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스마트폰 이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
  • 저자명|서한나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0
  • 담당교수|강태영

주제어

스마트폰, 휴대전화, 이동전화, TAM, 기술수용모형

국문초록

본 논문은 2009년 4월, 국내 독자 모바일 플랫폼인 위피 시스템 탑재의 의무화 제도가 폐지된 이후 이동통신회사들의 경쟁적인 스마트폰 출시가 본격화 되면서 급속도로 확산된 스마트폰 채택 현상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여, 스마트폰 단말기의 수용 결정 요인을 살펴보고, 이러한 요인들이 스마트폰에 대한 태도 및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 검증을 시도하였다. 정보기술의 수용 및 확산은 오랜 기간 동안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의 대상이었던 만큼 많은 이론들과 실증적 연구결과들이 이미 존재하지만, 아직까지 국내에서 스마트폰의 수용 및 채택과 관련된 논문은 찾아보기 힘들뿐 아니라 통신 기술의 경우, 다른 기술의 확산과 동일하게 설명할 수 없는 부분이 있다고 할 수 있기에 이러한 현상의 설명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적인 요인도 찾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을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인 휴대전화에 컴퓨터 기능을 할 수 있는 OS를 탑재한 기기로 정의하여, 기술의 수용에 관한 연구에서 빈번하게 사용되어온 기술수용모형(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의 변인인 인지된 사용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태도 및 이용의도 등을 스마트폰 수용에 적용시켜 살펴보고, 기존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사용된 변인들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변수들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이러한 연구문제에 답하기 위해,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는 설문조사(Survey)방법을 택하였는데, 연구 결과, 첫째, 스마트폰에 대해 인지된 유용성과 사용용이성이 높을수록 스마트폰 이용의도도 높아질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었으며, 인지된 유용성이 인지된 사용용이성보다 영향력 높은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존의 기술수용모형에서 인지된 사용용이성이 인지된 유용성 및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과 달리, 스마트폰에 대해 인지된 사용용이성은 인지된 유용성과 스마트폰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혁신성은 스마트폰에 대해 인지된 유용성 및 사용용이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인 것으로 분석된 반면, 유희성과 사회문화적 영향은 인지된 유용성에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은 인지된 사용용이성에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intention to use the smart phone. As KCC(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the country's telecommunications regulator, abolish the WIPI requirements renewing competition in the mobile phone market in April 2009, both public attention on smart phone and the number of smart phone users in Korea has been dramatically increased. Thus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adoption decision for smart phone. Drawing from previous studies, research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which is an information systems theory that models how users come to accept and use a new technology. TAM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theories in Technology acceptance studies and it propose that there ar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among personal \r\ninnovativeness, social influence,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enjoyment, perceived usefulness and eventually intention to adopt the technology. Applying to smart phones,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njoyment, personal innovativeness, self-efficacy and social-cultural influence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of acceptance factors of the smart phone. Hypotheses were established by using these variables and surve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hypothesis on whether smart phone acceptance factor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show that personal \r\ninnovativeness was in significant influence on both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Social-cultural influence and perceived enjoyment were \r\nin significant influence on perceived usefulness and self-efficacy was in significant influence on perceived ease of use. As a result of analysis on attitude and intention to use, attitude towards smart phone adoption was found to be affected only by perceived usefulness. In case of intention to use, the results indicate that behavioral intention to use the smart phone was \r\nlargely influenced by perceived usefulness than perceived ease of use. That \r\nis to say,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positively \r\ninfluence on intention to use the smart phone.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based on a convenience sampling on-line survey. From this limitation, this result can lead a self-reporting bias and \r\nlimitation of generalizing. Thus, further studies should focus on expanding sample data and various sample groups for better study and for better reliability a longitudinal study to show the measurement of attitudes will be needed.

비고 : COM-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