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가상현실 관광에 대한 고령자의 사용자 경험 연구: 연령대에 따른 현존감과 경험가치의 지각을 중심으로
  • 저자명|김진영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0
  • 담당교수|강연아

주제어

가상현실, 가상현실 관광, 고령자, 사용자경험(UX), 현존감, 경험가치, 사이버멀미, Virtual Reality(VR), Virtual Tourism, Older Adults, User Experience(UX), Presence, Experiential Value, Cybersickness

국문초록

최근 4차 산업혁명의 신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은 다양한 산업 중 특히 관광 산업에서 효과적인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고 보고된다. 이는 가상현실이 실제 상황 및 환경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는 고유한 기능이 있기에 VR 관광이 실제 여행의 대체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존의 VR 관광 관련 연구들은 이미 IT 기기에 익숙한 청년층을 주된 실험 대상으로 삼았으며, 다양한 연령대의 사용자 경험을 다룬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예를 들어 생물학적 기능 및 기동성의 저하를 겪는 고령자 집단은 다른 층에 비해 관광을 할 수 있는 기회와 여건이 부족하기 때문에 이들에게 VR 관광의 가치는 다른 층에 비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 관광이 연령대에 따라서 어떠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경험가치와 현존감의 지각이라는 이론적 개념을 기반으로 연령대에 따라 현존감(공간관여, 시간관여, 몰입실재감)이 경험가치(유희적, 일상탈출적, 교육적, 심미적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동일한 VR 관광 콘텐츠를 기반으로 고령자 집단을 실험 집단, 청년층 집단을 통제 집단으로 하여 두 집단의 경험가치와 현존감의 지각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고령자 집단이 청년층보다 더 높은 경험가치 및 현존감을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노인이 젊은 층에 비해 더 낮은 사이버멀미를 경험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질적 인터뷰를 통해 VR 관광이 실제 관광의 대체수단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고령자를 위한 가상현실 관광의 효과성과 적용가능성을 파악하여, 가상현실 기술이 전반적인 노인 복지 향상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는 바를 입증하고자 한다. 아울러 향후 고령자를 위한 더욱 다양한 가상현실 관광 서비스에 적용할 방안을 위한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영문초록

Virtual Reality (VR) is regarded as a promising technology that can be used as an effective tool within various industries, especially in the tourism industry. Virtual tourism has been gaining more attention since it can simulate real-world experiences at a much lower cost whilst being safer compared to actual travel. However, existing VR tourism related studies have mainly targeted young people who already have familiarity with IT devices, and they have not covered a broad range of age groups. For instance, VR tourism can potentially be more valuable to older adults as they lack the opportunities to travel, due to a decline in biological function and mobility.
Thus, this study aimed at empirically analyzing user experiences of VR tourism via HMD according to age group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oretical concepts of experiential value and presence, along with cybersickness. The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perception amongst a group of 20 younger adults and a group of 20 older adults. The results indicated the group of elderly with less experience to technology perceived higher experiential value and presence from virtual tourism than younger people. Furthermore, it was revealed that older adults actually experienced less cybersickness than younger adults, which opposes a number of previous research that suggests there may be an increase in susceptibility to VR sickness as a person ages. The possibility of VR tourism as an alternative to actual travel was also discovered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older adults.
This study addresses the effectiveness and applicability of VR for the older demographic, and its potential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of welfare. In addition, it provides a framework for measures to be applied to more diverse virtual reality tourism services for older adults.

비고 : DIT-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