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노인의 사회자본과 건강: 고령화 연구패널(KLoSA)자료를 사용한 상호인과관계분석
  • 저자명|우지희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1
  • 담당교수|김용찬

주제어

KLoSA, 양시점 교차지연모형, 사회자본(Social Capital), 노인, 커뮤니케이션 하부구조이론(Communication Infrastructure Theory), 패널자료, 건강행위, 건강상태, 우울증, 관계망, 사회활동

국문초록

최근 인구 고령화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노인의 의료비용 부담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의료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캠페인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연구들에서 노인의 사회관계에 초점을 둔 캠페인의 비용효율성이 증명되었다. 따라서 가족, 친구와의 관계, 각종 사회단체 참여 등과 같은 사회자본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본 연구는 노인의 건강에 관련한 결과들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사회자본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했다.\r\n\r\n현재까지 보고된 건강과 사회자본 사이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국내 연구의 대부분은 횡단연구로 인과관계를 규명하기 어렵고, 건강과 관련된 다양한 변수를 제시하기보다 특정 변수만을 다루었다. 이러한 종전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선행시점의 가족과의 만남/연락, 친구/이웃과의 만남, 가족과의 동거, 사회단체 참여와 같은 사회자본 변수가 후행시점의 노인의 건강 행위 및 건강 검진,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증이라는 건강 관련 변수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와 동시에 역으로, 건강관련 변수가 노인의 사회자본 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 각 사회자본변수와 각 건강관련 변수간 상호적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r\n\r\n본 연구에서는 2006년과 2008년의 고령화연구패널(KLoSA) 데이터 중, 분석에 필요한 변수에 모두 응답한 1893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에 사용,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r\n\r\n연구 결과, 이전 시점의 가족 관계망 즉, 가족들과의 연락과 만남 빈도가 많을수록, 다음 시기의 건강행위가 높아졌고, 이전 시점에서 가족 이외의 친한 사람들과의 만남의 빈도가 많고, 사회활동 참여에 적극적일수록 다음 시기 건강 검진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그리고 이전 시점의 사회활동 참여 빈도가 현재의 주관적인 건강 상태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된 반면, 가족의 동거는 주관적 건강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전 시기 가족 이외의 친한 사람과 만남 빈도 또는 사회활동 참여 빈도가 많아질수록, 다음 해의 우울증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전시점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다음 시기의 친한 사람과의 만남과 사회활동 참여가 늘어났다.\r\n\r\n즉, 가족 외적 관계가 자녀와의 만남, 연락 및 배우자, 자녀 동거 같은 가족관계에 비해 노인의 건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비가족관계의 건강에 대한 상대적 중요성이 드러났고, 주관적 건강이 친구, 이웃과의 만남이나 사회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주관적 건강과 대외 활동간의 상관관계를 고려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영문초록

Recently, as the aging of the population has become a serious issue, higher medical expense is predicted to be a big threat in the future. To reduce such medical expense, certain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campaign, fortifying social support, social capital or interaction, was also proved to be helpful like other campaigns, according to researches on campaign's economic benefits. For successful launch of campaigns, the deeper understanding of senior citizen's relationship and social engagement is required. Therefore, it is required to analyze which kind of social capital especially influences on senior citizen's health. Most of the domestic studies that dealt with health and social capital, have \r\nlimitations; firstly, as they are cross sectional studies, it is difficult for them to verify whether result is a causal relationship, and secondly, they don't examine various health variables. To overcome such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I analyzed of which social capital variables(family network, non-family network, living together with family, social engagement) of earlier time period,influenced on specific senior citizen's health variables(health behavior, medical check-up, self-rated health, depression) either negatively or positively. In addition, I also analyzed if there exists an reverse causality, health variable can affect social capital variable. Utilizing the KLoSA(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data 2006 and 2008, I applied two-wave cross-lagged regression method. Results are as follows: (1)One with strong family networks of earlier time period can experience higher degrees of practicing positive health behaviors during later time period. (2)Strong non-family networks and active social engagement of earlier time period affected higher medical check-ups during \r\nlater time period. (3)Frequency of social engagement of earlier time period had positive influence on self-rated health of later time period, otherwise, \r\nliving together with family had negative effect on self-rated health of later time period. (4)Strong non-family networks and active social engagement of earlier time period decreased depression scales of later time period. (5)Better the self-rated health of earlier time period, the more non-family networks one established and engaged in social activities in later time period. Results indicated that non-family relationship had positive influence on overall health of senior citizens, while most family relationship didn't have positive relationship with many health factors. Results also indicated that self-rated health had positive effects on non-family networks and social engagement. This result suggest the need to consider coexisting influence of both health status and outside activities.

비고 : COM-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