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대중음악산업 내 기획자의 노동자 정체성 : 창의노동, 관계노동, 감정노동을 중심으로
  • 저자명|이상화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1
  • 담당교수|심보선

주제어

문화산업, 창의노동, 관계노동, 감정노동, 창의적 관계노동, 노동자 정체성

국문초록

본 연구는 문화산업, 특히 대중음악 및 공연 기획자들의 노동자 정체성을 탐구함으로써, 그간 주목 받지 못하던 기획자들의 독특한 지위와 관련한 문제를 고찰하고자 한다. 그간 문화산업과 관련한 연구들은 문화산업의 노동자를 창의노동자로 호명해왔으며, 소모되는 자원이 아닌 창의성의 특질로 인해 문화산업의 노동은 지속적으로 강도 높은 노동을 요구하며 고도로 착취적이었다.
본 연구는 대중음악 산업 내 기획자들의 노동의 요소와 실질적인 노동의 구조를 밝힘으로써, 현장에서 진행되는 노동의 정체성을 보여주고자 한다. 대중음악 산업에서 5년 이상 일한 18명의 기획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기획자의 노동의 구성이 어떻게 되어있으며, 노동자 정체성의 구조와 실질적인 업무가 진행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본 연구는 기획자의 노동을 창의노동 뿐 아니라, 관계노동 및 감정노동이 포함된 사회적 노동임을 밝히고자 한다.
관계노동과 감정노동은 그간 주목받지 못한 기획자 노동의 구성 요소들이다. 문화산업이 ‘산업’으로 불리면서 많은 부가가치와 경제적인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반면, 노동의 많은 구성 요소들이 경제적으로 환산되지 않아 보상체계가 성립되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기획자의 노동에 대한 개념확장을 통해서 문화산업의 가려진 노동의 많은 부분을 가시화하고, 이를 통해 산업과 학계의 인식 변화와 관심 받고 있지 못한 기획자들의 노동에 대한 보상체계 구축을 위한 실천적 움직임을 촉구함에 있어,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문초록

This study aims to research identities of workers those who are involved in the cultural industries, especially popular music and concert producers to examine the issues related to their unique status which have not been noticed so far.
Until now, studies related to the cultural industries called those workers in the cultural industries as creative laborers, and because of the nature of creativity rather than consuming resources, the cultural industries are consistently requesting high-intensifying labor to the laborers which has been highly exploitative.
This study seeks to discover the identity of a labor in the field by clarifying the elements of the labor and the actual labor structure of the laborers in the popular music industry.
This study clarifies that the work of laborers is not only involved in creative labor, but also social that includes relationship and emotional labor, through the interviews with 18 participants who have worked in the popular music industry for more than 5 years, by examining the composition of labor of the participants, the structure of the participants' identity and the process of actual work.
The relationship and emotional labor are the composing element of participants which has not been noticed so far. In the meantime, the cultural industries are called as “Industries” and a lot of added value and economic value has been recognized while the reality is that a compensation system is not established since many composing elements of work has not been converted into economically.
This study aims to visualize the hidden parts of cultural industries by expanding the concept of the work of music and event producers, and change industry and academic perception, in turn to urge in making practical movement to build compensation system for the work of music and event producers which has been neglected so far. This i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비고 : MCM-2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