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미디어 이용이 남자 대학생의 외모관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저자명|김상화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2
  • 담당교수|강상현

주제어

외모관리행동,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대인 상호작용, 자아존중감, 성역할 정체감, 문화계발효과이론

국문초록

최근 들어 외모에 관심을 보이는 남성이 점차 늘어나는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이런 사회상의 배경으로 여러 가지 이유들이 제기되지만, 남성들에게 외모관리행동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관련된 사회적 분위기를 형성한 그 파급효과에는 미디어의 영향력을 간과할 수 없을 것이다. 미디어 시대인 오늘날 대중매체와 여러 미디어들은 사람들의 사고와 가치관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또한 미디어에서 전달하는 외모나 신체에 대한 이상적 기준 제시 역시 사람들의 사고와 가치관에 크나큰 영향력을 행사한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미디어가 외모관리를 강조하는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생산한다고 하더라도 이것을 접한 모든 수용자들이 일괄적으로 자신의 외모를 가꾸기 위해서 관심을 보이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수용자가 미디어 메시지를 해석하고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사회적 주변 환경과 개인이 가지고 있는 특성들이 함께 상호작용하는 속성을 지니고 있어 메시지를 수용하고 처리하는 과정이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이다.\r\n\r\n따라서 본 연구는 미디어(텔레비전, 인터넷) 노출과 이용이 남성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외모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파악하고, 사회적 주변 환경(대인 상호작용)과 내면의 개인적 속성(자아존중감, 성역할 정체감)이 어떻게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검증함으로서, 미디어 이용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여러 변인들 간의 상호작용 관계성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r\n\r\n본 연구는 텔레비전 우연 노출, 텔레비전 관심 시청, 인터넷 우연 이용, 인터넷 관심 이용을 독립변인인 미디어 이용에 대한 하위차원으로서 설정하고,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를 매개변인으로 설정하며, 대인 상호작용, 자아존중감, 성역할 정체감을 조절변인으로 설정하여 남자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r\n\r\n연구결과를 간략하게 요약하면, 남자 대학생의 미디어 이용 정도에 따라 외모관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 과정에서 수용자가 관심을 기울이고서 미디어를 이용하는 정도가 우연히 노출되어 미디어를 이용하는 것보다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가 이 과정을 매개하였다. 사회적 주변 환경인 대인 상호작용은 조절변인이 아니라 외모관리행동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독립변인으로 밝혀졌으며, 성역할 정체감의 개념 중 여성성의 수준에 따라 미디어 이용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절 효과가 관찰되었으며,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는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즉, 미디어가 개인의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효과는 다양한 변인들이 상호작용하며 일어나는 것이고, 미디어뿐만 아니라 외모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검토하기 위해서는 수용자 개인의 특성과 주변의 여러 사회적 환경을 고려하여 통합적인 시각으로 분석할 필요성을 시사한다.\r\n\r\n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현재까지 학계에서 이루어진 외모관리행동의 원인에 관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여러 요인들을 제시하나 각각 변인들의 개별적인 영향력을 제시하여 포괄적으로 외모관리행동의 발생 기전에 관해 접근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외모관리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은 연구대상을 주로 여성으로 제한하고 있으며, 남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주로 의류학 분야에서의 의복 태도, 쇼핑성향, 의복구매행동에 대한 소비행태 분석 연구와 심리학 분야에서의 태도 및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학적 요인분석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다. 그런 점에서 본 연구는 미디어 이용이 남성의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과정에서, 사회적 주변 환경과 개인적 속성의 변인들 간의 관계성을 통합적으로 고찰하여 일련의 과정에 대한 종합적 분석을 통해 외모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는 남성들을 좀 더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학문적 측면에서 미디어가 지닌 문화계발효과를 검증하는데 또 다른 토대가 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영문초록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situation in which men recently are interested in their appearance, and hence it investigates what influence media use has on men’s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and their behavior of appearance care. Through this course, considering the properties of the interaction between receptors’ social circumstances and individuals’ characteristics, this study verifies whether they have moderating effects.\r\n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interactive relatedness among numerous variables in the influence of media use on the behavior of appearance care by grasping the course in which media (including television broadcasting and Internet) exposure and media use has influence on men’s sociocultural attitudes and their behavior of appearance care, and by verifying how social circumstances (interpersonal interaction) and inner individual properties (self-esteem and sex role inventory) have mediating effects.\r\nBy establishing accidental television exposure, intentional television watching, accidental Internet use, and intentional Internet use as a sub-dimension of media use, an independent variable, by treating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as an mediating variable, and by setting up interpersonal interaction that is a social circumstance and self-esteem and sex role inventory that are individuals’ properties as moderating variables, this study has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r\n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r the influence of the degrees of male university students’ media use on the behavior of appearance care, it turned out that receptors’ interested media use had greater influence than their accidental media exposure, and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mediated this course. It turned out that interpersonal interaction as a social circumstance was not a mediating variable but an independent variable that had direct influence on appearance care behavior, it was observed that the levels of feminity showed mediating effects on how media use had influence on appearance care behavior, and it appeared that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uggests that the effects that media have on individuals’ behavior of appearance care occur by the interaction among diverse variables, and that in order to examine other factors than media that have influence on the behavior of appearance care,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analyses from an integrative view in consideration of individual receptors’ characteristics and numerous social circumstances.

비고 : COM-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