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SNS 공중분류모델을 통한 공중의 커뮤니케이션 특성에 관한 연구: SNS 공중분류 모델의 제안 및 적용을 중심으로
  • 저자명|김지은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2
  • 담당교수|한정호

주제어

SNS 공중, 공중세분화, 상황이론, SNS 공중분류모델, SNS 활용인식

국문초록

SNS 가 새로운 PR 수단으로 이목을 끌면서, SNS 를 사용하는 공중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PR 분야의 대표적 공중분류이론인 상황이론과 SNS 활용 인식 관련 연구를 바탕으로, 실제 공중의 커뮤니케이션 활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를 찾고 새로운 SNS 공중분류모델을 제시한 후, 모델의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SNS 공중의 커뮤니케이션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탐색해 결과, 상황 변수 중 <문제인식> 변인과 SNS 상의 관계 만족과 관련된 , SNS 를 통해 이슈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변인이 선정되었다. 이 세가지 변수를 중심으로 제시된 ‘SNS 공중분류 모델’은 상황이론 및 다른 경쟁 모델에 비해 더욱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제 SNS 공중의 특성을 잘 분류해주었다.\r\n제시된 SNS 공중분류모델의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반값등록금’, ‘한-미 FTA’, ‘제주도 강정마을 해군기지’ 이슈를 중심으로 분류된 공중의 커뮤니케이션 행동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문제인식>, 을 기준으로 네 그룹으로 분류된 공중은 비활동공중, 제약행동공중, 관계중심공중, 활동공중 순으로 활발한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수행하였다. 또한, 네 공중그룹을 다시 변인을 중심으로 여덟 공중으로 분류해본 결과, 각 공중 그룹 내에 SNS 제약인식 수준이 낮은 공중이 더 활발한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세 이슈와 SNS 를 통한 정보처리, 정보선택, 정보공유, 정보추구활동에서 일관적으로 제시됐음을 알 수 있었다.\r\n핵심어: SNS 공중, 공중세분화, 상황이론, SNS 공중분류모델, SNS 활용인식

영문초록

As SNS become a new PR Channel, Publics using SNS attract attention. In PR research, the classification of the public is very important part of the study for the effective communication to each group. Despite the rise of SNS studies in PR research, few studies have been done on the SNS publics. Hence, this study addresses SNS Publics using facebook and twitter as a PR medium.\r\nThe aims of this paper are threefold. First, I suggested the SNS Public Classification Model with variables from Grunig’s Situational Theory and the recent SNS studies. Comparing possible six model, Model 6 (problem recognition · perceived encouragement · SNS constraint recognition)has been proved mostly useful.\r\nNext, I examine this model could classify SNS publics more effectively than Grunig’s. The result shows SNS Public Classification Model is more useful than the Grunig’s to classify each group of public.\r\nAt last, I apply this model to three social issues, Half tuition· The Korea- USA FTA· Jeju Gangjung troops and describe communication behaviors of each SNS public. Classifying publics into 4 groups with 2 variables (problem recognition·perceived encouragement), active public, relational oriented public, constrained public, inactive public in order are likely to communicate positively in all issues. Classifying 4 groups into 8 groups including SNS constraint recognition variable, the public who has lower level of SNS constraint recognition are seeking more information, sharing and discussing about issues. That result is consistent with three issues and all communication behavior with SNS.

비고 : COM-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