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인터랙션 디자인에서의 인지모형 활용
  • 저자명|오화준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4
  • 담당교수|박효신

주제어

인지모형 디자인 방법론, 인지언어학, 인지모형, 범주화, 원형이론, 문화모형, 문맥, 틀, 스크립트, 영상도식, 전경/배경, 은유

국문초록

21세기와 함께 시작된 IT 분야의 급격한 발전으로 우리 삶의 많은 부분들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제 사람들은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이용해 원하는 정보를 얻고 세상과 소통하며,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지던 일상과 비즈니스의 많은 업무들은 온라인 서비스를 통해 처리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은 디지털 미디어에서 인간과 기계와의 보다 효율적인 소통에 대한 논의를 불러왔다. 이는 인문학과 과학을 막론하고 다양한 학계와 산업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데, 특히 인지과학 분야를 중심으로 언어학 • 심리학 • 컴퓨터공학 • 신경과학 등 다양한 학문과의 상호 보완적 연구를 통해 인간의 인지체계와 행동 양식에 대한 근본적 이해를 위한 연구를 지속해오고 있다. 인간과 디지털 미디어와의 소통에 대한 연구는 결국 인간이 어떠한 사고의 과정을 통해 대상을 지각하고 이해하는가에 대한 논의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r\n이러한 논의와 함께 디자인 분야에서는 디지털 미디어에서의 인터랙션 관점에서 사용자의 ‘경험’과 ‘감성’이 중요한 화두로 떠올랐다. 최근에는 여기에서 한발 더 나아가 인지과학과의 학문적 교류를 통해 인간의 심리학적 • 생물학적 본성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를 통한 디자인 접근을 시도하기 시작했다. 인간 본성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선행될 때, 보다 효율적이고 인간친화적인 인터랙션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게 된 것이다.\r\n이에 본 논문은 인지과학의 여러 분야 가운데에서도 ‘인지언어학’이라는 언어학 이론에 주목했다. 인지언어학은 인간에 대한 이해를 통해 언어사용 과정에서의 표현과 문법원리를 연구하는 언어학 이론이면서, 반대로 언어라는 소통의 매개체를 통해 인간의 인지체계를 이해하고자 하는 인지과학 이론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 체험의 구조화를 통해 형성된 일종의 지식체계라 할 수 있는 ‘인지모형’이라는 인지언어학 이론을 활용하여 인간의 소통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사고의 과정과 체계에 대해 이해하고자 하였다. \r\n본 연구에서는 인지모형 이론을 디자인 과정에 적용해 ‘인지모형 디자인 방법론’이라는 하나의 디자인 방법론적 체계로 정리하였고, 그 과정에서 다음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r\n첫째, 인터랙션 디자인에 적용 가능한 인지모형 이론을 정의하고 시각 커뮤니케이션 측면에서의 개념 적용에 대해 정리한다. \r\n둘째, 인터랙션 디자인 과정에서 실질적으로 활용 가능한 인지모형의 디자인 방법론적 체계를 구축한다.\r\n셋째, 구축된 ‘인지모형 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한 인터랙션 디자인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그 실질적 활용과 가치에 대해 증명한다.\r\n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과정을 거쳐 연구를 진행하였다.\r\n첫째, ‘인지모형’의 모체가 되는 인지언어학의 정의와 발전과정, 학문적 특징에 대한 연구를 선행하였다.\r\n둘째, 인지언어학을 중심으로 인지모형의 선행연구를 종합하여 인지모형의 배경이론(범주화 • 원형이론 • 문화모형 • 문맥), 인지모형(틀 • 스크립트 • 영상도식 • 전경/배경), 인지과정(은유)의 세 단계로 구분하여 인지모형 연구의 체계를 구축하였다. \r\n셋째, 각각의 인지모형 이론들은 언어학적 개념에 대한 정의를 선행한 후, 인터랙션 디자인 관점에서의 활용과 작동체계에 대해 분석하였다.\r\n넷째, 인지모형이 적용된 인터랙션 디자인 사례 연구를 통해, 인지모형의 디자인 단계별 활용과 적용 과정에 대해 분석하였다. \r\n다섯째, 각각의 인지모형 이론들은 ‘기획’, ‘시각화’, ‘감성적 접근’의 세 단계로 분류하여 하나의 통합적 디자인 방법론으로 체계화 하였고, 각 단계별로 인터랙션 디자인에서의 역할과 활용 방법을 정리하였다. \r\n여섯째, 체계화된 ‘인지모형 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하여 연구 작품 ‘ARCHIVE'를 제작하였다. 단계별 제작 과정에서 인지모형 활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정리하였다. \r\n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r\n첫째, 인간의 사고체계에서 문자언어를 통한 커뮤니케이션과 시각언어를 통한 커뮤니케이션 과정은 동일한 원리로 작동한다.\r\n둘째, 인간의 언어활동에 대한 연구는 인간이 세상을 지각하고 이해하는 방식을 탐구하기 위한 중요한 접근법이 될 수 있으며, 이는 디지털 미디어에서의 소통과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에서 의미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r\n셋째, 인지모형 이론을 통해 인간의 경험과 지식, 문화적 배경에 따른 사고체계의 과정과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인터랙션 디자인을 비롯한 경험 디자인과 감성 디자인에서 의미 있는 접근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영문초록

