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인터넷 토론 공간에서의 이슈 유형 별 토론 참여 행위와 의견의 질에 관한 연구 : 4대강 개발 추진 사업과 용산 참사 사건을 중심으로
  • 저자명|김지현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0
  • 담당교수|윤영철

주제어

이슈의 분류 ; 공분 ; 의견 표명의 적극성 ; 상호작용성 ; 의견의 질 ; 토론 매너 ; issue grouping model ; public anger ; the participation in online discussion ; opinion quality ; discussion manner

국문초록

이 연구는 인터넷 공간에서의 토론 양상 즉, 토론 참여 행위와 상호작용성 정도, 의견의 질과 토론 매너가 이슈의 속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토론으로 말미암는 의사소통 효과는 기본적으로 이슈의 속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인터넷 토론 공간에서의 논의도 이슈에 따라 나누어 정교하게 진행되어야 한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먼저 강등 구조의 차이를 기준으로 하여 인터넷 토론 방에서 논의되고 있는 이슈를 분류하였다. 정당한 강자 간의 갈등구조를 보이며 기폭제 역할을 할 수 있는 인명피해가 없는 이슈는 '4대강 개발'을, 정당한 약자와 부당한 강자의 갈등 구조를 보이며 기폭제 역할을 할 수 있는 인면피해가 있는 이슈는 '용산참사 사건'을 성정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인터넷 포털 '다음'에 개설된 토론방인 '아고라'에 있는 자유 게시판이었으며, 실질적으로 이루어지는 현상을 분석하고자 내용분석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양적인 타당성을 고려하여 동일한 분석기간을 설정하였으며, '아고라'에 해당 이슈의 주제어를 입력한 후 추출된 게시글과 댓글을 분석하였다. 먼저 토론 참여 행위는 읽고, 쓰는 두 가지 차원에서 측정되었는데, 읽는 행위는 조회 수를 분석하여 측정하였고, 쓰는 행위는 일차적으로 게시 글의 수를 분석하였다. 상호작용으로 나타난 메시지는 댓글의 수를 측정함으로써 이루어졌다. 또한, 토론의 질을 알아보기 위해 '의견의 질'을 특정하였으며, 이는 토론 글에 대해 '이슈의 적절성'과 '자기주장의 근거 수','상대방 주장의 근거 수'를 측정함으로써 이루어졌다. 토론자들의 토론 매너도 토론의 질을 측정하는 변인으로 사용되었는데, 토론 매너는 글에서 사용한 욕설의 빈도수를 측정함으로써 분석하였다. \r\n분석 결과, 첫째, 정당한 강자의 갈등구조를 보이는 이슈보다 정당한 약자와 부당한 강자의 갈등 구조를 보이는 이슈에서 더 많은 게시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이슈에 따라 의견 표명의 적극성에 차이가 있음을 확이하였다. 또한, 읽는 행위에서도 공분(public anger)을 일으킬 수 있는 이슈에서 더 활발한 참여 행위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r\n둘째, 이슈 별 상호작용성 정도의 차이를 측정한 결과 댓글로 측정된 상호작용적 메시지를 '쓰는' 행위는 이슈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분(public anger)을 일으킬 수 있는 이슈에서 더 많은 활발한 상호작용 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r\n셋째, 게시 글의 토론 내용의 질과 관련, 의견의 질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욕설의 빈도수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두 이슈 모두 욕설의 빈도수가 '4대강 개발'은 0.14개, '용산참사사건'은 0.29개로 낮은 수준이기는 하였으나 그 차이는 의미 있는 수준이었다.\r\n넷째, 인터넷의 상호작용적인 기술적 기제로 말미암은 토론의 효과인 댓글의 의견의 질과 토론 매너를 분석한 결과, 객관적인 근거를 들어 자신의 의견을 제시한 합리적인 댓글 수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단순히 동의하거나 반대하는 글에 대해서는 이슈 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순 동의나 단순 반대 글은 정당한 약자와 부당한 강자의 갈등구조를 지닌 '용산 참사 사건'에서 더 많은 것으로 확인 되었는데, 이는 첫 번 째 제시하였던 분석 결과와 같은 맥락으로 해석할 수 있겠다.\r\n다섯째, 각 변인 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먼저, 조회 수와 댓글 수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회 수'와 '댓글 수'는 게시글 자체의 의견의 질 및 토론 매너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흥미롭게도 게시 글의 '조회 수'와 '합리적인 댓글 수', '게시 글의 댓글 수'와 '합리넉인 댓글 수'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매우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호작용성 기제인 '조회 수'와 '댓글 수'가 상호작용적 기제로 말미암아 작성하게 되는 상호작용 메시지의 의견의 질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이다. 이는 상호작용성 정도가 높을수록 합리적인 수준의 댓글 수 또한 많아진다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조회 수'와 '댓글 수'는 '토론매너'와도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토론 글의 상호작용성 정도가 증가할수록 의견의 질도 올라가지만, 욕설의 수도 많아진다는 것으로 귀결되는데, 이를 바탕으로 활발한 커뮤니케이션 활동과 의견의 질이 높다는 것이 반드시 이성적인 토론 매너를 보장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추론할 수 있겠다.\r\n여섯째, 이슈 별로 변인 간 상관관계를 분석해본 결과, 두 이슈가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비슷한 패턴을 보인 반면, 의견의 품질과 합리적인 댓글 수, 욕설을 사용한 댓글수의 상관관계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r\n\r\n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 논문에서 설정하였던 3개의 연구문제에 대해 상세히 짚어보았으며, 인터넷 토론의 양상이 이슈별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를 경험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인터넷 토론 공간에서 벌어지는 토론 양상과 관련한 논의를 보다 정교하게 진행하였다.

영문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 of the participation, the quality of one's opinion and discussion manner in online discussion based on different issue types. As the effect of communication can be different according to issue types, the studies about online discussion must be done by analyzing articles based on issue types. For this study, the issues of discussion in cyber space a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 issue grouping model. The issue grouping model is based on the term 'public anger', which means the weak's anger toward the strong who are unreasonable. Korean internet portal, Daum, more specifically, 'AGORA', was being analyzed by conducting content analysis. For more elaborate validity of quantity, this researcher made the same analysis periods-8days, and the key words were entered into AGORA. All the articles for these key words were analyzed. First, the participation in discussion was analyzed by 'writing' and 'reading'. And the messages caused by internet mediated communication, called comment; 'dat-guel' in Korean, were analyzed as well. Also, analyzing the opinion quality and the discussion manner was conducted. \r\n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more articles were found at the issue which contained factors that can cause public anger. Through this finding, this study showed that the participation and the quality of opinion can be affected by issue types.\r\nSecond, the messages caused by internet mediated communication, called 'dat-guel' were different according to issue types. the issue which caused public anger showed more active 'reading'.\r\nThird, in analyzing the opinion quality,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issue types. But, the discussion manner was worse at the issue about pulic anger.\r\nFourth, the difference of the opinion quality and discussion manner of 'dat-guel' between two issues was not prominent. \r\nFifth, the results of correlation showed positive relation between 'reading' and 'writing'. Interestingly, the 'reading' and 'writing' were related to the quality of opinion positively. Through this finding, we can conclude that more writing can quarantee high quality of opinion. Lastly, the practice of writing and reading was related to the discussion manner rather negatively. This finding showed that more writing can guarantee good quality of opinion, but this can not be connected to good discussion manner.

비고 : COM-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