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연예인 루머에 관한 탐색적 연구: 루머의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매스미디어와 인터넷의 특성을 중심으로
  • 저자명|임드보라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09
  • 담당교수|김경모

주제어

연예인, 루머, 가십, 매스미디어, 인터넷, 확산, 담론분석, 내용분석

국문초록

본 연구는 2007년 초부터 2008년 초에 걸쳐 약 1년간 한국 사회의 이목을 집중시켰던 ‘나훈아 루머’를 중심으로,인터넷 시대의 루머 확산 메커니즘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실시했다.오늘날,우리 사회에서 회자되는 연예인 관련 미확인 정보는 ‘가십’이 아닌 ‘루머’로 접근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인식을 토대로,포털 네이버에 등록된 ‘나훈아 루머’관련 콘텐츠를 수집,이에 대한 질적 담론분석과 양적 내용분석을 실시했다.이를 통해 연예인 미확인 정보가 루머로 구성되는 메커니즘에 매스미디어가 관여하는 바를 설명하고,인터넷의 특성이 루머의 구성과 소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제시했다.\r\n\r\n본고에서는 나훈아 루머의 확산 원인을 크게 세 가지 측면으로 제시했다.첫째는 나훈아의 행적을 둘러싼 상황 자체에 이미 루머로 비화되어 확산되기에 유리한 조건들이 점철되어 있었다는 점이다.나훈아 루머는 ‘상황의 불확실성’과 ‘개연성’을 배경으로 등장한 이래,시간이 흐를수록 루머 내용의 ‘부정성’이 점점 심화되는 형태로 전개되었다.한편,이것이 그 어떤 루머보다 오래,이토록 크게 이슈화될 수 있었던 데에는 다음의 두 가지 요소가 미친 영향이 크다고 보았다.바로 “매스미디어의 개입”과 “루머의 인터넷으로의 유입”이다.먼저 매스미디어는 관련 내용의 수용 범위를 확장시키고,보도의 프레이밍과 ‘사실성’에 대한 강조를 통해 루머의 내용을 보다 자극적으로 윤색하는 데 기여했다.그런가하면 인터넷은 개방 성과 속보성을 활용하여 불확실한 루머 관련 정보의 보다 빠른 확산에 일조했으며,인터넷의 익명성과 상호작용성을 이용하는 인터넷 이용자들의 루머 소비행태는 인터넷상에서 루머의 부정성과 개연성이 강화되는 데 영향을 미쳤다.\r\n\r\n본 연구는 인터넷 시대에 연예인 루머의 구성과 소비에 참여하는 주체들의 경각심을 일깨우고,이러한 루머가 초래하는 부정적인 결과를 차단하기 위한 대책 마련의 토대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영문초록

This study undertakes a case study of the 'rumor of NaHoona' which has attracted enormous public attention in Korea from 2007 to 2008 and investigates the mechanism of the diffusion of a rumor in the Age of the Internet. Based on the understanding that unconfirmed information concerning celebrities should be valued as a 'rumor', as opposed to a 'gossip', the study It probes the rumor contents of NAVER, the most popular search portal in South Korea, through a content analysis as well as discourse analysis. In doing so, this study explains the mechanism through which the mass media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unconfirmed information into a widespread rumor. It also examines how certain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et influence the construction and consumption of a celebrity rumor. \r\nIn the case of "Na Hoona", the rumor developed and spread due to various 'circumstantial uncertainties' and 'probabilities', with 'negativity' escalating over time. Here, this study found two critical factors that made this rumor an issue for a prolonged period of time: the 'intervention of the mass media' and the 'inflow of the rumor into internet'. First, the media coverage stimulated and reinforced the rumor through its framing and by emphasizing the elements of "facts". Second, the internet contributed to a rapid spread of unconfirmed information and to the increase of the probability and negativity of that information through the anonymity and interactivity of its users, along with its enormous capacity to store and update the information. \r\nThis study is expected to arouse greater awareness among those who create and consume such rumors and to lay groundwork for policy interventions to prevent or mitigate the negative effects of such rumor-making.

비고 : COM-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