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예술을 ‘경영’하는 작가들 : 한국 문학생산장의 반권력적 예술 실천
  • 저자명|정민경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0
  • 담당교수|심보선

주제어

문학생산장, 창업가정신, 불안정 노동, 문학권력, 반권력, 상징폭력

국문초록

이 논문은 제한생산장의 일부 신진작가들이 창업가정신을 갖추고 문학소비장의 독자들과 직접 소통하며 다양한 예술 실천을 시도하는 이유와 의미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부르디외(Pierre Bourdieu)의 장 이론(field theory)을 분석의 틀로 삼았으며 창업가정신, 불안정 노동, 문학권력이라는 기존 세 논의의 관점을 종합하였다. 창업가적 예술 실천을 보이는 7인의 작가와 진행한 심층 인터뷰를 주된 연구 방법으로 삼았으며, 인터뷰에서 얻은 정보를 토대로 문헌 연구를 더해 창업가정신 발휘 배경이 된 한국 문학생산장의 특수성을 분석하였다.

한국 문학장은 산업적으로 작가들을 양산해 내는 교육 제도와 제한생산장 진입을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등단 제도가 공존한다. 두 제도의 공존은 특정 전문가 집단의 취향을 겨냥한 기형적 문예교육을 낳았고 작가로 호명되지 못하는 잉여 행위자들을 만들어냈다. 행위자들은 제한생산장의 작가로 호명되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상징폭력에 노출된다. 이를 더 면밀히 살피기 위해 연구자는 신진작가들이 제한생산장 진입 전부터 경험해 온 폭력을 갈퉁(Johan Galtung)이 제시한 직접적·구조적·문화적 폭력으로 구분하였다. 특히 문화적 폭력은 문학성을 규정할 수 있는 집단이 직접적 폭력과 구조적 폭력을 행사하는 것을 정당화하며 나머지 두 유형의 폭력을 야기한 시발점으로 파악된다. 신진작가들이 겪는 대부분의 폭력은 제한생산장에 형성된 청탁 문화에서 기인하는데, 청탁 문화는 등단 제도와 마찬가지로 선택하는 입장의 행위자와 선택 받는 입장의 행위자 간 지배-피지배 관계를 형성한다. 그리고 그 권력 구조는 문학성을 담보로 고의적 폭력을 행사하는 문학권력을 용인한다.

창업가적 예술 실천은 제한생산장의 폭력적 구조에서 기인하는 자구책의 성격을 품고 있다. 작가들은 피지배적 위치에서 벗어나기 위해 제한생산장의 상징자본 대신 문학소비장으로부터 구축한 네트워크자본을 끌어들이는 전략을 취한다. 청탁에 의존하는 작품 발표 문화는 상대적으로 청탁 기회가 적은 신진작가들에게 불리할 수밖에 없으므로 그들은 등단 이후에도 작가로 호명 받지 못하여 직업 정체성의 위기를 겪는다. 이에 창업가적 작가들은 독자를 통해 작가로 호명 받음으로써 정체성을 확립해 나간다. 이는 뉴미디어의 등장으로 문학소비장의 중요성이 부각되며 제한적으로나마 네트워크자본을 상징자본으로 태환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가능해진 일이다.

이때 창업가적 작가들은 역설적으로 문학과 거리두기를 통해 자신의 진정성을 연출하는 전략을 사용한다. 기성 문인들처럼 문학에 투신하는 삶을 살며 스스로를 소진시킨 경험이 있는 그들은 작가를 '직업'으로, 문학을 '업무'로 상기시킴으로써 자기 자신과 독자 모두에게 '진정성 있는 작가'가 되려 한다. 구체적으로 창업가적 작가들은 장르 위계, 등단 여부에 따른 문학성의 차이 등 문학권력을 야기하는 구별들(distinctions)을 의식적으로 부정하고 권력을 해체하려 한다. 또한 자신의 진정성을 해치는 부당한 노동을 거부함으로써 문학과의 거리를 유지한다.

창업가적 예술 실천의 목표는 결국 폭력적 구조를 벗어나 작가로서 존중 받는 노동 환경을 만드는 것이다. 개인적 자구책 마련 차원에서 시작했던 창업가적 예술 실천을 거듭하고 등단·비등단 동료 작가들과의 느슨한 연대를 경험할수록 작가들은 자신이 펼치는 실천의 의미를 개인적인 차원에서 사회적인 차원으로 확장하게 된다. 그러나 작가들은 결코 제한생산장 전복을 목표로 하지 않으며 또 다른 권력이 되는 것은 결국 지배 구조를 재생산 하는 일임을 알고 있다. 연구자는 그들의 공존 노력을 홀러웨이(John Holloway)가 제시하는 반권력 개념으로 읽어 내고, 창업가정신을 갖춘 작가들의 반권력적 예술 실천 이야말로 권력 장악 없이 제한생산장의 권력 구조를 해체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졌다고 해석한다.

