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미디어 이용자 하위 집단에서의 미디어 간 경쟁 연구
  • 저자명|이연경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0
  • 담당교수|최양수

주제어

지상파TV ; 케이블TV/위성방송 ; 인터넷 ; 미디어 경쟁 ; 이용과 충족 이론 ; 이용 만족도 ; 적소 이론 ; 적소폭 ; 적소중복 ; 적소우위 ; network TV ; cable TV/satellite broadcasting ; internet ; media compet

국문초록

기술의 발전과 함께 지상파TV의 등장 이후 케이블TV와 위성방송이 도입되고 인터넷이 급속히 확산되면서 본격적인 다매체·다채널 시대가 시작되었다. 기술의 발전으로 미디어 콘텐츠의 구성 요소들은 통합되고 미디어가 가진 기능들이 다양화되면서 미디어 간 경쟁의 양상은 더욱 복잡해지고 경쟁의 정도 역시 치열해지고 있다. 새로운 미디어의 등장은 미디어 간 경쟁, 그리고 이용자들의 미디어 이용과 소비 패턴에 영향을 주었는데 이에 대해서는 산업적으로도, 학문적으로도 그 관심이 매우 높았다. \r\n 미디어 간 경쟁에 대한 기존의 논의들은 대부분 인구사회학적 변인 또는 인간의 심리학적 성향을 간과한 채, 일률적인 이용자 전체집단의 이용량 또는 만족도로 미디어 간 경쟁과 대체를 다루거나 단일 집단만의 미디어 간 경쟁과 대체를 분석해 왔다. 그러나 미디어 이용 행태가 이용자의 다양한 특성 및 성향에 따라 달리 나타나는 것과 같이 미디어 간 경쟁과 대체 역시 세분화 된 범주에서 분석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국 서베이 자료를 통해 미디어 이용자를 성, 연령, 학력, 소득에 따라 범주화하여 세분화된 각각의 집단에서 지상파TV, 케이블TV/위성방송, 인터넷 미디어 간 경쟁과 대체가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에 대해 분석해보고 이를 바탕으로 미디어 간 경쟁의 다양한 양상에 대해 논의하고자 했다. 이러한 주제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 간 경쟁을 거시적인 수준과 미시적인 수준에서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분석틀로 평가받는 이용과 충족 이론과 적소 이론을 중심으로 미디어 간 경쟁 관계를 분석하였다.\r\n 분석결과를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이용자 전체 집단을 대상으로 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정보추구/환경감시, 오락/휴식/도피, 편의성/활용용이성 유형 모두에서 인터넷의 이용 만족도가 높았으며 각각의 유형에서의 미디어별 이용 만족도가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적소분석에서도 인터넷의 적소폭이 가장 넓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상파TV나 케이블TV/위성방송에 비해 경쟁적 우위를 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용자 하위 집단에서는 각각의 미디어 이용 충족 유형에서 이용자 전체 집단에서의 결과와 달리 미디어 간 경쟁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는 집단이 다수 있었다. 특히 여성, 고연령층, 저학력층, 저소득층에서 지상파TV에 대한 높은 만족도와 적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케이블TV/위성방송은 몇몇 하위 집단에서 오락/휴식/도피 유형에서 높은 만족도와 적소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상파TV와의 적소중복이 높아 경쟁적인 관계에 있음을 확인했다.\r\n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전반적인 미디어 이용 유형에서 인터넷의 영향력이 크며 지상파TV와 케이블TV/위성방송에 비해 높은 이용 만족도와 적소를 가진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결과는 모든 인구사회학적 하위 집단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으며 미디어 이용 충족 유형과 하위 집단의 특성에 따라 미디어 간 경쟁이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했다. 이러한 결과는 다양한 미디어가 이용자 만족이라는 동일한 자원을 획득하기 위해 불가피한 경쟁을 하지만 이용자 집단의 특성에 따라 경쟁 양상이 달리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아울러 경쟁을 위한 구체적이고 전략적인 목표를 수립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영문초록

With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e media market has undergone a great transformation and has faced greater competition among media. The birth of new media creates competition among the media and changes media using patterns. \r\n Previous researches about media competition focused on the media using time or obtained gratifications of all the users with little thought of users's traits or characters. However, as media using patterns are different in the user subgroups along with their traits or characters, it is necessary to analyze media competition in the user subgroups. Therefore this research divided groups based on the user traits especially gender, age, educational background and income background. This research used a national survey data which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level of obtained gratification and gratification opportunities provided by the network television, cable/satellite broadcasting and the internet. Thus, this study focused on the media competition in the each subgroups. The researcher applied the uses and gratification theory and the niche theory to explain and analyze the competitive relationship among media.\r\n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entire responses about network television, cable/satellite broadcasting and internet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own field. In the niche analysis, internet has been positioned as the most general media by showing the widest niche breadth and strong competitive superiority compared with network television or cable/satellite broadcasting also. On the other hand, some of the results based on subgroups show the differenc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entire group. There were some groups which have higher obtained gratifications and broad niche for the network television, especially in the female, old age, low educational background and low income background groups. Also, some of the subgroups have higher obtained gratifications and broad niche for cable/satellite broadcasting especially for the entertain/relaxation/escape. Cable/satellite broadcasting is in the higher niche overlap with a network TV.\r\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udience have considered internet as more informative, entertainment and interactive media. However, the results like this could not apply for the all of the media user subgroups. The audiences are still regarding network television and cable/satellite broadcasting as a primary and familiar media also in some subgroups. This means audience’s multimedia using patterns are diversely formed by media user’s characteristics in a multimedia environment.

비고 : COM-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