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An Exploratory Study on Collective Efficacy in Facebook
  • 저자명|Inyoung Shin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2
  • 담당교수|김용찬

주제어

페이스북, 인적 네트워크 망, 집합적 효능감, 비공식적 사회 통제감, 사회적 결함감,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

국문초록

인적 네트워크 망을 기반으로 페이스북의 이용은 사회적 행동을 증진시키는 요소로 많은 학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페이스북에 관한 선행 연구 대부분은 페이스북과 사회적 행동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출 뿐 어떤 이유에서 사람들이 페이스북을 통해 사회적 행동을 보이는지 설명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적 네트워크 망의 속성에 맞춰, 페이스북 이용자가 사회적 행동을 보이는 이유를 밝히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집합적 효능감이라는 인적 네트워크 망의 속성을 개념화 하여, 페이스북 상의 집합적 효능감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r\n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페이스북 상황에 맞는 집합적 효능감 측정 도구를 개발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집합적 효능감이 실제 페이스북상에 적용가능한지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페이스북상의 집합적 효능감의 측정항목들은 비공식적 사회 통제감과 사회적 결합감이라는 하위 요인으로 설명되었지만, 이 두 개의 하위요인들이 집합적 효능감이라는 하나의 구성체를 구성하지 못했다. 이는 집합적 효능감이 비공식적 사회적 통제감과 사회적 결합감이라는 하위 요소로 설명될 것이라는 본 연구의 가설과는 다른 결과였다.\r\n비록 가설이 받아들여지지 하였지만, 본 연구에서 집합적 효능감과 관련된 요인인 비공식적 사회 통제감과 사회적 결합감이 페이스북 이용자의 사회적 요소들과 어떻게 관련을 맺는지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탐색해보았다. 분석 결과, 인적 네트워크망의 구조와 관련된 변인들은 사회적 결합감에 강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으나, 사회적 경험과 관련된 변인들의 경우 비공식적 사회적 통제감에 강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초록

Many researchers argued that use of Facebook affected individuals’ social behaviors. Yet most previous research cannot explain how Facebook users engage in social behaviors. Therefore, the current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how its users participated in social behaviors by focusing social factors of social networks. Specifically, the study introduced collective efficacy as a social factor promoting Facebook users’ social behaviors and explored its influence factors. First, the study developed the scale of Facebook context of collective efficacy by modifying the previous scale and conducted EFA and CFA to identify construct of collective efficacy in Facebook. Results showed that two concepts - informal social control and social cohesion - explained items used for this study. However, these two concepts did not consist of the latent construct. Although results supported the proposed construct of collective efficacy, the study examined influence factors of two concepts by employ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upported that variables related to structure of social networks in Facebook worked as main predictors of social cohesion, variables related to social processed had a strongest effect on informal social control.

비고 : COM-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