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여성 중심 드라마의 수용에 관한 연구: <굳세어라 금순아>, <내 이름은 김삼순>, <장밋빛 인생>을 중심으로
  • 저자명|김혜성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07
  • 담당교수|윤태진

주제어

수용자 수용 텔레비전 드라마 여성 이미지 즐거움/ audience reception television dramat he images of heroines pleasure

국문초록

본 연구는 ‘현재 우리가 일상 속에서 텔레비전 드라마를 본다는 것에 어떤 의미를 두고 있는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비롯되었고 텔레비전 드라마에 대한 각 개인의 다양한 수용 경험에 주목하고 그것의 구체적인 논의를 위해 드라마 주인공의 여성이미지에 초점을 두었다. 그리고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서 사회의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 중인 20, 30대 남녀 16명을 대상으로 연구 중심 드라마인 ‘굳세어라 금순아’, ‘내 이름은 김삼순’, ‘장밋빛 인생’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는데 이들이 텔레비전 드라마의 여성이미지를 일상에서 어떻게 해석하고 의미화 하는지에 대한 다양한 수용경험을 살펴보고자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r\n\r\n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여주인공 ‘금순’, ‘삼순’, ‘맹순이’의 모습을 자신의 일상 속에서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가? 그리고 그것을 통한 즐거움의 양상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여주인공 ‘금순’, ‘삼순’, ‘맹순이’로부터 즐거움을 획득하는 것을 넘어 그것을 매개로 일상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소통하고 의미화 하고 있는가.연구 참여자들은 드라마 텍스트가 제공하는 의미체계 자체에 대한 일차적 해석을 넘어서 현실세계에서 드라마를 유의미하게 활용하고 소통함을 보였는데 이는 자신이 놓인 사회적 조건이나 문제의식에 대해 순응하기도 하고 비판적 인식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r\n\r\n좀 더 구체적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용자가 드라마 속에서 재현되는 여성과 여성의 삶을 인식함에 있어서 그들은 현실과 허구의 경계로부터 드라마가 제공하는 가상의 영역을 즐기고 의미화 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수용자는 드라마 속 인물로부터 정서적 현실감과 괴리감을 동시에 느끼기도 하고 자신의 개인적, 사회적 경험을 투영할 수 있는가에 따라 다양한 정서적 반응을 이끌어내며 드라마의 여성이미지와 상호작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드라마 텍스트로부터의 현실적 혹은 판타지적인 수용의 경험이 그 중 어느 하나를 우위에 있다고 판단 내릴 수 없는 다층적이고 모호한 문제로서 수용자는 리얼리티와 판타지의 경계에서 그것 자체를 즐기기도 하고 동시에 그로부터 저항의 요소를 찾기도 하며 복합적인 수용의 양상을 보인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둘째, 수용자는 드라마 속 여성이미지에 대해 새로움과 진부함의 경계로부터 즐거움을 이야기하는데 이는 기존의 드라마 속 여성이미지와의 비교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드라마 속에 내재한 남성 중심적 유교적 가부장적 가치체계를 반영한 인물에서 벗어나 자신의 삶을 주체적이고 능동적으로 인식하고 변화를 모색하는 여주인공에 대해 긍정적인 수용의 양상을 보인다. 수용자는 드라마가 좀 더 입체적이고 사실적인 인간유형을 재현해내고 그들의 경합을 통해서 드라마와 현실간의 접점을 찾을 수 있는 차원으로 발전할 것을 요구한다. 이는 대중적인 텔레비전 드라마가 현실 변화를 위한 유의미한 문화적 장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수용자는 드라마 속 여주인공을 인식함에 있어서 그것이 놓인 개인적, 사회적 관계망 속에서 하나의 인물에 대한 인식을 다원화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가족 관계, 연인 혹은 부부 관계, 그리고 직장에서 얽히는 관계 등에서 다양한 해독의 양상을 보이며 드라마 속에 내재된 지배적 가치나 의미체계에 대한 인식의 경합을 드러냈다. 이러한 다양한 수용자의 해독양상을 통해 드라마 속 여성이미지의 다의성과 그에 따른 수용자의 자율성을 엿볼 수 있었다.넷째, 수용자는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획득한 여성이미지에 대한 다양한 인식을 자신의 일상에서 유의미한 방식으로 의미화 하는 기제로 활용하는데 이는 수용자의 일상에서 타인과의 소통을 통해 이루어진다. 텔레비전 드라마를 매개로 타인과 소통한다는 것은 수용자에게 개인적, 사회적 관계를 위한 중요한 기제로 활용되고 이를 통해 타인에 대한 이해를 추구하거나 친밀감을 형성하는 계기로 만들기도 한다. 또한 드라마를 매개로 한 타인과의 소통의 양상에서 수용자는 드라마 텍스트 속에서 개인적, 사회적 문제의식이나 논쟁거리를 찾아 소통하기도 하는데 이는 타인과의 거리감 형성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는 기제가 되기도 한다. 이러한 드라마를 매개로 한 타인과의 소통은 드라마로부터 얻게 되는 즐거움이 개인적 차원을 넘어서 사회문화적 수준으로 확장되는 문제로 드라마가 지니고 있는 사회적 역할이나 영향력에 대한 지점을 제시해준다고 할 수 있다.다섯째, 수용자가 드라마 속 여성이미지를 의미화 하는 방식에 있어서 그들은 몰입을 통한 대리만족을 느끼거나 드라마 텍스트로부터의 거리두기를 통해 비판적 태도를 취하기도 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수용자가 드라마 텍스트를 의미화 하는 데 있어서의 이러한 방식은 드라마에 내재한 텍스트로부터의 종속성과 저항성을 동시에 이끌어 내는 기제로 활용되었고 그것은 드라마의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비판적 인식으로 연결되었다.\r\n\r\n텔레비전 드라마는 사회적 지배적 이미지를 전달하고 그것을 더 강화시키기도 하지만 그것은 단일하게 봉합된 텍스트가 아니며 끊임없는 의미의 경합이 벌어지는 문화적 장이다. 그리고 텔레비전 드라마라는 문화적 공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그것을 받아들이고 활용하는 사람들이다. 그러므로 이들에 대해 수용과 저항이라는 이분법의 구도에서 보는 것을 지양하고, 그들이 놓인 일상 속에서 드라마 속 의미와 끊임없이 경합을 벌이는 유동적 주체로 의미화 하기 위한 일련의 노력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영문초록

