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The Effects of Resilience on the Problematic Online Game Use among Korean Adolescents 회복탄력성의 세 가지 요인이 청소년의 온라인게임 중독 성향에 미치는 영향
  • 저자명|Wooyeol Shin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0
  • 담당교수|김주환

주제어

resilience, problematic online game use, parent-child relationship, game addic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latent mean analysis, 회복탄력성, 온라인 게임 중독 성향, 부모-자녀 관계, 구조방정식

국문초록

본 연구에서는 부모와의 긍정적인 관계를 통해 발전된 회복탄력성(resilience)이 청소년의 온라인 게임 중독 성향을 억제하리라는 가설을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검증했다. 이때 회복탄력성을 통제성, 긍정성, 사회성 요인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요인이 온라인 게임 중독 성향에 다른 정도의 영향을 미치리라 가정하였다. 또한 남녀 청소년들의 회복탄력성 요인들이 게임 중독 성향에 미치는 영향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남학생 집단과 여학생 집단은 회복탄력성의 세 가지 요인과 온라인 게임 중독 성향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결국 남녀 집단 모두 부모-자녀 관계와 정적 관계를 맺고 있는 회복탄력성의 긍정적 요인과 통제성 요인이 온라인 게임 중독 성향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들의 온라인 게임 중독 성향에 대해 예방적 접근을 하기 위해서는 부모와 청소년의 관계 증진뿐만 아니라 회복탄력성 특히, 긍정성과 통제성 요인을 우선적으로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암시한다. 더 나아가 온라인 게임 중독의 효과적인 예방을 위해서는 청소년의 온라인 게임 행위를 부모가 직접 통제하기 보다는, 청소년 스스로 긍적적 관점을 통해 자신의 환경을 제어하고 통제하는 능력을 갖도록 양육해야 함을 알 수 있다.

영문초록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of parent-child relationship, resilience and problematic online game use with the samples selected from Korean adolescents. The results show that parent-child relationship promotes the three factors of resilience (control, positivity, and sociality), and that parent-child relationship negatively affects problematic online game uses only through control and positivity factors of resilie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broadened interventions based on resilience could be an effective way to prevent excessive online game uses of adolescents.

비고 : COM-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