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입체영상의 몰입을 높이기 위한 공간연출 프로세스 연구: 프리프로덕션의 스토리보드와 뎁스 스크립트를 중심으로
  • 저자명|손정현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3
  • 담당교수|전수진

주제어

입체영상 ; 몰입 ; Stereoscopic ; 3D ; S3D ; Stereoscopic 3D ; immersion

국문초록

입체영상의 몰입을 높이기 위한 공간연출 프로세스 연구\r\n이미지 중심의 문화에서 시각적 재현은 미디어의 몰입에 영향을 끼친다. 그래서 미디 어는 더 높은 수준의 몰입에 도달하기 위해 여러 가지 시각기술을 활용하였다. 18세기 에 처음 개발된 입체영상 역시 현실감을 충족시키기 위한 시각기술로서 다시 주목받고 있다.\r\n입체영상으로 제작된 제임스 카메론의 <아바타>(Avatar)가 성공을 거둔 후, 입체영상 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입체영상의 걸림돌이었던 기술적 한계는 디지털 기술에 의해 극복되는 추세지만, 즐길만한 입체콘텐츠가 부족한 것이 새로운 문제로 떠올랐다. 콘텐 츠 제작 인프라가 모자란 현재, 콘텐츠 부족 현상은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또 한 입체영상의 원리와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졸속 콘텐츠들이 시청자들의 몰입을 떨어 뜨리고 피로감을 증가시켜 거부감마저 유발하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입체영상은 공간의 확장을 통해 더 높은 수준의 몰입에 도달할 가능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몰 입 기술로서 입체영상의 의의를 고찰하고, 시각피로는 억제하면서 시청자의 몰입은 높 일 수 있는 양질의 입체영상 기획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려 한다.\r\n먼저 입체영상의 원리와 특성을 파악하고, 미디어에서의 몰입 개념을 정리하였다. 아 담스(Adams)와 김형래가 각각 제안한 몰입 유형을 살펴보고, 볼터(Bolter)와 그루신 (Grusin)의 재매개 이론을 바탕으로 회화, 영화 속 시각효과, 애니메이션 등의 몰입 전 략과 기술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시각기술은 처음에는 시각적 자극에 기대는 감각 적 몰입의 수단이지만, 점진적으로 내러티브 몰입과 같은 다른 몰입의 보조 수단으로 활용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다른 시각기술의 예처럼, 입체영상 역시 점차 내러티브 몰입을 보조하는 수단이 될 것으로 본다.\r\n영화나 애니메이션의 내러티브 몰입은 메츠(Metz)의 동일시(Identification)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입체영상이 평면영상에 비해 갖는 장점은 공간 활용에 있으므로, 공간 적 어필이 중요한 이야기와 동일시 패턴이 입체영상 제작에 유리하고, 몰입의 효과도 더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 인간의 시각적 지각 요소-색채, 형태, 운동, 공간-들과 적절한 입체값의 적용 역시 입체영상의 공간연출에 중요한 개념이다. 그러므로 양질의 입체콘텐츠를 만들기 위해서는 프리 프로덕션(Pre-Production)의 전 과정에서 입체영 상에 대한 이해와 계획이 필요하다. 따라서 기존의 콘텐츠 제작 방식을 참고한, 입체영\r\n-x-\r\n상에 특화된 프로세스 모델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r\n본 연구자는 프로토타입의 제작을 통해 프리프로덕션의 3D 공간연출 프로세스를 제\r\n안하였다. 프로토타입은 오토데스크 마야를 활용한 3D 애니메이션이며, 프로세스 모델 은 시나리오, 콘셉트디자인, 스토리보드, 레이아웃, 뎁스 스크립트 디자인 등의 5가지 파트로 구성되었다. 선형적(Linear) 파이프라인의 제작 환경에서 본 연구자의 프로세스 모델 적용은 메인 프로덕션 단계의 시행착오를 줄이고 양질의 입체콘텐츠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r\n최종 작품은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방식과 애너글리프(Anaglyph) 방식 으로 출력된 입체 애니메이션이며, 애니메이션 앞에는 콘셉트디자인, 스토리보드, 뎁스 스크립트 디자인 과정의 메이킹 영상이 포함되어 있다.

영문초록

A Study of Space Planning Process for Enhancing Streoscopic 3D Immersion Jung Hyun Son Major in Visual Communication Design The Graduate School of Communication and Arts Yonsei University Thesis Supervisor : Soojin Jun In image-based culture, visual representation influences on immersive media. As media has utilized various technique of visualization to create highly immersive environment, inventive stereoscopic 3D, which is developed in the 19th century for the first time, draw attention again as visual technique to fulfill the reality. Since , in stereoscopic 3D, gained success, the interest on the stereoscopic 3D has been increased. While the technical limit has been overcome by digital technology, which was obstacles, now the lack of contents has been brought up as a new problem. As the producing infrastructure is insufficient, the shortage is continued; and, without consideration for the principles and properties of stereoscopic 3D, the quality gets low to make them audience boring, increasing tiresome and causing repulsion. Nevertheless, stereoscopic 3D possibly rises up the engagement by extending the space. Therefore, this article examines the meaning of stereoscopic 3D as immersive technology, and suggests guideline to produce high quality stereoscopic 3D contents, increasing immersion of audience and controlling visual fatigue.\r\nFirst, the principles and properties of stereoscopic 3D are analyzed, and the concept of immersion in media is defined. Each type of immersion in Adams and Hyung-rae Kim is examined, while pictures, visual effects in feature films, and immersive strategies and technologies in animations are investigated based on Remediation theory of Bolter and Grusin. This study finds that visual technology is a method of sensitive immersion through visual stimulation at first, and then it has utilized to aid in other immersion such as narrative immersion. Therefore, the stereoscopic 3D possibly becomes an auxiliary tool to support the narrative immersion, like other case of visual technique.\r\nThe narrative immersion of feature film or animation can be explained by Identification theory of Metz. Since the stereoscopic 3D is beneficial to utilize more space than plane images, it is favorably applied to appeal spatial meaning and increase the effect of immersion. In addition, the concepts of human visual perception color, form, movement, space are important as well as the appropriate depth range. To produce high quality stereoscopic 3D contents, the understanding and planning by stereoscopic 3D must be equipped thoroughly in the process of pre-production. Thus, there must be a particular and specialized process model to produce stereoscopic 3D, consulting the current production process.\r\nSpace planning process in pre-production, depending on a prototype, is strongly recommended. The prototype, which is Autodesk Maya 3D animation, consists of scenario, concept design, storyboard, lay-out, and depth script design. Applying the process model, the trial and error in main production is prevented and assists to create high quality stereoscopic 3D contents in linear pipeline producing environment.\r\nThe final work is a stereoscopic 3D animation, which is output by Side by Side and Anaglyph, and includes making-films of depth script design, concept design, and storyboard.

비고 : MCD-1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