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문 인터페이스 디자인 연구
  • 저자명|나지인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5
  • 담당교수|전수진

주제어

인터페이스 디자인(Interface design), 문 인터페이스(Door interface),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인터랙션 디자인(Interaction design)

국문초록

본 논문은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와 시스템의 상호작용과 더불어 경험이 생산되는 지점으로 바라보며, 디지털 공간에서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창출하기 위해 인터페이스에 대한 근본적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r\n\r\n 사용자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지털 공간을 경험한다. 실제 사용자가 디지털 매체의 평면 스크린을 통해 실제 접하는 것은 정보(Information)의 집합체이지만, 이들이 물리적 공간의 복제를 기반으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공간’의 개념을 적용해 디지털 공간이라 칭할 수 있다. 이에 연구자는 인터페이스 또한 공간적으로 조망하여, 사용자와 디지털 공간을 매개하는 접점(node)이면서 디지털 공간 내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공간 매개체로 정의한다. 이러한 정의에서 인터페이스는 건축 요소인 ‘문(door)’의 개념과 역할이 크게 다르지 않음을 발견하고,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공간 이행을 위해 사용자와 상호작용이 발생하는 접점을 ‘문 인터페이스(Door Interface)’라 명명한다. 이처럼 인터페이스에 ‘문’이라는 머티리얼 메타포를 적용한 것은 인터페이스를 새롭게 해석하고 확장하려는 시도이며,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창출할 수 있는 도구로서 사용하려 한 것이다. \r\n\r\n\r\n 따라서 본 연구는 먼저 문에 대한 고찰을 통해 문의 경험 요소를 크게 의미적, 형태적, 체험적, 형태적 측면으로 정리하여 설명한다. 이를 기준으로 스마트폰 인터페이스를 살펴보면서 실제 문 인터페이스 개념이 적용된 사례들을 발견하고, 몇 가지 사례에서는 사용자의 친숙한 정서를 바탕으로 사용자 경험이 극대화될 수 있는 요소로서 작용함을 밝혔다. 이를 통해 인터페이스에 단순히 아날로그 문의 형태만이 아니라 풍부한 의미와 다양한 인터랙션이 적용될 가능성을 도출했으며, 기존에 인터페이스를 바라봤던 도구적・물리적 관점에서 벗어나 총체적 경험의 장소로서 확장된 관점을 정립할 수 있었다. \r\n\r\n 연구 작품으로 첫 번째는 한국 전통 건축에서 나타난 문의 경험요소를 메타포로 활용하여 새로운 문 인터페이스를 기획하였다. 두 번째 작품으로는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접하는 문을 여는 행위들이 디지털 인터페이스에서 어떻게 적용되어 나타나는지 대표적으로 9가지를 선정하여 애니메이션 영상으로 제작하였다. 본 연구자는 연구 작품을 통해 인터페이스를 새롭게 나타난 개념이 아닌 일상에서의 친숙한 사물인 문으로 비유하여 해석한 내용을 통해 인터페이스, 인터랙션, 경험 디자인 분야의 연구에서 색다른 관점을 구축하는데 기여하길 기대한다. 이를 통해 결과적으로 오랜 기간 인간의 일상적 경험을 축적해 온 아날로그 문의 경험 요소들을 재매개하면서 보다 풍부한 인터페이스의 상호작용을 창출해 낼 수 있을 것을 기대하는 바이다.

영문초록

This thesis is intended to consider the interface as a spot where the experience is produced with the interaction of the user and system, and to carry out the fundamental study on the interface in order to create the new user experience in the digital space. \r\n\r\n The user experiences the digital space through the interface. Although what actual user contacts through the plane screen of the digital media is the aggregation of information, they can be called the digital space by applying the concept of 'space' given that they are formed based on the reproduction of physical space. Hereupon the researcher defines them as the space media enabling the movement in the digital space and as the node mediating the user and digital space by surveying the interface spatially. In this definition, it was found that the concept and role of interface were not largely different from ones of 'door', the architectural element, and in this study the node where the interaction with users happens is named the door interface for the digital space implementation. Like this, applying the material metaphor called 'door' to the interface is the attempt to interpretand expand the interface newly and is the intention to use as a tool that can create the new user experience.   \r\n \r\n Therefore, this study classifies the inquiry experience elements into the semantic, morphological, and experiential aspects largely through the consideration on the door and explains. The cases that the door interface concept was actually applied were discovered while analyzing the smart phone interface based on this, and in several cases, it was revealed the user experience worked as an element to be maximized based on the user's intimate emotion. Through it, the possibility that abundant meanings and various interactions would be applied to the interface as well as the pattern of analog door was deduced, the expanded viewpoint as the place of general experience could be established escaping from the instrumental, physical viewpoint which looked at the existing interface.    \r\n \r\n As the first of study work, the new interface was planned using the experiential element of door appearing in the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As the second work, representative 9 cases were selected to examine how door-opening behaviors we contact in daily life were applied to the digital interface and they were produced as the animation video. This researcher expects it will contribute to building the distinctive viewpoint in the study of interface, interaction, and experience design through the contents that compared the interface to the door, the familiar object to the everyday life not the newly appearing concept. It is anticipated the interaction of more abundant interfaces can be created by remediating the experiential elements of the analog door that has consequently accumulated the daily experiences of human for a long time. 

비고 : MCD-1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