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식품 알레르기 아동의 보호자를 위한 식품 정보 검색 서비스 디자인 연구
  • 저자명|이지수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0
  • 담당교수|강연아

주제어

식품 알레르기, Human-Food Interaction, Human-Computer Interaction, 서비스 디자인, 식품 정보 검색 서비스, 사용자 중심 디자인, 헬스케어 서비스, Food allergies, Service Design, Food information Search Services, User-centered Design, Healthcare service

국문초록

본 연구에서는 식품 알레르기 아동의 보호자가 식품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식품 정보 검색 서비스를 디자인하였다.

식품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문제를 파악하기 위해, 식품 알레르기 아동의 보호자 11명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마켓에서 맥락적 탐구 조사(Contextual inquiry)를 진행하였다. 맥락적 탐구 조사에서 정의한 문제는 총 7가지였다.

첫째, 알레르기가 함유되지 않은 식품 탐색에 많은 시간과 노력 필요
둘째, 불안하고, 불편한 식품 정보를 확인하는 환경
셋째, 이해하기 어려운 식품 원재료와 식품 알레르기 성분명
넷째, 식품 원재료 정보의 표기 오류
다섯 째, 익숙한 식품은 정보 확인 없이 무의식적 구매
여섯 째, 식품의 맛과 실제 알레르기 반응으로 인한 구매한 식품에 대한 불만족
일곱 째, 사회적 소외감 경험

맥락적 탐구 조사에서 파악한 문제를 2가지 기준으로 문제의 우선순위를 정하였다. 2가지 기준은 식품 알레르기 아동의 보호자 개개인이 가장 큰 문제라고 인식한 문제와 공통적으로 가장 많이 언급한 문제였다. 우선순위가 높은 문제일수록 가장 해결되어야 할 문제라고 인식하여, 이를 앱의 주요 기능에서 해결하고자 하였다. 맥락적 탐구 조사에서 파악한 문제 및 인사이트(insight)를 바탕으로 서비스 디자인 컨셉을 정의하였다. 친화도 기법(Affinity diagram)으로 모바일 앱의 주요 기능을 정의하였다. 주요 기능 간의 정보 구조, 사용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설계하여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다.
제작한 프로토타입으로 두 번의 사용자 평가를 진행하였다. 초기 사용자 평가(Initial User Test)에서는 식품 알레르기 아동의 보호자 5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목적은 서비스의 타깃 유저인 식품 알레르기 아동의 보호자가 앱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바를 파악하고, 보호자와 함께 앱의 보완점 논의하는 것이었다. 사용성 평가(Usability test)에서는 식품 알레르기 아동의 보호자 24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목적은 초기 사용자 평가(Initial User Test)에서 보호자와 함께 논의했던 보완점을 반영하여 리디자인한 앱의 만족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식품 알레르기 아동의 보호자가 기대하는 서비스 사용 경험을 파악하였다.
인간-음식 상호작용(Human-Food Interaction)연구 관점에서, ‘식품 알레르기’라는 특수한 도메인에 대한 서비스를 디자인하여, 사용자의 안전한 식생활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또한, 식품 알레르기 환자 및 보호자를 대상으로 서비스 디자인 시 고려해야 할 ‘정보에 대한 신뢰도’, ‘정보에 대한 이해도’, ‘AR 검색에 대한 인식과 태도’, ‘사회적 소외감 완화’에 대한 논의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초록

In this study, a food information search service was designed to solve the problems that parents of children with food allergies face in the process of identifying food information.
In order to identify the problems that guardians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checking food information, a contextual inquiry was conducted in the online / offline market for 11 guardians of children who have food allergies. A total of seven problems were defined in the contextual inquiry:
First, the time and effort required to find foods that do not contain allergenic ingredients. Second, a worrying, inconvenient environment where guardians search for food information. Third, raw materials and food allergy terms that are difficult to understand. Fourth, errors in labeling the information of raw materials used in food. Fifth, guardians that tend to purchase familiar food without searching for food information. Sixth, dissatisfaction with purchased food due to taste and actual allergic reaction. Seventh, social alienation experienced by food-allergic children and their guardians.
The priority of the problem was determined on the basis of the two criteria of the problem identified in the contextual inquiry. The two criteria include the problem that each guardian of children with food allergies perceived as the biggest problem, and the problem that was most commonly mentioned. As more weight was given to solving higher priority problems, these were intended to be solved in the main function of the app. The concept of the service design was defined on the basis of the problems and insights identified through the contextual inquiry. The main function of the mobile app was defined using the Affinity diagram. A prototype was created by designing the information structure between the main functions of the app, and the user interface. I conducted two user evaluations with the prototype that was created. In the initial user test, an experiment was conducted on five guardians of children with food allergies. The purpose of the experiment was to identify what the guardians of children with food allergies (the target users of the service) are aware of in terms of the app, and to discuss the matters that need to be supplemented with the guardians.
In the usability test, an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24 guardians of children with food allergies. The purpose of the experiment was to identify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the app re-designed after reflecting the supplementary matters discussed with the guardians in the initial user test. Moreover, the experience of using the service expected by the guardians of children with food allergies was identified.
From the view of Human-Food Interaction research, I intended to design a service for a special domain called ‘food allergy’ to contribute to the safe food life of the user. In addition, it suggests implications on ‘reliability in information’, ‘understandability in information’, ‘awareness and attitude toward AR search’ and ‘social alienation of alleviation’ which in the view of the study need to be considered when designing services for patients and guardians of children with food allergies.

비고 : DIT-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