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언론사에 대한 이념적 극단성 지각이 메시지 편향 지각에 미치는 영향
  • 저자명|이로운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09
  • 담당교수|김영석

주제어

개인 의견의 강도, 언론사에 대한 이념적 극단성 지각, 적대적 매체 지각, Level of Intensity on Personal Opinions, Perceived Political Ideological Extremity on the Media, Hostile Media Perception

국문초록

본 연구는 오늘날 갈수록 우리 사회에 만연해 가는 언론 불신의 원인에 관한 고찰이다. 특히 본 연구는 정치적 이념에 따른 분화 현상과 같은 한국의 특수한 매체 환경 속에서 나타나는 언론 불신에 관한 그 대상과 원인을 찾기 위해 최근 이론적 논의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적대적 매체 효과를 중심으로, 갈등 이슈에 관한 언론의 메시지가 수용자의 편향된 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커니즘을 설명해내고자 한다. 기존 적대적 매체 지각 연구들에 의하면, 적대적 매체 지각 효과는 일반적인 상황에서 늘 나타나는 보편적인 현상이라기보다 특정의 집단이나 특정 조건 아래에서 나타나는 현상임을 증명해 왔다. 개인의 이슈관여도, 개인 의견, 매체의 도달거리 등과 같이 지금까지의 적대적 매체 지각 효과 연구는 적대적 지각의 원인 규명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뤄왔다. 특히 최근에는 적대적 지각이 왜, 어떻게 발생하는지에 관하여 수용자의 심리적 요인과 메커니즘에 주목하고 있다. 최근 진행되고 있는 국내 연구들 역시 이러한 적대적 지각 현상을 일으키는 수용자의 심리적 메커니즘을 밝히기 위해 특정 매체에 대한 사전 신념이나 이슈에 대한 태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하지만, 이들 연구에서 살펴본 특정 매체에 대한 호의적 태도와 비호의적 태도를 구분하는 명확한 기준이 제시되어 있지 않아 개인별 서로 다른 이유가 있을 수 있다. 한편 언론사를 배제한 체 이슈 자체에 관한 개인의 태도에 대한 영향력만을 확인하는 것 역시 갈등적인 이념적 성향을 띄는 한국적 언론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것이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현실에 적용하기에는 많은 한계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매체에 대한 사전 신념의 하위 구성 요소 중 ‘매체의 정치적 성향’ 즉 ‘언론사에 대한 이념적 극단성 지각’이 한국적 언론 상황에서 미디어의 메시지를 적대적으로 지각하게 만드는 보다 중요한 심리적 기준점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하고 이에 대한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이론적 관심을 구체화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특히 갈등 이슈에 대한 개인 의견의 강도와 언론사에 대한 이념적 극단성 지각이라는 두 가지 변인에 주목하였다. 이론적 검토에 따라 이 두 변인이 본 연구가 밝히고자 하는 수용자의 메시지 편향 지각의 메커니즘 규명에 있어서 가장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측되었기 때문이다. 연구방법은 2009년 논쟁적인 이슈로 부각되었던 미디어 관련법 개정에 관한 보도 기사들로부터 찬반 양측의 의견을 진술문을 발췌하여 이를 균형 있게 다룬 보도 기사를 제작하였고 이를 통해 연세대 학부생 217명을 대상으로 유사현장실험을 진행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갈등 이슈에 대한 개인 의견의 강도의 차이는 메시지 편향 지각을 설명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언론사에 대한 이념적 극단성 지각은 메시지 편향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설명변인으로 나타났다. 또 언론사에 대한 이념적 극단성을 강하게 느끼는 집단과 약하게 느끼는 집단 간에도 메시지 편향 지각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언론사에 대한 이념적 극단성 지각이 수용자들의 미디어 메시지에 대한 편향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증명해 주었다. 이로서 언론사에 대한 이념적 극단성 지각이라는 보다 구체적인 변인이 특히 한국적 언론 상황에서 나타나는 수용자의 불신을 설명하는 새로운 변수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해 주었다는 점에서, 적대적 매체 지각 효과 이론의 이론적 범주를 넓혀주었다고 할 수 있겠다.

영문초록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reasons behind the continual escalation of our society's mistrust of the media in the modern age. The research also endeavors to explain how the message through the media regarding the conflict issues effects the biased perception of the audience, and discusses the mechanisms utilized. The recent theoretical discussions which attempts to identify the subject and the causes of the media distrust that stems from the situations which are unique to that of the environment of the Korean media, such as the polarizing phenomenon resulting from political ideology.\r\nAccording to the existing research on the hostile media perception the researchers have managed to prove the fact that rather than the effects of hostile media perception being a universal phenomenon which occurs frequently under general conditions, it occurs in selected organizations or under special conditions.\r\nThus far, the studies on the effects of hostile media perception such as the degree of individual participations, the individual opinions and the media reach etc focused mainly on the examinations on the causes of the hostile perceptions. Especially, until recently the research was focusing not only on why and how the hostile perceptions occur, but also on the audiences' prime psychological factors and its mechanisms.\r\nThe most recent on-going national researches are also focusing on the audience, who have displayed these states of hostile perception, about their prior beliefs and their attitudes toward the issues in order to shed some light on their psychological mechanisms. \r\nHowever, there can be individual differences on the outcome of their research, due to the absensce of clear guidelines that make distinction between favorable and unfavorable attitudes toward certain media. On the other hand, any thought of applying the research outcomes in a realistic setting is somewhat limited since the outcomes are obtained through identifying only the effects of the individual attitudes of the issue, by ignoring the media, therefore these results do not take into condisderation the realistic situation of the Korean media, which frequently display tendencies of conflicting ideological inclination.\r\nTherefore, in this research, one of the elements of subcategories, the "political inclinations of the media". namely, an "perceived political ideological extremity on the media", which one predicts that in the context of Korean media, the message through the media will be perceived as being hostile and thus functions as an important psychological standard. This research can be viewed as an attempt to positively examine the influences of that outcome.\r\nIn order to materialize these theoretical interests in this research, the emphasis was placed on two main variables: 1. the level of intensity on personal opinions 2. The percerived political ideological extremity on the media. Following a theoretical investigation, these two variables have been forecasted to contribute greatly to the findings of the audiences' mechanisms of biased perception in the message.\r\nThe methodologies of the research were based on the controversial issue of the Korean Media Bill, which rose to prominence in 2009.\r\nVarious news articles were used to extract for and against statement. \r\n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 statement, another news article was produced, 217 students from Yonsei University took part in the quasi-field experiment. The results were analyzed and recorded as follows.\r\nFirst,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vels of personal opinion on conflict issues failed to explain the extreme perception of the message. Next, the perceived political ideological extremity on the media influenced the perceived the bias of news and thus surfaced as an important contributing variable. In addition, verification of the outcomes was made which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of the perceived the bias of news between the groups that had strong feelings and weak feelings in the perceived political ideological extremity on the media. \r\n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ed that the perceived political ideological extremity on the media functions as the main element which influences the perceived the bias of news Therefore it can be stated through the discovery of the fact that the perceived political ideological extremity on the media, a more specific and novel variable, can be used to explain the audiences' mistrust occurring especailly in environment of the Korean media, has widened the theoretical category of hostile media effect.

비고 : COM-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