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대안매체에 대한 주류매체의 뉴스 프레임: 팟캐스트 <나는 꼼수다> 관련 신문보도를 중심으로
  • 저자명|이지효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3
  • 담당교수|윤영철

주제어

대안매체 ; 주류매체 ; 뉴스 프레임 ; 프레이밍 ; 나는 꼼수다 ; alternative ; media ; mainstream media ; news frame ; framing

국문초록

국문초록\r\n 사회체제를 불문하고 대중매체는 비교적 소수의 지배적인 권력과 자본, 제작자에게 집중되고 그들에 의해 만들어진다. 그렇게 만들어지거나 영향 받은 메시지는 다수의 구성원에게 강제됐고 비민주적인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만들어냈다. 주류매체는 결과적으로 지배집단의 입장과 이익에 유리한 정보만 사회적으로 유통시킨다는 비판에 직면했고 대안매체를 쟁점화하고 현실화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이러한 대안매체가 주류매체와 완전히 동떨어진 것은 아니다. 대안매체는 매체가 지니는 근본적인 특성과 동원 가능한 자원의 한계 등으로 여전히 주류매체에 대한 ‘대안’으로서 존재한다. 주류매체 역시 대안매체와 관계를 맺고 있다. 대안매체의 동향이 곧 뉴스거리기 때문이다. 그러나 매체가 현실을 구성하는 구성주의적 시각에서 본다면 주류매체가 대안매체를 어떻게 보도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필연적인 의문이 따른다. 이러한 의문은 주류매체가 보도를 통해 대안매체에 대한 의미를 생산하여 수용자로 하여금 특정 시각을 갖도록 유도한다는 전제를 갖는다.\r\n 따라서 본 연구는 <나꼼수>를 대안매체의 전형으로 보고 주류매체의 신문보도를 분석했다. 이를 위해 2011년 4월 28일부터 2012년 5월 11일까지를 분석 기간으로 정하고 <나꼼수>와 직, 간접적으로 연관된 <조선일보>, <한겨레> 기사를 전수 조사하여 내용 분석과 프레임 분석을 실시했다. 특히 보도행태와 뉴스 프레임을 중심으로 하여 각 매체의 대안매체에 대한 시각을 비교, 분석하고자함이었다.\r\n 먼저 보도행태를 살펴본 결과, 첫째, 뉴스 게재면 토픽을 보면 <조선일보>, <한겨레> 모두 <나꼼수> 관련 보도를 종합면에 가장 빈번히 게재한 것으로 드러났다. 종합면을 제외하면 오피니언면을 많이 활용했다. 둘째, 뉴스유형의 측면에서 <조선일보>, <한겨레> 모두 <나꼼수>를 보도함에 있어 스트레이트의 비중이 가장 컸다. 상대적으로 해설분석 기사는 저조한 수준이었다. 셋째, 보도태도의 측면에서 보도태도를 크게 긍정, 중립, 부정의 세 가지로 분류해 분석한 결과, <조선일보>, <한겨레> 모두 대체로 중립적인 보도를 한 것으로 파악됐다. 그러나 <조선일보>의 경우는 <나꼼수>에 대한 긍정적인 보도가 단 한 건도 발견되지 않았으며, 반면 <한겨레>는 긍정, 중립 보도가 전체 기사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넷째, 정보원의 측면에서 <조선일보>, <한겨레> 모두 정보원 활용빈도가 그리 높지 않았다. 정보원 유형은 각 신문사 별로 다르게 나타났는데, <조선일보>는 <나꼼수> 보도에 있어서 현상적인 측면을 기술하는 방식으로 대안매체 관계자들의 입을 통해 <나꼼수> 전반에 대해 전달하는 방식을 취했고, <한겨레>의 경우, 해당 대안매체를 이용하는 일반인들의 입을 빌렸다. \r\n 프레임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보도 내용 프레임 분석을 위해 귀납적으로 프레임을 도출한 결과 ‘순기능/역기능 공존 프레임’, ‘야당 비판 프레임’, ‘주류 횡포 프레임’, ‘부정적 영향 프레임’의 4개 프레임이 도출됐다. <조선일보>, <한겨레> 모두 ‘순기능/역기능 공존 프레임’이 가장 빈번하게 도출된 프레임으로 <나꼼수>에 대한 긍정, 부정적 영향력을 피력하는 프레임이 다수로 드러났다. 신문사별로는 <조선일보>의 경우 <나꼼수>에 대한 ‘부정적 영향 프레임’이 절반이 넘는 비중을 차지했으며 ‘야당 비판 프레임’이 그 뒤를 이었다. <한겨레>는 <조선일보>와는 반대로 ‘주류 횡포 프레임’이 가장 빈번하게 도출됐다. \r\n 미디어 프레임에 관한 연구는 그간 즐비했으나 본 연구는 기존의 프레임 분석에서 이뤄졌던 ‘사회 갈등적 사안’에만 초점을 맞춘 것이 아니라 ‘새로운 사회적 현상’에 주목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대상이 일반적이지 않기 때문에 이슈가 가지는 특수성에 기인하여 프레임이 드러났고 이는 더욱 고무적이라고 할 수 있다.

영문초록

No matter what the basic framework of society. Mainstream media has largely concentrated in the hands of so few people. Moreover Mainstream media has created contents just for the power. These contents have been unilaterally compelled to people. Mainstream media, consequently, has been subjected to robust criticism. It makes an issue of alternative media and rationalize alternative to society. However, Alternative media is not out of touch with Mainstream media. Since Alternative media has the limit, it exists literally ‘alternative' of Mainstream media. Mainstream media is also related with the alternative media as a news source. But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of constructionism insists media constructs reality, There is a question arises how alternative media is reported. \r\n Therefore, Regarded as the representative of alternative media, this study made analysis of mainstream media's articles based on both content analysis and frame theory. Thus this study performed analysis on reports of , about case from April 28th in 2011 to May 11th in 2012. Especially this study made a comparison of mainstream media's perspective for the alternative media along with the reports.\r\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mmarized in the following. Looking through report tendency, Firstly, In the news topic aspect, Both newspapers put a lot of reports in the round-up section. Secondly, In the news category aspect, When it comes to report about , the news type of straight was the highest of great frequencies in both newspapers. Compared with this, Analysis article had a low frequency. Thirdly, In the aspect of attitude for the report, Both newspapers had reports more for neutral. But there was no positive reports in . Fourth, In the aspect of source for the article, The press utilized sources much less. The type of source was quiet different between newspapers.\r\n Seen from the result of frame analysis, This study used deductive reasoning to reach content analysis. As a result of this, There were 4 frames deduced which were ‘Right/Adverse co-existence' frame, ‘Criticism of the opposition party' frame, ‘The tyranny of the majority' frame, ‘Negative effect' frame. The frames clearly spelt out the difference following each newspaper. In the case of , more than half of the frames were 'Negative effect' frame. On the contrary to this, In the case of , ‘Positive effect' frame was reported much more frequently than others. \r\n In fact, There are full of studies based on frame analysis. Nevertheless this study is still meaningful. because the earlier studies were generally focused on ‘social conflict' issue. however this study made a new leap for fresh subject which was about ‘new social phenomenon'. Since the object of the study was not general, this study took note for speciality which had. and this speciality could be drawn from through frames.

비고 : COM-1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