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포스트인터넷 아트의 예술적 가치와 단서
  • 저자명|차보리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0
  • 담당교수|이현진

주제어

포스트인터넷, 포스트인터넷 아트, 인터넷, 예술가, 웹 2.0

국문초록

본 연구의 시작은 현대사회를 감싸고 있는 인터넷 미디어가 기존의 매체와 다른 메타적 성향을 유도하며, 이에 유발된 다양한 함의와 새로운 변화는 포스트인터넷 시대의 면모를 대변하고 있다는 지점에서 출발한다. 이미 동시대 인터넷은 인간의 일상생활 안팎을 넘나들며, 다양한 디바이스와 인터넷 네트워크 전반에 침투된 고여 있지 않은 새로운 매개체 개념으로 장착했다. 결국 포스트인터넷 시대는 인터넷에 잇따른 새로운 국면과 그 변화의 테제를 대변한다. 한편으론 포스트인터넷이라는 정의가 인터넷 네트워크의 복잡한 망처럼 난해하기 그지없지만, ‘포스트인터넷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논의는 수많은 영역에서 전이되고 전용되면서 다양한 이슈를 뿜어낸다. 아마도 그러한 변화의 배경에는 인터넷에서 발현된 환경적 조건뿐만 아니라, 존재론적이고 의미론적인 지적 환경에서 딸려온 조건과도 자연스레 이어졌다고 볼 수 있겠다. 우선 포스트인터넷은 마리사 올슨의 언급처럼 ‘인터넷 이후’라는 발언에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이후’라는 발언은 흔히 시간의 때와 같은 흐림에서의 전과 후가 아니다. 이는 인터넷의 다음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으로 인지하되, 또 다른 새로운 관점에서 그 발언을 재해석해야 한다. 이처럼 포스트인터넷과 포스트인터넷 아트는 인터넷 전후의 맥락에서 발현된 그 자체다. 그리고 그 논의의 중심에 서 있는 예술가는 포스트인터넷이 동시대 예술 실천에서 어떠한 의미와 가치를 들추면서 새로운 논의의 대상으로 거듭나고 있는지를 적극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그리하여 본인은 그 선상에서 포스트인터넷 아트를 인터넷 문화에서 파생된 또 다른 장르 혹은 대안적 틀로써만 해석하지 아니하고, 예술가의 창작행위와 연대한 새로운 비평적 관점과 전략을 그들의 창작물을 통해 구체적으로 들여다보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위와 같은 연구 배경과 목적을 바탕으로 포스트인터넷의 시발점이기도 한 인터넷 매체의 스펙터클한 변화를 웹 2.0 서비스의 특징을 통해 살펴보고자 했다. 웹 2.0 서비스는 참여·개방·분산을 키워드로 생산체제 및 이용자의 수용 방식을 주관적 지각의 대상 및 감성의 대상으로 파악하고 있다는 지점에서 말이다. 그리고 웹 2.0의 패러다임 환경 및 특징은 포스트인터넷의 유발된 시기와 맞닿아 있으며 그 특징과 요소도 유사하다. 그리하여 본인은 위와 같은 인터넷에서 유발된 다채로운 혼종적 함의를 토대로 포스트인터넷에 대한 논의와 담론을 보다 구체적으로 고찰하고자 했다. 그중 마리사 올슨은 프로-서퍼의 검색행위가 인터넷에 유발된 관습적 행위라 분석했고, 세스 프라이스는 인터넷 배포 및 미디어의 유통과정이 예술의 공공성까지 뒤바꿨다고 주장한다. 이처럼 그들의 논의는 다른 듯 보이지만, 그 기저에 깔린 핵심은 예술가의 전략과 전술에 의해서 입증된다. 이처럼 포스트인터넷에 대한 예술적 가치를 재발견하고자 하는 시도는 수많은 이들에 의해 끊임없이 이어진다. 결국 본인의 주장은 포스트인터넷에 대한 예술의 본질이 예술가의 생각과 창작 시도를 통해 해석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재발견의 목적이 그들의 창작물을 통해 입증된다면, 포스트인터넷의 개념과 가치는 더욱 미시적인 관점에서 미학적 관점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입장에 서고자 한다.

영문초록

This research started from the perspective of how the Internet, encompassing all of modern society, has created a meta-tendency different from existing media. Various implications and new transitions caused by this new trend represent the Post-Internet age. Affecting every part of our daily life, the contemporary Internet has already been established as a new concept of media that has penetrated into a wide variety of devices, floating throughout the Internet space. Thereafter, the Post-Internet art age. represents new aspects that have arisen in the wake of the Internet and theories of these changes.
The definition of what is considered post-Internet is as complicated as the sophisticated web of networks itself. There has been much discussion over the question “What is Post-Internet?” while the term has been widely applied in many areas, created a wide range of issues. It is fair to say that such changes are made naturally based on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created by the Internet, as well as the intellectual environment of ontological and semantic approaches. First of all, what has come to be called “Post-Internet” started with the term “after the Internet” according to Marisa Olson. However, the term “after” does not simply mean a sequence in the passage of time. Instead, this remark should be recognized as a question of what comes next for the Internet and should be reinterpreted from this perspective. Likewise, the Post-Internet age and Post-Internet art are what has been manifested in the context of before and after the Internet. In this regard, this paper was designed to study in greater depth the discussions and discourse concerning Post-Internet based on heterogeneous consensus caused by the Internet. According to Marisa Olson’s analysis, pro-surfers’ search activity is conventional behavior, and Seth Price argues that the Internet’s reach and media distribution channels have changed the publicity of art. Their arguments may seem to contrast one another, but their key points are supported by artists’ strategies and tactics. In this way, there have been continuous efforts made by numerous people to rediscover the artistic values of Post-Internet art. Finally and most importantly to the researchers, the nature of Post-Internet art should be interpreted through the lens of artists’ thoughts and creative attempts. If the purpose of such rediscovery is verified though their artwork, the concept and values of Post-Internet can be further developed from a microscopic perspective toward an aesthetic perspective.
Standing in the heart of these discussion, artists are proactively exploring how Post-Internet art unveils its meaning and values in terms of practice in contemporary art as a matter of discussion. From that perspective, rather than interpreting Post-Internet art as yet another genre derived from Internet culture or as an alternative frame, this paper examined in detail new, critical perspectives and strategies in association with artists’ creative activities through their work. Against this backdrop, to achieve the research goals, this paper particularly examined the remarkable changes in Internet media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Post-Internet Movement,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Web 2.0 services. These characteristics identified the production system and the mode of user acceptance as something to be perceived subjectively and emotionally based on such keywords as “participatory,” “openness,” and “dispersed”. Furthermore, the characteristic paradigm and environment of Web 2.0 was related to the time in which Post-Internet emerged and, consequently, they have similar features and aspects.
In this regard, this paper was designed to study in greater depth the discussions and discourse concerning Post-Internet based on heterogeneous consensus caused by the Internet. According to Marisa Olson’s analysis, pro-surfers’ search activity is conventional behavior, and Seth Price argues that the Internet’s reach and media distribution channels have changed the publicity of art. Their arguments may seem to contrast one another, but their key points are supported by artists’ strategies and tactics.
In this way, there have been continuous efforts made by numerous people to rediscover the artistic values of Post-Internet art. Finally and most importantly to the researchers, the nature of Post-Internet art should be interpreted through the lens of artists’ thoughts and creative attempts. If the purpose of such rediscovery is verified though their artwork, the concept and values of Post-Internet can be further developed from a microscopic perspective toward an aesthetic perspective.

비고 : MMA-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