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매체 이용자 집단별 사회참여와 인적교류에 관한 연구
  • 저자명|박진영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0
  • 담당교수|강태영

주제어

사회자본 ; 사회참여 ; 인적교류 ; 매체 이용자 집단 ; 매체 이용 행태 ; 미디어 레퍼토리 ; 군집분석 ; 정보자원 환경 ;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 홑겹의 사회자본

국문초록

매체 이용과 사회자본과 관련하여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선 개별적인 매체 이용과 사회자본의 관계성에 주목하여 이를 검증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었다. 더불어 사회자본 변인은 연구자에 따라 제각기 조작적으로 정의되고 일관되지 않은 기준으로 개념화 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콜만(Coleman)의 지적처럼 사회자본이 추상적이고 애매모호한 개념으로 기술되고 측정의 타당성을 확증하지 못한 연구도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자본과 매체 이용의 관계는 퍼트남(Putnam)의 1990년대 중후반 연구 이후 국내외에서 활박하게 논의되는 경향을 보인다. 특히 최근에는 온라인 가상공간에서의 사회자본 형성에 대한 논의 또한 증가하였다. 사회자본이 포괄하는 여러개념 구성체에서 공통된 일반 논리로 꼽을 수 있는 '사회적 상호작용'이 온라인을 매개로 더욱 확장되고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전통적 매체와 뉴미디어를 포함한 다매체 이용 환경에서 어떤 매체 중심으로 미디어를 이용하는지 군집분석을 통해 유형화하고 각 집단의 매체 이용과 사회자본을 분석한다. 특히 2009년 통계청 생활시간조사를 근거로 하여 사회참여활동 및 인적교류 시간 데이터를 분석하고 매체 이용자 집단 유형에 따라 사회자본이 어떤 양상을 보이는지 확인한다. 즉 집단으로 분류된 각기 매체들의 정보자원 환경을 탐색하여, 이타적 참여활동으로서의 사회참여 및 대면 접촉을 기반으로 한 인적교류와 어떤 상관관계를 형성하고 사회자본 축적의 가능성을 지지하는지 분석하는데 의의를 둔다.

영문초록

Regarding social capital,many social scientists have examined a series of factors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media use and social capital. Especially as Coleman's indication there have been a variety of errors in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social capital. For instance some researchers argued whether the media enhance or, erode social capital ambiguously.Apart from commonly defining the notion of media use and social capital, they took concepts of those in a somewhat indistinct direction. Nevertheless, the growing interest in relationships between media use and social capital has spreaded and tended to be under discussion after the study of Putnam in the middle of 1990s. These days many researchers treat of online social capital more than they used to due to the social interaction which expanded at the online community. This paper analyzes media repertoires and social capital randomly drawn from the Time Use Survey by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o explore how media using groups are formed and sustain social capital in the multi-media environment. That is the aim to examine a series of factors to explain correlation between media use and social capital of this study.

비고 : COM-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