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온라인 정치토론에서 여론의 극화와 연결망 구조 변화: 여론지도자의 연결망 내 위치와 커뮤니케이션 품질 개념을 중심으로
  • 저자명|송현진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1
  • 담당교수|김경모

주제어

온라인 정치 토론, 내러티브 프레임, 커뮤니케이션 연결망, 좁은 세상, 온라인 여론지도자, 중앙성, 커뮤니케이션 품질, 내러티브 프레임 분석, 연결망 분석, 내용 분석

국문초록

숙의민주주의와 시민참여에서 ‘담론적 참여’의 중요성은 그동안 많은 학자들에 의해 강조되어 왔다. 현대사회에서 ‘여론’이 시민들의 적극적이며 자유로운 토론을 통한‘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부터 발생한다는 인식에서부터 출발하여, 일부 학자들은 ‘여론’이 여러 내러티브 요소들이 특정한 방식으로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는 ‘프레임’이나‘내러티브 구조’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강조해 왔다. 이러한 프레임이나 내러티브 구조는 토론 참여자들의 커뮤니케이션 상호작용을 통해 집합적으로 형성되며,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의 구조가 여론의 형성과정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따라서 정치토론에서 나타나는 여론생성과 변화를 올바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여론’의 구체적인 내용뿐만 아니라 여론이 형성되는 커뮤니케이션 상호작용의 구조, 즉 커뮤니케이션 연결망의 구조를 살펴보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여론과 커뮤니케이션 연결망 구조와의 연관성에 제대로 주목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여론의 내용과 변화, 커뮤니케이션 연결망의 구조 변화와의 관계를 온라인 정치토론에서 나타나는 집단 극화 현상의 맥락에서 관찰했다. 먼저, ‘서울시 무상급식 논란’을 주제로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벌어진 토론 내용을 위계적 군집분석을 통해 분석하여 내러티브 프레임의 구체적인 내용을 파악하고, 이를 시기별로 다시 분석하여 각 시기별 프레임 요소들의 군집화 경향을 비교했다. 다음으로, 연결망 분석을 통해 ‘좁은 세상’과 같은 커뮤니케이션 연결망의 구조적 특징 및 시기별 연결망에서의 상호작용 패턴을 관찰하였다. 이를 통해, 여론의 형성과정에서 나타난 프레임 요소들의 군집화 경향과 연결망 상호작용 패턴의 변화의 관계를 명확하게 보여주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내용분석을 실시하여 여론지도자의 커뮤니케이션 품질과 중앙성지표를 검토함으로서 여론지도자의 커뮤니케이션 특징과 연결망 내에서의 위치가 여론의 형성과 변화, 그리고 연결망 구조의 형성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쳤는지를 검토했다.\r\n\r\n분석결과 무상급식 논란을 둘러싼 온라인 토론에서 나타난 사회적 의미구조는 총 3개의 프레임 군집으로 구분되었으며, 시간에 따라 프레임 요소들의 군집화 경향이 점차 뚜렷하게 나타남을 확인했다. 커뮤니케이션 연결망 수준에서도 내집단 응집과 외집단간 부정상호작용이 시간에 따라 증가하여 상호작용 패턴 역시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연결망 수준에서 집단극화 현상이 발현될수록 프레임 요소들의 군집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나, 연결망 구조와 여론의 형성이 일정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커뮤니케이션 연결망의 구조적 특징에 대한 분석결과는 연결망이 ‘선호적 연결의 원리’가 작동하는 ‘좁은 세상’의 구조적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 결과 연결망 내에서 차별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여론지도자가 존재함을 나타냈다. 토론자들의 유인가 문장과 논증 문장, 내러티브의 복잡성, 논증의 다양성과 같은 커뮤니케이션 품질과 연결망 중앙성 지표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커뮤니케이션 품질은 토론자들의 연결망 내 위치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초록

Growing body of literature have focused the importance of discursive participation in deliberative democracy and civic engagements, empathizing that‘public opinion’ is essentially a ‘communicative process’ in forms of citizens’ free and active discussions about political affairs. Scholars theorize that ‘public opinion’ can be empirically traced as ‘frame’ or ‘narrative structure’, which is thematic\r\nconstruct of closely interrelated narrative components. This narrative frame, or thematic construct, emerges and develops though interactions of discussion participants, namely communication networks. However, surprisingly little research tradition have investigated possibl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network of discussion participants and public opinion formation process. \r\nThis study tried to test and develop these ideas as follow, in context of 'group polarization' which can often be found in online political discussions; (1) identifying each narrative frames derived from discussion about ‘free-lunch bill’ debate on online forum, (2) analyzing clustering tendencies of frame segment in each period by narrative frame analysis, (3) examining the structural properties of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small-world’ phenomenon, as well as change of communication interaction patterns of network in each four period, by communication network analysis, and (4) assessing the structural isomorphism of opinion formation-clustering tendencies of frame segments-and change of network interaction patterns, in order to theorize possible relationship between opinion formation process and communication network. Furthermore, through content analysis, this study examines the (5) communication quality and network centrality of online opinion leaders, in order to assessing the impact of online opinion leaders in public opinion formation process and formation of network interaction patterns. Findings from communication network and narrative frame analysis both suggest that narrative frames and its segments derived from discussions tend to cluster more clearly on second and third period, in accordance with growing tendency of polarization in network interaction patterns; increasing of negative interaction among non-like minded participants, along with consolidation of like-minded participants. Furthermore, structural properties of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variation of mean network centrality or network centralization index indicate that communication network of 980 discussion participants has ‘small-world’ properties, due to the existence of online opinion leaders. Analysis also confirm that various centrality measures of discussion participants closely correlated with their communication qualities―number of valenced and argument statements, complexity of narrative, heterogeneity of argument, etc., suggesting that communicationquality plays central role in structuration of communication network and interaction patterns.

비고 : COM-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