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아이덴티티 구축을 위한 이미지 기반 소셜 큐레이션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
  • 저자명|정인혜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4
  • 담당교수|전수진

주제어

큐레이션, 이미지 구축

국문초록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는 원하는 정보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수집한다는 점에서 공유와 수집이라는 특성이 존재한다. 이때 수집하는 정보는 사용자의 아이덴티티 구축을 반영하기 때문에 서비스의 인터페이스 측면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만 한다. 본 연구는 아이덴티티 구축 관점에서 이미지 기반 소셜 큐레이션 인터페이스를 제안하는 차별화 전략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최근 화두에 오른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 인터페이스는 직관적인 이미지 중심의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커뮤니케이션 방식으로 사용자들은 인터넷에 있는 다양한 정보를 재해석하여 새로운 정보로 재창조하기도 하며 필요에 의해 그 정보를 수집하기도 한다. 이때, 자신의 생각이나 의견, 사용자의 취향 등 그 과정에서 커뮤니케이션이 일어나게 된다. 콘텐츠를 제작하는 사람의 의도와 콘텐츠를 수집하는 사람의 커뮤니케이션이 지속성을 가지고 유연할 수 있는 기호나 시스템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r\n 본 논문에서는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 중 한 분야인 이미지 기반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 사용시 느끼는 불편을 기능적인 면의 보완과 인터페이스의 개선 방향 측면에서 고려하여 사용자의 아이덴티티 구축에 목적을 두고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미지 기반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의 사례를 분석하고 아이덴티티 구축 관점에 집중하여 인터페이스에 적용시키는 것을 제안하였다. 최근 소셜 서비스 중 인기를 끌고 있는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에 대한 이해를 위해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고 있는 4가지 서비스를 분석하고 그 문제점을 분석하였다.\r\n 본 연구는 이미지 기반 소셜 큐레이션의 시장 현황과 그 서비스 특징을 파악하고 이미지 기반 소셜 큐레이션 인터페이스의 시각적 요소를 비교, 분석하여 이미지 기반 소셜 큐레이션 인터페이스를 제안하였다. 연구자가 제시한 인터페이스 디자인은 기존의 이미지 기반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이미지 정보 공유 및 수집 이외에 이미지 재편집을 통한 아이덴티티 구축에 있다. 최종적으로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여 이미지 기반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에서 사용자의 아이덴티티 구축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영문초록

A Study in Image-based Social Curation Interface Improvement to Build Self Identity\r\n\r\n This paper aims to provide solutions to image-based social curation services, where users may experience inconvenience, to improve their interface and function targeted to help users to construct their own identity. To successfully achieve this, case studies are conducted and findings are applied new interface, concentrating on the construction of self-identity. Three social curation services with the largest number of users are analyzed as well as the problems they face,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one of the most popular social services provided in the market social curation. Improvement in interfaces are also suggested according to current market status of image-oriented social curation and its characteristics.\r\n\r\n Suggestion include categorization of image data, method of data collection and editing based on user settings, feedback on data collections, and construction of social curation service identity. In the future, inproved interface will be tested in real settings and whether it affect users when building their own identity in social curation service will also be observed. \r\n\r\n First, improvements in the interface of image data update are required. Current interface of image-based social curation involves checking users' interest areas when they join at first. The problem with this is that contents are updated real time, only related to what was originally selected. In order to achieve smooth communication from users and consumers' point, interfaces are needed to classify the contents by different symbols and colors.\r\n\r\n Second, improvements in the interface of image data update are required. Current interface of image-based social

비고 : MCD-1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