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여성의 범죄 두려움 완화를 위한 사용자 경험 디자인 연구 - 음성 사용자 인터페이스(VUI)에 기반한 안심귀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제안 -
  • 저자명|고은정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0
  • 담당교수|전수진

주제어

여성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 안심귀가, 안전귀가, 안전감, 현존감, 사용자 경험, 음성 사용자 인터페이스, VUI(Voice User Interface), 음성 대화형 인터페이스

국문초록

본 연구는 기존의 범죄예방디자인(CPTED) 연구들이 범죄에 대한 두려움 완화를 목적으로 하지만 정작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가장 크게 느끼는 젊은 여성들의 두려움 경험 및 감성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가 부족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이에 본 연구는 여성들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 경험과 특징을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한 서비스 제안에 목적을 두었다.
사용자 조사 결과 여성들은 밤 시간대에 혼자 걷는 귀갓길에서 범죄피해에 대한 두려움을 가장 크게 느꼈다. 이때 여성들은 가로등, CCTV, 늦게까지 문을 여는 상점 등을 안전요소로 인지했고 주변 사람과의 통화를 통해 안전감을 얻고 있었다. 특이한 점은 두려움을 많이 느낀다고 응답한 여성일수록 같은 공간에 타인이 있는 것을 선호하였으며, 이들을 자신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존재로 인지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이는 여성들이 타인의 존재를 인식하는 현존감을 통해 안전감을 경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안전한 존재와 연결되어 있다는 느낌인 현존감을 느끼게 하는 음성 사용자 인터페이스(VUI) 기반의 안심귀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제안했다. 사용성 평가 결과 사용자들은 서비스 전반에 대해 6.43점(7점 만점)의 만족도를 보였고 서비스 사용 감정(현존감, 안전감 경험)에 대해 6.56점의 응답을 보였다. 이를 통해 제안한 서비스가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완화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여성들이 혼자 밤길을 걷는 두려운 상황에서 서비스 사용을 통해 심리적 안전을 경험하여 범죄예방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여성들이 경험하는 범죄에 대한 두려움의 이해를 바탕으로 두려움 완화를 위한 구체적인 서비스를 제안하고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도출한 여성들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의 행동적 특징 및 제안한 서비스는 여성 안전 관련 정책과 서비스 시행을 위한 방향설정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초록

This study started with the view that, while previous studies about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aimed to reduce the fear of crime, they lacked a specific understanding of the fear and emotional experience of young women who fear crime the most. Thus, this study identified the context and characteristics of women’s fear responses to crime experiences and aimed to design a service based on this response.

According to research from user experience, women feared crime the most on their way home at night. At the time, women were gaining a sense of security by recognizing streetlights, CCTVs, and late-night shops as safety factors and by talking on the phone with acquaintances. Interestingly. women who responded that they were often fearful of crime preferred someone else nearby, and they recognized others as being able to help them. This means that women experience a sense of security through the presence of other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a VUI-based personal safety mobile application that would enable users to feel a social presence for security. The usability test showed that users score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overall service as 6.43 points (7 points) and gave 6.56 points to their response to emotion (experience of having someone present and being safe) using the service. This confirmed the possibility that the proposed service could reduce the fear of crime, and it is expected that women will feel safe psychologically and experience crime prevention effects using the service in a fearful situation like walking alone through the night.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proposed and verified specific services to reduce fear by understanding women’s fear of crime. In addition, women’s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proposed services derived from this study could help provide guidance for implementing policies and services related to women’s safety.

비고 : MCD-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