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정치적 쟁점에 관한 여론조사 보도의 효과에 관한 연구: 인지정교화가 조절하는 내집단 정체감의 매개 과정 탐색
  • 저자명|김희정
  • 학위|박사
  • 졸업연도|2022
  • 담당교수|김경모(교내)

주제어

정치적 쟁점, 여론조사 보도, 여론조사 보도 방식, 결과기술형 보도, 갈등설명형 보도, 여론조사 보도 효과, 사회정체성 현저화, 이중적 정보 처리, 내집단 정체감, 인지정교화

국문초록

본 연구는 정치적 쟁점에 관한 여론조사 보도가 개인의 인지적이고 행동적인 측면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 처리 과정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여론조사 보도의 정보 처리 과정에 관여하는 내집단 정체감과 인지정교화 수준에 따라 정치적 쟁점에 대한 개인의 태도와 행동이 달라질 것이라 가정하였다. 연구모형과 가설의 검증을 위해, 여론조사 보도를 정치적 쟁점과 연관된 이해 집단들의 갈등 상황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는지 여부로 세분화하고, 여론조사 보도 방식에 따라 차별화된 효과가 나타나는지 검증하는 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두 개의 정치적 쟁점(연구Ⅰ. 차별금지법 제정 이슈, 연구Ⅱ. 여성가족부 존폐 논쟁)에 관한 연구모형의 반복 검증 결과, 정치적 쟁점이 무엇인지와 무관하게 여론조사 보도 방식이 개인의 태도와 행동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여론조사 보도 방식이 정보 처리 과정에서 내집단 정체감에 미치는 효과는 이용자가 정보를 실제로 심사숙고한 정도(측정된 인지정교화)나 정보를 심사숙고했다고 스스로 판단한 정도(지각된 인지정교화)에 따라 일부 차이가 있었다. 다만, 이러한 차이는 연구Ⅰ의 세대 정체감에 대한 분석과 연구Ⅱ의 성 정체감에 대한 분석에서만 한정적으로 관찰되었다. 여론조사 보도 방식이 개인의 태도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도가 정보 처리 과정에 관여하는 내집단 정체감과 두 가지 인지정교화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지 확인한 조절된-조절된-매개 모형은 모든 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여론조사 보도 방식과 정치적 쟁점에 관한 개인의 태도와 행동 간의 관계에서 측정되고 지각된 인지정교화 수준에 의해 달라지는 내집단 정체감의 매개효과가 관찰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한편, 정보 처리 과정에서 내집단 정체감이 정치적 쟁점에 관한 행동에 미치는 효과는 모든 정체감 유형에서 일관되게 관찰됐으나, 태도에 미치는 효과는 성 정체감이 현저화되었을 때에만 일부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연구자가 임의 조작한 자극물을 활용한 실험 연구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연구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비롯한 여러 한계를 지닌다. 그럼에도 본 연구는 정치적 쟁점에 관한 여론조사 보도의 정보 처리 과정 자체에 집중하여, 여론조사 보도 방식에 따라 특정 사회정체성이 자극되거나 그로 인한 차별화된 효과가 나타날 가능성을 고려했다는 점에서 그간의 여론조사 효과 연구의 범위를 확장한다는 의의를 지닌다. 또한 여론조사 보도의 정보 처리 과정에 들인 개인의 인지적 노력 수준에 따라 관찰된 내집단 정체감이 정보 처리에 관여하는 방식이 다를 것이라 가정하고, 이를 탐색했다는 점에서도 본 연구의 주요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가 제안한 연구모형과 가설이 많은 부분에서 경험적으로 검증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가 발견한 결과는 여론조사 보도의 정보 처리 과정에서 특정 사회정체성이 현저화 될 가능성이나 여론조사 보도가 제공하는 정보가 중심 경로를 통해 체계적으로 처리되어 정보 이용자에게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배제해 온 선행 연구의 가정들이 재고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본 연구의 관찰 결과에 대한 충분한 수준의 논의는 그간 상대적으로 도외시되어온 비선거 상황의 정치적 쟁점에 관한 여론조사 보도의 효과 연구가 보다 다양한 관점에서 진행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이를 독려한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다채널화된 미디어 환경에 근간을 둔 오늘날과 같은 여론조사 과잉시대에 정치적 쟁점이나 보도 대상에 따라 설득 효과가 더 높은 여론조사 보도 방식이 무엇인지를 묻는 의미 있는 문제 제기를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학문적 논의를 넘어선 실무적 함의를 찾을 수 있다.

영문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 that affects the cognitive and behavioral aspects of an individual's opinion poll reporting on political issues. It was hypothesized that individual attitudes and behaviors toward political issues would differ depending on the level of in-group identity and cognitive sophistication involved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 of opinion poll reporting.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the researcher subdivided the opinion poll reporting types according to whether it was explained as a conflict situation among interest groups related to political issues, and an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whether a differentiated effect appears according to the reporting types. As a result of repeated verification of the research model on two political issues (Research I. Comprehensive anti-discrimination law enactment issue, Study II. Debate over the existence of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the opinion poll reporting types did not affect individual attitudes and behaviors regardless of political issues. The effect of the opinion poll reporting types on the perception of in-group identity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 was partial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degree to which users actually considered information (measured cognitive sophistication) or self-evaluated that they considered information (perceived cognitive sophistication). However, this difference was only observed limitedly in the analysis of generational identity in Study I and the analysis of gender identity in Study II. The moderated-moderated-mediated model, which checked whether the degree of influence of opinion poll reporting types on individual attitudes and behaviors depends on the in-group identity involved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 and the two types of cognitive sophistica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analyses. This means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in-group identity, which is different by the measured and perceived level of cognitive sophistication, was not observ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pinion poll reporting types and individual attitudes and behaviors on political issues. On the other hand,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 the effect of in-group identity on behaviors related to political issues was consistently observed in all identity types, but the effect on attitude was only partially observed when gender identity became prominent. Since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n experimental study using stimuli that the researcher arbitrarily manipulated, it has several limitations, including the generalizability of the research results. Nevertheles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broadened the scope of research on the effects of opinion polls in the following points. First, this study focused 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 of opinion poll reporting on political issues and considered the possibility that social identity may be stimulated or differentiated effects depending on the opinion poll reporting types. Second,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way in which the observed ingroup identity was involved in information processing w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gnitive effort of individuals involved in information processing of opinion poll reporting and explored. Although the research models and hypotheses proposed in this study have not been empirically tested in many area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assumptions of previous studies need to be reconsidered.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possibility of a specific social identity being highlighted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 of opinion poll reports, and the possibility of information that is systematically processed through the central route and affects users. Through sufficient discussion of the observation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emphasizes and encourages research on the effects of opinion poll reporting on political issues in non-election situations, which have been relatively neglected, from more diverse perspectives. Ultimately, this study can raise a meaningful question about which types of reporting an opinion poll that has a higher persuasive effect depending on a political issue or target of reporting in today's era of excessive polling based on a multi-channel media environment. The practical implications beyond academic discussion can be found in that.

비고 : CAQ-2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