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Who Prefers Which Channel for What Motives?: Effects o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Motives and Personal Traits in Intention to Use of Mobile Videophone
  • 저자명|Nayeon Lee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09
  • 담당교수|김주환

주제어

intention to use of mobile videophon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motives, self-presentation motivation, self-presentation expectancy, self-construals, social presence

국문초록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발달은 휴대전화를 통해 면대면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영상통화를 만들어냈다. 영상통화는 기존의 휴대전화를 통해 상대방과 대화하는 동시에 면대면 커뮤니케이션에서만 가능했던 상대방의 얼굴을 보면서까지 통화가 가능하게 한다. 한편 영상통화는 면대면 커뮤니케이션과는 다른, 자신의 얼굴도 보면서 통화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의 형태를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r\n영상통화의 이런 속성에 초점을 맞춰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들을 통해 대인 매체 이용에 영향을 미친다고 밝혀져 왔던 사회적 실재감, 자아구성(독립성과 의존성), 자기 제시(자기 제시 동기와 자기 제시 기대)과 대인 커뮤니케이션의 동기를 중심으로 이 변인들이 영상통화 이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기에 앞서, 본 연구에서는 영상 통화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휴대 전화의 대표적인 대인 커뮤니케이션 채널 (영상통화, 음성통화, 문자)가 어떤 특정한 상황적 동기에서 더 선호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응답자들은 즐거움, 도피, 휴식과 같은 오락을 추구하는 상황에서는 영상통화나 음성통화를 더 선호한 반면, 기본적인 대인 커뮤니케이션 동기라고 할 수 있는 유대, 애정, 통제의 상황에서, 문자를 더 선호했다.\r\n본 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해, 대인 커뮤니케이션 동기, 자아구성, 자기 제시, 사회적 실재감과 영상통화의 이용 의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모형 검증 결과, 자아구성(독립성과 의존성)은 자기 제시 동기와 자기 제시 기대에 각각 매우 강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영상 통화 이용 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아구성이 영상 통화 의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회적 실재감은 영상통화 사용 의도에 강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녀 간에도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영문초록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intention to use of mobile videophones: self-presentation motivations and expectancy (desire and confidence of making impressions on others), self-construals (self conceptions of independence and interdependence), and social presence (perceived vividness of communication channel). The perceived appropriateness of each of the channels (videophone, voice phone, and short message service) under various interpersonal communication motives was examined. Mobile phone users were found to prefer to use videophone for entertainment (perceived more appropriate for relaxation and pleasure and less for inclusion and control), while they prefer shortmessage service for basic motives like inclusion, affection, and control. In other words, the channel with the least level of social presence (i.e., short message service) was considered as most appropriate for interpersonal relationship maintenance.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present study examined structural associations among the constructs and compared the associations across the gender. The results revealed that independent and interdependent self-construals strong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d self-presentation motivation and expectancy, which, in turn, influenced, though less significantly,intention to use of mobile videophones. Perceived social presence also appeared to strongly influence the intention to use of mobile videophone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ould provide many implications for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newly emerging mobile videophone services.

비고 : COM-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