모더니즘의 일원적인 관점으로부터 다원화된 포스트모던으로의 전향이다. 여기서 필요한 것은 자본과 기술 중심의 정책에서 벗어나 창의력과 감성을 담아내는 정책이고 거기서 한계는 더 이상 한계가 아닌 새로운 가능성이 될 수 있다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할 것이다. 그런점에서 하위문화 전유를 통한 버내큘러 디자인은 문화 정체성의 문제와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매우 적합한 솔루션이라 할 수 있다. 버내큘러 디자인이란 것이 토착적이고 지역적 요소를 내포하고 있으며 비주류적 미학으로 세련됨 보다는 저급한 하위문화의 전유를 통해 탈근대적인 다원성을 추구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오늘날 주변환경의 개선이란 긍정적 평가 이면에 점점 일원화 되어가고 있는 문제를 해결할 잠재적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하겠다. 본 논문에서는 버내큘러의 하위문화적 요소가 가진 근대적 관점에서의 한계를 매체의 자기 반영을 통해 해결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접근은 이미 매체성의 자기 반영의 전사를 살펴보면 충분한 사례들을 찾아 볼 수 있는데 인간이 인식한 매체의 한계를 매체성의 성찰과 자기 반영을 통해 오히려 새로운 가능성으로 발전하는 패러다임의 전환을 기대할 수 있다. 사진과 회화,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사례들에서 볼 수 있듯 저마다의 매체가 가지고 있는 차이를 분석하고 더욱 드러내는 자기 반영을 통해 발전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같은 논리로 버내큘러의 하위문화적 요소가 가진 한계성을 공공디자인에 적용시켜 숨기거나 제거하지 않고 오히려 더욱 발전시킴으로 문화 정체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며 문화 정체성의 혼란에서 발생하는 대한민국의 공공디자인 정책에 대한 새로운 비젼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초록

The wave of designing public space which was initiated by Seoul City Government after 2000 is being spread throughout the nation. ‘Design Seoul’, ambitiously planned by former mayor of Seoul, Oh Se-hoon since 2007, is such a huge master plan to re-design the whole city that has contributed a great change to the city itself in the very short time. This case was positively accepted by local governments, and played as an innovative role model for the enormous interests and changes of recent public space design. Due to the advantages of the project, we are not able to witness the presence of mammoth scale landmarks added to the bland skyline, the improved condition of streets after organizing untidy signboards of street shops, and the cultural spaces for citizens that is vitalizing the atmosphere of the city.\r\nOn the other hand, there are also side effects of the project, for it was proceeded in the very limited amount of time that the local identity and concepts could not be successfully embedded in the design and that it is replacing our city environment with modern design styles of the Western culture. Moreover, by having more emphasis on profits than the welfare of the citizen for public space design, the essential element such as public appeal was not initially reflected on it.\r\nThe most serious problem that we encountered is the destructed spaces and structures that are very symbolic and meaningful. It was the destiny of spaces and structures with low profitability and rundown infrastructures to be removed not with standing its historical meaning and memories of people. Martin Heidegger criticizing the metaphysics ofmodern science called the modern history as the history of‘oblivion of being’, and continued that modern metaphysics failed to distinguish the difference between ‘being’ and ‘beings’ of something, and caused‘oblivion of being’ which considers only ‘beings’ as the essence of it. This kind of instrumental perspective helped human-beings 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world as ‘Subject’ and ‘Object. \r\nHeidegger criticized the violence embedded in oblivion of being which confuses people that they can freely choose to use or discard an object. In that sense, the projects proceeded by Seoul city are very modern and anachronistic considering the postmodern historical context.\r\nThis phenomenon proved the severe cultural identity crisis that Korean people nowadays experience. The utmost important issue at this moment is to turn around from monistic perspective of modernism to pluralized postmodernity. What we currently need is the strategy that holds creativity and emotion rather than capital and technology based approach, and the conceptual turn that a limit is also a new possibility.\r\nTherefore, vernacular design of subculture is the very exceptional solution to adapt to the needs of today’s public space design and to resolve the cultural identity issues. Since vernacular design fundamentally includes vernacular and local elements, and pursues the postmodern plurality with lo-fi subcultural elements, it has the potential capability to resolve the problem of gradual uniformity while there’s a positive evaluation.\r\nFinally, I would like to resolve the limit of modern perception possessed by subcultural elements of vernacular through self-reflexivity of media. There are many cases in the media history of self-reflexivity that we can expect a paradigm shift to a new possibility from a limitation of a medium that people perceive through introspection and self-reflexivity of media itself. As we can witness from cases such as 'photography and painting’, and ‘analog and digital’, we are able to confirm that a medium could make progress by analyzing the differences and by reflecting them. By applying features of limitation included in subcultural elements of vernacular to public space design, we will be able to solve the cultural identity problem while developing the weakness rather than hiding it, and to provide the new vision for the public space design strategy in Korea Republic that is in the cultural identity crisis.

비고 : MCD-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