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다중 직업 종사자로서 예술가들의 예술 실천 : 시각 예술가의 불안정성과 자율성을 중심으로
  • 저자명|안지현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2
  • 담당교수|심보선

주제어

핵심되는 말 : 시각 예술가, 불안정성, 자율성, 예술 실천

국문초록

본 논문은 실제 문화생산 현장에서 행해지는 시각 예술가들의 예술 실천 궤적을 추적함으로써 문화 산업 내 만연한 불안정성에 맞서기 위해 이들이 어떠한 전략을 구사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간 시각 예술가들은 개인 작업 활동에만 매진하는 반시장 지향적 성향을 가진 존재들로 묘사되어 왔다. 그러나 오늘날 시각 예술가들은 창작 활동, 예술 관련 일, 비예술 일을 모두 착종하며 적극적으로 경제적 이윤 창출 방안을 모색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오늘날 시각 예술가들을 예술의 수월성(excellence) 개념에 고립된 주체로 한정하지 않고 사회 내에서 다양한 전략을 구사하는 다중 직업 종사자로 정의한다.
본 연구는 시각 예술가들이 다중 직업 활동을 병행하게 될 때 직면하는 불안정성의 양상을 드러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과정에서 새롭게 나타나는 예술 실천의 함의를 밝히고자 하는 것에 연구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중 직업 종사자로서 시각 예술가들이 마주한 불안정성의 유형을 살펴보고, 불안정성의 극복 방안으로서 제시될 수 있는 예술 실천의 전략적 측면을 조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시각 예술가들의 경험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적합한 분석 틀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먼저 다중 직업 종사의 배경과 예술가의 불안정성을 다루고 있는 문헌들을 검토하였다. 또한 예술가들이 자율성에 기인한 모순과 긴장을 수반하며 다중 직업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함에 따라 피에르 부르디외(Pirre Bourdieu)의 예술 장(field)의 자율성 개념, 창의 노동의 자율성 개념, 예술 기업가 정신의 자율성 개념을 종합한 분석 틀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종합적 관점으로서 제시된 분석 틀을 적용해 다변화된 예술 실천의 발화지점을 밝히고, 예술가들의 자율성이 역동적으로 구성됨에 따라 생산되는 예술 실천의 전모를 알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세 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첫째, 시각 예술가들은 창작 활동, 예술 관련 일, 비예술 일을 교차하며 중층적인 직업 정체성을 형성하고 있었다. 이들은 창작 활동 중에도 예술 기업가적 행보를 보이며 작품의 유통과 관련한 일을 총괄하고자 한다. 또한 예술 관련 일, 비예술 일로부터 얻게 된 경험을 자신이 활용할 수 있는 자원으로 전환해 새로운 예술 실천의 발판으로 삼고자 하는 움직임을 보였다. 둘째, 다중 직업 종사자로서 시각 예술가들의 경험에서 확인할 수 있었던 불안정성은 경제적 불안정성, 정체성 혼란, 커리어 불안정성으로 정리된다. 특히 경제적 불안정성-정체성 혼란-커리어 불안정성은 모두 긴밀하게 연결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오늘날 시각 예술가들로부터 전개되고 있는 예술 실천은 ‘매개적 실천’의 특성을 가진다. 여기서 ‘매개적 실천’은 다중 직업 종사자인 시각 예술가들이 자신의 불안정성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촉진되었다. 시각 예술가들은 매개적 실천을 통해 미술계 안과 밖 사람들과 교류하며 이들과의 상호 작용을 중시하고자 하는 새로운 자율성을 구성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다중 직업 종사자인 시각 예술가들에 의해 생산되는 새로운 예술 실천의 발화지점과 그 함의를 가시화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궁극적으로 예술가, 정책, 향유자 간의 관계가 호혜적 관계로 도약하는 데 본 연구가 작은 보탬이 되었으면 한다.

영문초록

This paper attempted to understand what strategies they use cope with instability in the cultural industry by tracking the trajectory of art practice by visual artists performed in the actual cultural production field. Until now, visual artists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with anti-market tendencies that focus only on creative activities. Today, however, visual artists actively seek ways to earn economic profits by combining creative activities, art-related work, and nonarts work. Therefore, this study defines visual artists as multiple job holders who use various strategies within society, not limited to subjects isolated to the concept of excellence in ar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aspects of instability that visual artists face when they engage in multiple occupational activities at the same time and to reveal the implications of new art practices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m.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it was intended to examine the types of instability faced by visual artists as multi-professional workers and to shed light on the strategic aspects of art practice that can be suggested as a way to overcome instability.?
To this end, it was judged that it was necessary to present an appropriate analysis framework for systematically analyzing the experience of visual artists. First, the literature dealing with the background of multiple job holding and the instability of artists was reviewed. In addition, as artists recognized that they were continuing multiple job activities with contradictions as tensions caused by autonomy. Researcher of this paper treid to use an analysis framework that synthesized Pierre Bourdieu’s theory of autonomy, the concept of autonomy in creative labor, and the concept of autonomy in art entrepreneurship.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clarify the ignition point of diversified art practice by applying the analysis framework presented as a comprehensive perspective, and to know the full extenct of art practice produced as artists’ autonomy is dynamically constr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visual artists were forming a multi-layered job identity by intersecting creative activities, art-related work, and nonarts work. Even during their creative activities, they show artistic entrepreneurial moves and try to oversee the distribution of works. In addition, he/she moved to replace the experiences gained from art-related and nonarts work with resources that he/she could utilize and use as a stepping stone for new art practice. Second, the instability that could be confirmed from the experiences of visual artists as multiple job holders is summarized as economic instability, identity confusion, and career instability.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economic instability-identity confusion-career instability was all closely connected. Third, the new art practice developed by visual artists has the characteristics of 'mediated practice'. Here, visual artists who are multi-professional workers promoted ‘mediated practice’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ir instability. Visual artists were constructing a new autonomy to interact with people inside and outside the art world through mediating practice and to value interaction with the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visualized the ignition point and implications of new art practice produced by visual artists who are multi-professional workers. Ultimately, I hope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leap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rtists, policies, and art particapnts into a reciprocal relationship.

비고 : MCM-2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