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영상 콘텐츠의 리얼리즘과 유인가가 수용자의 심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 저자명|함선혜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09
  • 담당교수|김은미

주제어

리얼리즘, 유인가, 기억, 실재감, 동일시, 생체심리적 반응

국문초록

이 연구는 영상 콘텐츠의 형식적인 차이에 따라서 수용자 심리의 자기보고(self-report) 반응(기억, 동일시, 실재감)과 생체심리적(psychophysiology) 반응이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형식적 차이 중에서 구체적으로 시각적 재현방식의 차이를 보기 위해 같은 내용을 애니메이션과 실사로 나타낸 동영상을 자극으로 활용하였다. 또한 형식적인 차이와 함께 영상의 또 다른 특성인 유인가를 독립변인으로 설정하여 형식적인 특성이 유인가와 상호작용하는지, 그렇다면 그에 따라 수용자의 반응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리얼리즘: 실사, 애니메이션)×2(유인가: 긍정, 부정)의 요인 설계에 기반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N=63). 주관적 반응을 살펴보기 위해 기억과 실재감, 그리고 동일시를 종속 변인으로 설정하고, 이와 함께 생체심리적 반응을 나타낼 수 있는 피부전도계수와 심장박동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기억변인에서 두 독립변인 간의 상호작용이 발견되었는데, 실사 영상에서 유인가에 따라 기억의 양이 유의미하게 차이가 났다. 또한 실재감 경험에서는 영상의 재현방식에 따른 주효과만이 나타났고, 동일시 변인에 대해서는 재현방식과 유인가의 상호작용 효과를 발견하였다. 생체심리 반응 중에서는 피부전도계수에서 두 독립 변인에 따라 다른 시간적 패턴이 나타났으나 심장박동에 대해서는 독립변인들의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시각적 재현방식의 차이로 인해 수용자의 심리적 반응이 다양한 측면에서 달라진다는 것을 보여주며 또한 재현 방식과 콘텐츠의 내용적 속성이 서로 복합적인 상호작용을 한다는 점을 알려준다.

영문초록

This research aims at examining the effects of content's realism on viewer's psychological responses in three dimensions: cognitive information processing, immersiveness, psychophysiological response. It also tried to figure out the interaction between content's realism and content's valence. A 2(Realism: Animation, Real Pictorial Film) x 2(Valence: Positive, Negative) factorial-desig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gauge the effect of interactivity on various aspects of the viewer’s psychological processing of the message (N=63). For examining cognitive information processing, recognition was measured. Identification and presence was measured for examining immersiveness, and skin conductance level and heart rate was dependent variables for measuring psychophysiological responses. Results indicate that recognition and presence had their main effect and identification had only interaction effect from two independent variables. Skin Conductance Level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each IV, but Heart Rate didn't have any significant effect. These results refer to the multi-dimensional differences of viewer's psychological responses influenced by realism level. The results also support the idea that the viewer's response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between content's realism and valence.

비고 : COM-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