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직원간 관계커뮤니케이션 정도가 조직에 대한 직원들의 커뮤니케이션 행동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저자명|조은미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1
  • 담당교수|한정호

주제어

직원간 관계커뮤니케이션, 상사와의 관계커뮤니케이션, 동료와의 관계커뮤니케이션, 조직동일시, 사회정체성이론, 상황이론, 커뮤니케이션 행동, 정보추구, 정보처리

국문초록

조직동일시(organizational identification)는 조직원이 자신이 속한 조직의 운명을 자신의 운명이라고 인지하는 심리적 반응으로, 최근 경쟁적인 기업 환경에서 직원의 이탈을 막고 직원들에게 조직에 대한 애착심을 형성하는 등 조직 운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개념이다. 이 연구에서는 조직몰입, 직무만족, 이직의도 등 주로 조직행동적 차원에서 연구되었던 조직동일시를 조직커뮤니케이션 및 PR적 관점에서 주목하여 이들의 인과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r\n\r\n사회정체성이론을 통하여 조직동일시의 개념을 정리하였으며, 문헌검토를 통해 대인적 차원에서의 관계적 커뮤니케이션이 조직동일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고 선행변인으로 직원간 관계커뮤니케이션에 주목하였다. 직원간 관계커뮤니케이션은 상사와의 관계커뮤니케이션, 동료와의 관계커뮤니케이션을 그 하위 차원으로 구성하였다. 결과변인으로는 문헌검토를 통해 조직동일시가 조직에 대한 직원의 자발적 행동을 유발하는 것을 확인하고, 조직에 대해 자발적으로 정보를 추구하거나 처리하는 커뮤니케이션 행동에 주목하였다. 커뮤니케이션 행동은 상황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개념을 정리하였고, 조직에 대한 정보추구와 조직에 대한 정보처리를 커뮤니케이션 행동의 하위차원으로 구성하였다.\r\n\r\n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직원간 관계커뮤니케이션 정도가 높을수록 조직동일시가 유발되고, 높은 수준의 조직동일시는 조직에 대한 직원들의 커뮤니케이션 행동을 활성화시킨다고 보았다. 연구방법으로는 국내의 대기업, 외국계기업, 공기업적 성격을 가진 기업의 직원을 대상으로 3주간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델 분석을 사용하였다.\r\n\r\n연구결과 직원간 관계커뮤니케이션 정도가 높으면 조직동일시를 유발함을 알 수 있었고(연구가설 1), 매개된 조직동일시는 조직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행동을 활성화시킴을 알 수 있었다(연구가설 2). 또한 직원간 관계커뮤니케이션 정도가 조직동일시를 매개하지 않을 때 조직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행동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력보다 조직동일시를 매개할 때의 영향력이 훨씬 크게 나타나 조직동일시의 매개효과가 증명되었다(연구가설 3). 마지막으로 문헌검토를 통해 성별에 따라 조직동일시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커뮤니케이션 정도가 다를 것으로 예상하여 확정된 연구모형을 가지고 성별에 따라 연구모형이 상이한지를 살펴보았는데, 이 역시 가설이 지지되었다(연구가설 4).\r\n이 연구는 서로 다른 연구개념을 가진 직원간 관계커뮤니케이션, 조직동일시, 조직에 대한 직원들의 커뮤니케이션 행동의 인과관계를 탐색적으로 살펴보았으며 조직동일시의 매개효과를 발견함으로써 조직동일시 연구의 새로운 측면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기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제적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실무에서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영문초록

It is important for a company to keep employees in competitive corporate situation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is employee’s attitude or reaction about the organization and employee’s feeling that theorganization’s destiny is same as my destiny.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is known to cause employees behaviors about the organization. In this study,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is identified through social identity theory. According to social identity theory and the literature reviews, interpersonal relational communication can influence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Therefore in hypotheses 1, it is assumed that employee relational communication levels can positively influence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In this study, employee relationalcommunication levels are consisted of the superior-subordinate relational communication level and the colleague relational communication level. On the other h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is known to cause employees’ behaviors to the organization. Especially this study is focused on employee’s communication behaviors about the organization. Therefore in hypothesis 2, it is assumed that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can positively influence activating employee’s communication behaviors about organization. Based on situational theory, employees’ communication behaviors about the organization are consisted of information seeking about the organization and information processing about the organization. In hypothesis 3, it is assum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influencing of employee relational communication levels on activating employees’ communication behaviors about the organization when they have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s moderating effect or not. Through literature reviews, it is assumed that research model can be different according to employees’ sex in hypothesis 4. This study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s a research method. Samples are the employees living in Seoul(N=287). In addition, data was collected for three weeks. Hypothesis 1, 2, 3 and 4 are verified. Through the results, the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is verified in this study and it is suggested to examine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deeply in \r\nfurther studies.

비고 : COM-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