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Geographical Inequalities in Media Connectedness in Seoul
  • 저자명|Shon, Hae Young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1
  • 담당교수|강태영

주제어

미디어 이용 ; 미디어 이용동기 ; 디지털 격차 ; 위계적 선형모델

국문초록

본 연구는 개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지역적 특성이 인터넷과 SNS을 중심으로 한 미디어 이용과 그 동기에 어떠한 효과를 갖는지를 위계선 선형모델(Hierarchical Linear Model)을 사용하여 파악함으로써 개인의 미디어 이용을 다차원적으로 검증하고, 미디어 이용의 지역적 차이를 줄일 수 있는 실천적 개입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속변수인 "미디어 이용은"은 미디어 이용 "목적"과 "의존도"로 나누어 각각을 "범위"와 "강도"로 구성하여 살펴보았으며, 독립변수는 개인의 6가지 인구통계학적 특성(성별, 연력, 교육수준, 소득수준, 거주기간, 주택소유 형태)과 5가지 지역적 특성(각 25개 구의 재정자집도, 노령화지구, 교육수준, 인터넷 활용시간, 커뮤니티 행사 참여 비율)으로 나누어 이들이 개인의 미디어 이용에 미치는 각각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인터넷과 SNS를 지속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서울 25개구에 거주하는 성인(1365명)으로 설정하였다.\r\n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첫 번째 파트에서는 개인의 인구통계학적 특징과 지역적 특성이 그들의 미디어 이용 목적과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위계적 선형모델 분석을 통한 결과를 살펴보면, 개인의 연령, 성별, 교육수준, 소득수준이 그들의 미디어 이용 목적과 의존도의 범위와 강도를 결정짓는 가장 주요한 개인적 차원의 변수임이 확인되었고, 지역의 교육수준과 재정수준, 그리고 노령화 비율이 주요한 지역적 차원의 변수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두 번째 파트인 개인의 미디어 이용 동기에 대한 다차원 분석은 "뉴스 및 정보 추구", "관계 형성" 그리고 "오락"이라는 세 가지 동기로 나누어 검증되었다. 결과를 살펴보면, 개인의 교육과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뉴스 및 정보 추구", 그리고 "관계 형성" 동기를 가지고 미디어(인터넷과 SNS)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그와는 대조적으로 교육과 소득수준이 낮은 개인들은 같은 미디어일지라도, 그것을 "오락추구"의 동기로 사용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지역적 차원을 살펴볼 때 역시 재정수준과 교육수준이 높은 지역에 사는 개인일수록 "정보추구"와 "관계형성"의 목적을 가지고 미디어를 활용하는 반면, 재정수준과 교육수준이 낮은 지역에 사는 새인은 "오락추구"의 동기를 가지고 미디어를 이용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r\n본 연구는 개인의 미디어 이용과 그 차이를 결정짓는 요소로서 개인적 차원과 지역적 차원을 동시에 고려하여 검증하였다는 점과 같은 미디어를 이용한다고 할지라도 그들의 교육수준과 소득수준, 그리고 그들의 거주 지역 특성이 미디어 이용동기의 사회적 계층화를 가져옴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개인의 미디어 활용 능력의 향상과 차이를 줄이기 위해서는 그들의 개인적 특성뿐 아니라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사회 지지망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영문초록

In this research, I have attempted to provide and analysis of the individual's media connectedness as influences by multi-level factors. With the rapidly social, political, technological and cultural change, information has become a new source of economic and political power. Based on that, "digital divide" which involves the gap between individuals (and societies) that have the resources to participate in the information era and those that do not becomes more than an issue of access. Thus, I hypothesized that how individual's media connectedness is influenced not only by individual-level factors (e.g., individuals' income, or education levels) but also the factors related to what types of areas they lived. I tested this hypothesis with survey data collected in October 2010 from 1365 residents who lived in 25 districts in Seoul.\r\nThe fist part of the study provided the theoretical an analytical framework for this study. The issue of "digital divide" and "geographic inequalities" was raised at the theoretical level by discussing multidimensional of digital divide.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people's media connectedness was influenced both individual-level and contextual-level factors. Multilevel analyses showed that "age","gender","education", and "income" are significant individual-level factor affect the internet and SNS connectedness when individual-level characteristics and measurement error controlled.\r\nThe second part,I discussed the people's media use motivation through testing the effects of the individual and contextual factors on three kinds of internet and SNS use motivations (new &. information, Social connectedness, and Entertainment). First, multilevel analyses showed that individuals who are older, male and more educatede are more likely to use internet and SNS with "news & information" use motivation. Second,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individuals who are younger, female, more educated and have high degree of education level are more likely to use internet and SNS with "social connectedness"use motivation. Lastly. multilevel analyses showed that individuals who are younger, female, and less educated and have low degree of education level are more likely to use internet and SNS with "entertainment(play)" use motivation. These findings illustrate the dynamic relation ship between the individuals 'SES and their media use motivations. In other words. these results implies that segments of the population with higher socioeconomic status tend to acquire more information and social at a faster rate than rhe lower atatus segments, o that the gap in knowledge and social capital between these segments tends to increase.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provide an important justification for exploring new ways of digital inequalitie.

비고 : COM-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