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스마트폰 이용행태와 정보활용능력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저자명|이한빛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7
  • 담당교수|강상현

주제어

스마트폰, 스마트폰 이용, 스마트디바이드, 정보활용능력, 주관적행복감, smartphone, smartphone usage, smart divide, information competency, subjective happiness

국문초록

스마트폰 환경에서는 이용자가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 스마트폰 기능의 활용 영역이 확대되었고(손영준, 김옥태, 2011), 스마트폰의 확산과 이와 같은 변화를 통해 정보탐색, 정보활용을 통해 어떻게 삶의 질을 향상시킬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부각되고 있다(박배진, 2015). 본 연구는 스마트폰 이용자의 스마트폰 이용행태와 정보활용능력이 주관적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 이용자 집단 내에 스마트폰의 이용행태에 따른 정보활용능력 격차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정보활용능력이 스마트폰 이용행태와 주관적 행복감을 매개하는지 살펴보았다.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이용행태를 양적, 질적 이용행태로 구분하고, 스마트폰 이용행태, 정보활용능력과 주관적 행복감을 측정하기 위해 20-30대 27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이용자를 양적 이용정도, 질적 이용정도에 따라 저이용자, 중이용자, 고이용자 집단으로 구분한 결과 양적 이용정도에 따라서는 정보활용능력 격차가 존재하지 않았다. 반면 질적 이용정도에 따라서는 집단별 정보활용능력 격차가 확인되었으며 고이용자, 중이용자, 저이용자 순으로 높은 정보활용능력을 보였다. 둘째, 스마트폰 양적 이용행태는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나, 질적 이용행태의 하위 차원은 모두 주관적 행복감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스마트폰 양적 이용행태 중에는 설치된 유료 애플리케이션의 개수만 정보활용능력에 영향을 미쳤으며, 질적 이용행태의 하위 차원은 모두 정보활용능력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넷째, 스마트폰 이용자의 정보활용능력은 주관적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다섯째, 정보활용능력은 질적이용행태의 하위 차원인 참여생산활동과 주관적 행복감을 부분매개, 정보추구활동과 주관적 행복감을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스마트폰 주 이용자인 20-30대 이용자 집단 내에도 질적 이용정도에 따른 ‘집단 내 분할’(intra-group divide)이 존재함을 확인했다. 스마트 디바이드(smart divide)의 확산으로 정보격차 현상이 복잡화되어가고 있지만, 스마트폰의 구체적 이용행태가 정보활용능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소수에 불과하다. 또한 스마트폰의 주 이용자인 20-30대 이용자 집단 내 분할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현 시점에 스마트폰의 주 이용자인 20-30대 이용자 집단 내 질적 이용 정도에 따른 정보활용능력 격차가 존재한다는 결과는 의의를 가진다. 또한 정보활용능력의 매개효과 검증을 통해 스마트폰 이용행태, 정보활용능력, 주관적 행복감 세 변인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스마트폰 이용을 통한 정보활용능력과 주관적 행복감 향상 가능성에 대한 실무적 함의점을 찾을 수 있었다.

영문초록

In the smartphone environment, the area of application for smartphone functions that users can control by themselves has been expanded (Son, Y.J. & Kim, O.T., 2011), and accordingly, the expansion of smartphones and these changes has led to the discussions on how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rough information search and information utilization (Park B.J., 201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martphone usage and information competency on the subjective happiness of smartphone users. In order to do this, we checked whether there is a gap in information competency according to the smartphone usage patterns in the smartphone user group, and examined whether information competency mediates the behavior of smartphone usage and subjective happiness. For the analysis,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279 people in the 20-39 age group in order to measure smartphone usage behavior, information competency, and subjective happines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lassifying smartphone users into low, middle, and high-usage groups according to the degree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utilizat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information competency according to the degree of quantitative utilization.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degree of qualitative utilization, the gap of information competency by group was confirmed and showed high level of information competence in order of high, middle and low-usage users. Second, quantitative utilization of smartphones did not affect subjective happiness, but all sub-dimensions of qualitative utilization behavior had a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happiness. Third, among smartphone usage behaviors, only the number of paid applications installed affected information competency, and all of the sub-dimensions of qualitative utilization behavior had a positive effect on information competency.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smartphone user's information competen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ubjective happiness. Fifth, it was confirmed that information competency partly mediated participation-production activities and subjective happiness, which are sub- dimensions of qualitative utilization behavior, and partly mediated information seeking activities and subjective happines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there is intra-group divide in the 20-39 users ? who are the main demographic of smartphone users ? according to the degree of qualitative utilization. With the expansion of the smart divide, the information gap phenomenon is getting complicated. However,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effect of specific usage of smartphone on information competency and quality of life. Moreover, research on the segmentation of users in the 20-39 age group is very limited. In this sense, the results of this study, that information competency exists according to the degree of qualitative utilization in the 20-39 age user group, who are main smartphone users at the current moment, holds significance. Furthermore, by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information competency, we fou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ree variables ? between smartphone usage behavior, information competency, and subjective happiness ? allowing us to fi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information competency through smart phone usage and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subjective happiness.

비고 : COM-1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