창업가정신을 갖춘 작가들의 예술 실천이 제한생산장의 폭력적 구조를 해체할 수 있을지 묻는다면 아직은 답할 수 없다. 그들의 실천은 현재 진행형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들의 예술 실천을 가시화한 본 연구가 그들의 실천에 보탬이 되고자 하며 예술가의 노동이 존중 받는 사회를 만드는 데 조금이나마 기여할 수 있길 바란다.

영문초록

This paper aims to examine why some newcomers of the field of restricted production have entrepreneurship, interact directly with the readers of the field of literary consumption and try diversified forms of art practice. The research uses the concepts of Pierre Bourdieu's field theory as a framework, and synthesizes the viewpoints of the existing three discussions: entrepreneurship, precarious labor and power of literary circles. The study mainly uses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literary writers who have showed entrepreneurship in art practice.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interview, this study additionally undertake a literature review to analyze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iterary field.

The Korean literary field has the educational system which produces writers industrially and the literary debut system which has to be gone through to enter the field of restricted production. The coexistence of these two systems has caused the literary education to go astray in the way of attracting specific authorities and the surplus actors who have not been called writers. Actors are exposed to numerous symbolic violence in the process of trying to be called the writers in the field of restricted production. To discuss this issue further, this paper categorizes the violence which newcomers had experienced before entering the field of restricted production into three types suggested by Johan Galtung: direct, structural, and cultural violence. Cultural violence, in particular, justifies the use of direct and structural violence by the authorities who can define literature. Also, cultural violence is regarded as the starting point for the other two types of violence in this case. In Korean literature field, it is considered a more 'natural' way to publish by request of a publisher when a poet or a novelist publishes his/her work, not by contribution of himself/herself. Most of the violence newcomers have experienced stem from both the literary debut system and such cultural practice, which occurs a highly asymmetrical power relationship for instance, the one with power to choose and the other waiting to be chosen; the dominant-submissive relationship. This power structure allows the authorities to use deliberate violence.

The writers’ entrepreneurial art practices are actually about self-helping measures to escape from the violent structure of the field of restricted production. Instead of symbolic capital, therefore, they take a strategy to bring network capital acquired from the field of literary consumption. Since the culture of publishing works by requests is against the newcomers in terms of the equal opportunity, even after their debut, they are not called as writers in the field of restricted production, and they face the crisis of job identity. This is why entrepreneurial writers establish their identity as they are called writers by their readers. It has been possible due to the emergence of new media, which ha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the field of literary consumption and has allowed him/her to convert network capital into albeit limited, symbolic capital.

Paradoxically, newcomers use strategies to present their own authenticity by distancing themselves from literature. They have experienced exhausting themselves by devoting himself/herslef to literature just like established writers. Having stopped doing so, they try to become 'authentic writers' for both themselves and their readers by reminding the writer as a 'profession' and literature as 'work'. Specifically, newcomers consciously deny the distinctions which contribute to forming power of literary circles such as a literary genre hierarchy and a difference in literary quality depending on whether or not someone has passed the literary debut system. They want to dissolve power of literary circles. Another way to distance himself/herself from literature is to reject unfair labor which harms his/her authenticity.

The ultimate goal of entrepreneurial art practice is to deviate from the violent structure and to build the working environment where they could be recognized and respected as a writer. He/she expands the meaning of the practice from a personal level to a social level as repeating entrepreneurial art practices, which was originally self-helping measure, and experiencing weak solidarity with the fellow writers regardless of the literary debut system. However, the entrepreneurial writers never aim to subvert the field of restricted production and know that becoming another power is, after all, to reproduce the violent structure. This paper interprets their efforts for coexistence with the concept of anti-power suggested by John Holloway, and argues that the entrepreneurial writers' art practices of anti-power have the potential to dissolve the power structure of the field of restricted production without seizing power.

It’s not yet able to affirm that art practices by entrepreneurial writers can break up the violent structure of the field of restricted production, because their practices are currently ongoing. However, this study hopes to contribute to visualizing their art practices, thus supporting their activities and building a society where artists' labor is respected.

비고 : MCM-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