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온라인 허위 루머와 제 3자 효과: 미디어 이용, 지각적 편향, 미디어 규제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저자명|이수민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3
  • 담당교수|윤영철

주제어

온라인 루머, 제 3자 효과, 사회적 거리감, 미디어 이용, 미디어 규제

국문초록

최근 온라인 허위 루머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사이버 모욕죄 신설과 같은 미디어 메시지 규제가 현실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온라인 루머에 관한 경험적 연구는 상대적으로 제한적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 연구는 온라인 허위 루머의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수용자 인식과 미디어 규제에 대한 지지를 제 3자 효과의 이론적 틀을 적용하여 탐색하였다. 제 3자 효과는 부정적인 미디어 메시지가 자신보다 다른 사람들에게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하는 지각적 편향을 설명하는 가설이다. 이 연구는 온라인 허위 루머를 인터넷 상에서 널리 퍼진 허구의 메시지로 보고, 부정적 메시지에 대한 기존 제 3자 효과 연구들을 검토한 후 이를 바탕으로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r\n연구문제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뉜다. <연구문제 1>에서는 사회적 거리에 따른 제 3자 효과를 검증한다. <연구문제 2>에서는 미디어 이용이 제 3자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다. <연구문제 3>에서는 제 3자 효과의 행동적 요소인 미디어 규제 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탐색한다.\r\n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연구문제를 검증한 결과, 첫째, 사회적 거리에 따른 제 3자 효과가 확인되었다. 즉, 자신보다 동료대학생이, 동료대학생보다 일반성인이, 그리고 일반성인보다 청소년이 온라인 허위 루머로부터 영향을 크게 받을 것이라고 편향 지각하였다. \r\n둘째, 제 3자 효과는 온라인 허위 루머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일수록, 그리고 지각된 사회적 유해성이 클수록 강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r\n셋째, 온라인 허위 루머에 대한 노출정도가 적을수록 제 3자 효과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허위 루머에 적게 노출된 집단은 많이 노출된 집단보다 다른 사람들이 자신보다 허위 루머에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편향 지각하였다. \r\n넷째, 신문 이용량에 따라 공적이슈에 관한 허위 루머의 제 3자 효과 크기에 차이가 나타났다. 신문 중이용자는 경이용자보다 공적이슈를 다룬 허위 루머에 자신보다 타인이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편향 지각하였다. 반면 사적이슈를 다룬 허위 루머에 대해서는 뉴스 이용량에 따른 지각적 편향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r\n다섯째, 제 3자 효과는 온라인 허위 루머 규제 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거리가 먼 일반성인의 경우 제 3자 효과가 클수록 미디어 규제를 지지하는 반면, 사회적 거리가 가까운 동료대학생의 경우 동료대학생이 온라인 허위 루머에 크게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생각할수록 규제를 지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온라인 허위 루머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지닐수록, 정치 및 외교안보 이슈에 대해 보수적 이념성향을 보일수록 온라인 허위 루머 규제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초록

As online false rumors have recently come to the fore, restrictions on online rumors are now under discussion in South Korea. Nevertheless, empirical studies on the topic of online rumors are relatively limited. Under this circumstance, this study aims to examine perceptions of the social influence of online rumor as well as attitudes towards media message regulation, with a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third-person effect. The third-person effect refers to the perceptual gap between the beliefs about the effects of media messages on the self and on others. That is, the third-person hypothesis predicts that individuals will perceive media to have a greater influence on others than on themselves. This study defines online false rumors as false messages that are disseminated on the internet. Based on the review of former third-person effect studies on negative messages, research questions were suggested. \r\nResearch question 1 examines the third-person effect by social distance. Research question 2 investigates the role of media usage in the third-person effect. Lastly, research question 3 explores predictors of support for media message regulation including third-person effects. \r\nAn online survey of 213 college students was conducted. Firstly, the results demonstrate the third-person effect by social distance. Respondents perceived that their fellow college students were more affected by online false rumors than themselves, that regular adults were more affected than college students, and that adolescents were more affected than regular adults. \r\nSecondly, the third-person effect was intensified with more negative attitude towards online rumors as well as with greater perceived social maleficence of online rumors. \r\nThirdly, the less exposure a person has to online rumors, the greater the third-person effect has. Respondents with high exposure to online rumors showed stronger perceptual bias than those with relatively low exposure to online rumors.\r\nFourthly, the third-person effect of online rumors about public issues differed by newspaper consumption. Heavy consumers of newspapers showed greater perceptual bias than did light users. However, regarding online rumors about private issues, no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newspaper consumption and the third-person effect.\r\nLastly, the third-person effect predicted support for restriction of online rumors. For general adults with relatively far perceived social distances, the third-person effect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online rumor restriction. That is, the greater the third-person effect, the stronger the support for regulation. On the other hand, for college students with relatively close perceived social distances, the third-person effect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regulation. The greater the perceived influence of online rumors on one’s fellow students, the less support for restriction on online rumors. In addition, negative attitudes towards online rumors as well as conservative ideological tendencies towards political and diplomatic issues were also associated with media message regulation.

비고 : COM-1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