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온라인 미디어 아트 창작 연구: Hypermarket 운영 보고서
  • 저자명|조성진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07
  • 담당교수|김형수

주제어

하이퍼마켓 ; 온라인 ; 미디어 ; 웹 ; 아트 ; hypermarket ; online ; media ; web ; art

국문초록

상품의 역사는 인간의 삶이 언제나 상품과 관계하고 있음을 알리고 있다. 그리고 상품을 위한 시스템은 시스템 이용자의 입장에 따라 선택이 달라지기도 했음을 알리기도 한다. 그리고 자본 시스템은 국가의 의지보다는 자본의 욕망 하에 성장하며 영원히 자본의 욕망을 구체화하고 있다는 것도 알리고 있다.상품의 역사는 자본 시스템이 가시적 상품에서 비가시적 상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설계하며, 시대가 요구하는 상품을 제시하고 시장이라는 구체적 시스템을 통해 사람들의 관계를 유도하고 있음을 알린다.디지털 시대에도 상품의 역사는 계속된다. 디지털 시대에서 상품은 물질화된 상품보다는 비물질화된 상품이 중심이 되는 경제, 즉 무게 없는 경제를 의미한다. 그리고 디지털 시대는 자본 시스템을 새로운 국면으로 이끌고 있는데 소비자와 생산자를 접속자와 비접속자로 나누며 소비와 생산의 관계를 새롭게 구조화한다.디지털 시대의 라이프 스타일은 접속과 밀접하게 관계한다. 자신의 삶은 접속을 통해 확인하며 확장된 현실을 확보한다. 접속의 환경은 시간 공유 공동체를 의미한다. 시간 공유는 시산(時産)으로 전환 가능하기에 자본의 욕망은 본격적으로 접속한 사람들의 삶을 접수한다.Hypermarket은 우리의 삶을 모든 것과 연결하며 소비를 유도하는 자본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접속을 위한 모든 장치를 독점하며 시산을 위한 상품을 제공하며 새로운 권리(접속의 권리)를 확보한다. Hypermarket은 재구조화된 자본 시스템의 소유, 소비 그리고 생산 관계 속의 라이프 스타일을 의미한다Hypermarket은 스스로 설계 가능한 자본 시스템이다. 그것은 다양한 지역과 분야를 연결하며 모든 자원을 흡수한다. 그리고 소비와 생산이라는 매개를 통해 자본 시스템을 구체화하고 모든 상품을 콘텐츠화하며 시스템에 적절한 새로운 상품을 제안한다.Hypermarket은 시간 공유 공동체에서 존재한다. 그리고 소비자는 시간 공유 공동체에 합류해야 활동권리를 얻는다. 그리고 공동체의 일원으로 활동할 소비자는 공동체의 일원으로 활동하기 위해 관련 다양한 상품을 구매해야하고 획득하는 모든 정보를 통해 새로운 위치를 차지한다.Hypermarket은 소비자의 위치를 공동체 속에 위치시키며, 개별 일상을 적극적으로 동일시하기며, 개별 소비자의 경험을 한정시킨다. 이것은 인터넷 시스템이 보여주고 있는 우리의 모습을 표현하고 있다Hypermarket은 인터넷 문화가 본격적으로 성장한 1990년대 말 이후부터 안정적인 성장의 모습을 보이고 있는 2000년대 중반까지의 모습을 표현하고 있다. Hypermarket은 인터넷 시스템의 등장으로 보이는 한국사회의 변화 중 자본 시스템의 변화에 주목하였고 그것과 관련한 사람들의 모습을 반영하려 했다. 그리고 개인 작업으로 발전시켜 2004년 첫 번째 작업을 공개하였고 이후 업그레이드하여 두 번째 버전을 공개하였다. Hypermarket 연구 보고서는 두 번째 작업을 기준으로 개념과 방법 모두를 공개하였고 이후 계속 업그레이드하여 인터넷과 사회 시스템과 연관한 작업을 꾸준히 공개할 것이다.

영문초록

History of commodity proves human life has always been associated with the commodity itself. And the choices which system of commodity makes, is dependent upon the position of system user. System of consumerism is eternally enriching the desire of consumerism, not the nation's will.\r\n\r\nHistory of commodity proves system of consumerism constructs visible and invisible commodity, indicates the commodity of the time, and derive human relation through a specific system of markets.\r\n\r\nHistory of commodity continues in the digital era. Invisible commodity is more important than visible commodity, thus it means economy without gravity. And the digital era creates new situation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producer is the one who is logged online, and the consumer is the one who is offline.\r\n\r\nLife style of digital era is closely related to network connectivity. One's life is assured by connectedness, and assurance of augmented reality. Condition of connectivity means time-sharing community. Time-sharing can be calculated, thus desire of commodity takes over the life of ones connected aggressively.\r\n\r\nHypermarket is a system of consumerism, that connects everything we own, and derives consumption. This system monopolizes every system for connection, delivers commodity of calculation, and confirms new right to connectivity. Hypermarket means lifestyle in a restructured system of possession, consumption, and production.\r\n\r\nHypermarket is a self configurable system of consumerism. It connects different location and field, and assimilates all resources. It concretize system of consumerism through mediation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and proposes new product appropriate to the system.\r\n\r\nHypermarket exist in the time-sharing community. And the consumer needs to be a part of the community to obtain a right to participate. The consumer who will be part of the time-sharing community obtains his/her new status through information brought by consumption of all the related commodity.\r\n\r\nHypermarket places consumer's position in a community, aggressively regards individual routine, and limits his/her experience. This is an manifestation of ourselves in Internet system.\r\n\r\nHypermarket expresses the boom of internet culture in the late 1990s and the subtle growth in mid 2000s. Hypermarket focuses on system of consumerism and the people related to it, mirrored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korean society after internet system. The project was reveilled as an artistic work in 2004, and an upgraded version later. Hypermarket research paper is based on the second version, states all the concept and process. The research and creative practice on internet and social system will continue.

비고 : MMA-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