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커뮤니케이션 하부구조와의 연결성과 집합적 효능감이 중국동포 이주민의 통합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저자명|김유정
  • 학위|박사
  • 졸업연도|2013
  • 담당교수|최양수

주제어

통합적 적응, 커뮤니케이션 하부구조, 커뮤니티, 스토리텔링 네트워크 연결성, 집합적 효능감, 내적 집합적 효능감, 외적 집합적 효능감, 중국동포, 조선족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 내 소수집단인 이주민들이 커뮤니티 내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자원을 통해서 커뮤니티와 주류 사회 관련 정보에 구조적이며 지속적으로 접근하고 획득하는 것이 통합적 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하고, 이주민 커뮤니티와 주류 사회 두 차원을 연결하는 개념적 고리로서 내적 집합적 효능감 및 외적 집합적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었다. 이는 두 가지의 논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이주민들이 자신들의 커뮤니티 내에서 갖는 구조적, 사회적 경험 특히 커뮤니케이션 경험은 단순히 커뮤니티 내에서의 생활과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데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주류 사회에서의 적응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한 것이다. 적응의 다차원성과 역동성, 구조적 영향과 행위자의 선택 간 상호작용을 고려하는 통합적 적응의 관점에서 이러한 커뮤니케이션 경험이 해당 커뮤니티를 넘어 주류 사회에서의 적응에도 영향을 주기 위해서는 이주민 커뮤니티 내의 커뮤니케이션 하부구조에 유기적이며 통합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둘째, 이 과정에서 이주민들이 자신이 속한 커뮤니티가 커뮤니티 내의 문제 대처에 어느 정도의 해결 능력을 갖고 있는지에 대한 인식(내적 집합적 효능감)과 자신들의 커뮤니티가 외부 환경, 즉 주류사회와 얼마나 긍정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인식(외적 집합적 효능감)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r\n본 연구에서는 면대면 설문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연구문제와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위계적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핵심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r\n첫째, 커뮤니티 내 커뮤니케이션 하부구조의 구축과 이에 대한 통합적 연결 가능성은 단순히 커뮤니티 차원에서의 참여와 적응을 넘어 주류 사회를 포함한 통합적 적응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커뮤니티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주변 사람들과의 대화, 단체에 대한 활발한 참여, 로컬 미디어의 이용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질 때, 커뮤니티 안에서의 커뮤니케이션 경험은 단순히 자신들의 커뮤니티에 대한 애착으로 끝나는 것이 아님을 이 분석결과는 보여준다.\r\n둘째, 본 연구에서는 집합적 효능감 개념의 하위 차원에 대한 이론화 작업을 시도하고 이를 내적 집합적 효능감과 외적 집합적 효능감 개념으로 구분하였다. 아울러 외적 집합적 효능감 개념이 이론적으로는 물론, 실증적으로도 다른 개념과 구분되는 것임을 확인하였다. \r\n셋째, 내적 집합적 효능감은 커뮤니티 스토리텔링 네트워크와 이주민의 커뮤니티 참여 간 관계는 물론 통합적 적응과의 관계에서도 중요한 매개변인이었다. 이주민들이 커뮤니티 내에서 활발히 참여할지 여부는 커뮤니티 스토리텔링 네트워크에 얼마나 접근 가능한가에 달려있는데 내적 집합적 효능감이 이 관계를 매개하는 것이었다. \r\n넷째, 내적 집합적 효능감과 외적 집합적 효능감은 스토리텔링 네트워크와의 연결성과 통합적 적응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폭 넓고 심도 있는 커뮤니티 활동 그리고 커뮤니티에서의 커뮤니케이션 경험이 커뮤니티를 넘어 주류 사회에서의 적응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었던 것은 바로 내적 집합적 효능감과 외적 집합적 효능감의 매개 효과 때문이었다. \r\n다섯째, 커뮤니티에서의 참여 경험은 통합적 적응을 설명하는 또 다른 핵심 요인이었다. ‘참여’는 개인이 커뮤니티 차원에서의 적응 수준을 의미하지만, 이러한 참여 경험을 통해 커뮤니티 소속감과 적응도가 강화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r\n여섯째, 새로운 통합적 적응 개념을 도출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여기서 ‘통합적’은 이주민의 적응을 주류 사회 차원과 고유 문화를 유지하고 있는 커뮤니티 차원을 모두 고려한다는 것이며 적응의 모든 유형과 양상을 포괄하는 의미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통합적 적응은 두 하위 차원의 역동적 관계를 표현하는 것이기에 과정적인 개념이다. 개인의 적응은 그가 놓인 환경적 맥락에 따라 주류 사회에 적응한 모습이 도드라지거나 고유문화에 경도될 수 있는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상태의 어느 지점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r\n본 연구의 분석결과, 커뮤니티 커뮤니케이션 하부구조의 핵심인 스토리텔링 네트워크와의 통합적 연결성은 이주민 커뮤니티는 물론 주류사회까지를 포괄한 통합적 적응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집합적 효능감의 하위 차원인 내적 집합적 효능감과 외적 집합적 효능감은 커뮤니티에서의 적응과 주류 사회에서의 적응을 연결시키는 핵심적 요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영문초록

This dissertation explores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immigrants’ connection to the communication resources in adapting themselves to host country. From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theory perspective, this study explores the integrative adaptation as a function of two aspects of collective efficacy-internal collective efficacy and external collective efficacy. \r\nThis study theoretically discusses and empirically tests the importance of integrated connection to a storytelling network(ICSN) as a critical communication factors in integrative adaptation. When there is an interest in both maintaining one’s heritage in ethnic community while in daily interactions with other groups, integrative adaptation is defined.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ual clarity of two components of collective efficacy and their functions in one’s integrative adaptation. \r\nThis investigation shows that inter-item correlations among the questions indicate high internal consistency, that by bot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items measure a single concept distinct from internal collective efficacy. \r\nBy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current study provides strong empirical evidence of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resources in integrative adaptation. First, integrated connection to a storytelling network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civic engagement more than any other factors considered. Second, this study conceptualized and empirically confirmed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integrated connection to a storytelling network(ICSN), internal collective efficacy, external collective efficacy, and integrative adaptation. Third, a reciprocal effects of participation on adaptation was observed.

비고 : CAQ-1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