This study began with this question: 'What is the meaning of watching TV in our daily life?' For the research, I focused on the receiving experiences of each viewer, specifically how they accept/interprets the images of heroines in TV drama.I had depth interviews with 16 people (both males and females) who are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They were the viewers of TV drama , , and my focus was their various receiving experiences, that is, how they interpret the images of heroine and what meanings are draw from. To research this, I set two questions as follows:First, how the interviewees view the images of heroines relating to their daily lives? And what pleasures do they get from it? Second, beyond the pleasure above, how the interviewees communicate with others in their daily lives regarding the images of ‘Gum Soon’, ‘Som Soon’, ‘Maeng Soon I’.The results are follows:First, when the interviewees accepted the represented lives of heroines, they enjoyed the virtual territory provided by TV drama. They felt emotional attachment and detachment both together to the heroines according to how much they can project their personal and social experiences to the heroines' lives. It is hard to say which one is superior to the other, because the receiving experience is multi-layered and ambiguous: it seems the viewers enjoy the drama finding resistant elements at the same time. Therefore it seems that the receiving experience of TV drama viewers is a quite complex process.Second, the borderline between up-to-date and out-of-date generates pleasure of watching TV drama, as the viewers compare the images of heroines in old dramas and recent dramas. They positively accept the images of heroines who are independent and active in their living which is different from that of old dramas filled with the virtues of patriarchy. Third, when the heroine is accepted(understood) by the viewers, the contexts of personal and social relationships she is located pluralize the viewers' understanding of her. How the heroine's relationship with her family, lover, colleagues and so on is depicted seems to affect the ways viewers interpret her, and they seem to compete with the recognition about ideology or dominant virtues manifested the drama. With this diversity of interpretation, I was able to see the independency of viewers, as well as the equivocality of heroine's image in TV drama.Fourth, the viewers use the diverse images of women gained from TV drama when communicate with others in their daily lives. Communication with others based on TV drama is important elements for the viewer's personal and social relationship and sometimes it even helps to understand or get closer to others. Also the viewers find personal or social arguments from the drama texts and discuss with others about them which constitutes psychological distance or makes the viewers to accept the fact 'we're all different'. This communication goes beyond personal level and expands to socio-cultural level which shows how great the impact of TV drama can be.Lastly, the viewers either feel surrogate satisfaction through immersion or take critical attitude by watching the drama in distance(against immersion) when they see the ways images of heroines depicted in the dramas. The viewers' dependent & independent attitudes about the drama texts were drawn from the above, and are linked to the critical recognition on TV drama's social impact.In conclusion, TV drama is not a closed text but a cultural field that has successive competitions between values even though it carries and reinforces the socially dominant values. In this field, the viewers who receive and make use of the drama are the most important beings and are active subjects who continuously compete with the socially dominant values in drama in their daily lives.

비고 : COM-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