The drastic advance in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21st century created new digital media, such as social network services and smart phones. The digital contents and services through such medium are changing many parts of our lives. Nowadays, people acquire desired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net and smart phones, communicate with the world, and enjoy their leisure life; everyday life and numerous business operations offline are now actualized online.\r\nSuch developments have called forth a discussion regarding a more efficient communication between human and machine in digital media. Such discussion is dealt with not only in the humanities and sciences but also in the commercial industry for a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the human cognitive system and behavior patterns through complementary research with the field of cognitive science as well as linguistics, psychology computer engineering, and neurology. Research on the communication between human and digital media, then, extends into a discussion of how humans perceive and understand an object through what kind of cognitive processes.\r\nAlong with such discussion, concepts of the user's "experience" and "emotion"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action in digital media were brought forward in the field of design. Recently, there have been design approaches based on extensive understanding of the psychological and biological aspects of human nature through scholastic exchanges with the field of cognitive science. That is, only with a profound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is a more efficient and human-friendly interaction possible.\r\nThe thesis focuses on cognitive linguistics among the various fields in cognitive science. Cognitive linguistics studies not only the principles of expression and grammar in the process of language usage but also aims at understanding the human cognitive system through language as a communicative medium. This research intends to understand the various cognitive processes and its system that constitutes the process of human communication by applying a cognitive linguistic theory called "cognitive model," which is a form of knowledge system constructed through the structuralization of human experience.\r\nThe study establishes a "Cognitive Model Design Methodology" that applies the cognitive model theory to the process of interaction design and aims to achieve the following research objectives: (1) define the linguistic cognitive model theory implemented in interaction design and its applicability as a concept in visual communication; (2) establish a structure/system of cognitive model design methodology for its practical use in the process of interaction design; and (3) demonstrate its practical use and value by conducting an interaction design project that employs cognitive model design methodology.\r\nFollowings are the processes undertaken to achieve the objectives above: (1) research the definition, development, and theoretical characteristics of cognitive linguistic, which serves as the matrix for the "Linguistic Cognitive Model"; (2) establish a system for linguistic cognitive model research by classifying the cognitive model theories in three aspects: theoretical background of cognitive model (categorization, prototype theory, culture model, and context), cognitive model (frame, script, image schema, figure and ground), cognitive process (metaphor and metonymy); (3) define the linguistic concepts in the respective cognitive model theories and analyze their use and operative systems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action design; (4) analyze the use of cognitive model in design and the process of its application by stage through case studies on interaction designs that apply linguistic cognitive model; (5) categorize the respective cognitive model theories into three stages--"planning," "visualization," and "emotional approach"--to systemize them into a singular integrative design methodology, and organize the role and application methods of the respective stages for interaction design; and (6) create the research project, ARCHIVE, utilizing a systematic cognitive model design methodology and explain the stings of production and the use of the linguistic cognitive model in each stage.\r\nThe research resulted in the following conclusions: (1) communication by way of verbal language and of visual language function within the same principle in the human cognitive system; (2) research on linguistic activity could be of significant use in the study of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in digital media and also a critical approach in investigating the mode in which humans perceive and understand the world; and (3) the linguistic cognitive model reveals the processes and characteristics of cognitive system based on human experience, knowledge, and cultural background could be used as a significant approach in interactive design, experience design, and emotional design.

비고 : MCD-1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