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뮤지컬 관객의 문화자본 축적에 따른 공연 감상 방식 변화 연구 관람 후 온라인 활동 분석을 중심으로 -
  • 저자명|조성연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3
  • 담당교수|심보선

주제어

문화자본, 정보자본, 중간예술, 뮤지컬, 뮤지컬 관객, 열성관객, 공연 감상, 공연 관람 후 활동, 온라인 커뮤니티

국문초록

현대 사회에서 사람들은 자신의 취향에 따라 문화예술을 선택해 소비한다. 취향의 형성 과정은 부르디외의 문화자본 개념으로 설명되어왔다. 문화자본을 보유한 정도에 따라, 사람들은 같은 예술작품을 감상해도, 다른 부분에 주목한다. 부르디외는 문화자본을 형성하는 주요 요인으로 가족, 또래집단, 교육, 지역사회 등의 사회자본을 꼽았는데, 과거에는 정보에 대한 접근성과 획득한 정보의 양이 사회자본에 많은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계급 사회의 해체 및 정보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문화자본을 축적하는 새로운 방식이 만들어졌고, 온라인 네트워크를 포함한 다양한 정보 원천을 통해 얻은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정보인 정보자본이 문화자본 축적의 한 축으로 대두되었다.
중간예술에 속하는 뮤지컬은 진입장벽이 낮고, 사전 지식이 필요하다는 부담감 없이 해당 예술을 접할 수 있으므로, 관객들의 감상방식이 단순히 일회성으로 관람을 하는 관객부터 심도 있는 미적인 경험을 추구하는 관객까지 넓은 스펙트럼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관객들의 태도는 서로 상호작용을 주고받으며, 스펙트럼을 따라 이동하고, 변화한다. 즉, 관객은 하나의 동질적 집단 혹은 다른 특성을 지닌 정태적 집단이 아닌 문화자본을 축적하며 변화하는 동태적인 집단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뮤지컬 관객의 문화자본 축적 과정과 그 안에서 사회자본과 정보자본의 역할을 살펴보고, 이에 따라, 작품을 관람하고 의미를 산출하는 감상 방식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특히, 확신을 가진 관객이 된 이후의 변화와 그 과정에 주목하였다. 또한, 뮤지컬 감상 경험을 ‘공연 관람 전 활동’ - ‘공연 관람’ - ‘공연 관람 후 활동’으로 구분하여, 하나의 과정으로 접근하고, 관객이 자신의 공연 경험을 언어화하고 재구성하는 ‘공연 관람 후 활동’을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공연 관람 후 활동’이 온라인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네트노그라피의 방법을 채택하여 트위터, 인스타그램 등의 SNS와 디시인사이드 뮤지컬 관련 갤러리라는 뮤지컬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뮤지컬 관객들의 행동과 상호작용을 자연스럽게 파악하였다. 이에 더해, 관객의 변화는 장기간에 걸쳐 나타나는 변화로 참여관찰로 포착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기에, 참여관찰 대상 중 라포를 형성한 일부 뮤지컬 열성관객들을 심층 인터뷰하여 참여관찰 내용을 보완하였다.
뮤지컬 관객들은 무관심층에서 관심층이 된 이후에도 꾸준히 정보자본을 습득해 문화자본을 축적하며 그 관심을 심화시키고 있었다. 그들의 감상 방식은 문화자본 축적에 따라, 변화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일부 뮤지컬 열성관객들은 그러한 변화를 스스로 체감하고 있었다. 문화자본 축적 과정에 있어서는, 사회자본의 역할이 여전히 나타나지만, 개인의 노력에 따른 정보자본 취득으로 상당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 가능하였다. 본 연구는 오늘날의 문화자본, 공연예술과 중간예술의 관객에 대한 이해를 더함에 그 의의가 있다.

영문초록

These days, people choose and consume cultural art according to their tastes. The process of forming taste has been explained by Bourdieu's concept of cultural capital. Depending on the degree of cultural capital possession, people pay attention to different parts of cultural art even if they appreciate the same one. Bourdieu cited social capital such as family, peer groups, education, and communities as the main factor that takes part in the accumulation of cultural capital because in the past, access to information and the amount of information obtained were greatly influenced by social capital. However, due to the dissolution of the class society and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 new method of accumulating cultural capital was created, and information capital, information on cultural and artistic products obtained through various information sources including online networks, emerged as one of the key axes of cultural capital accumulation. Musicals that belong to middle-brow art have low entry barriers, so, they can be accessed easily without the burden of requiring prior knowledge. That leads to the audience's appreciation method appearing in a wide spectrum from those who simply watch it without special intention to those who pursue in-depth aesthetic experiences. These audiences with various attitudes interact with each other, making one another move along the spectrum, and change. In other words, the audience should not be understood as a homogeneous group or a static group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but as a dynamic group that accumulates cultural capital and changes.?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 of musical audiences accumulating cultural capital and the role of social capital and information capital in it, and accordingly, how the appreciation method of watching performances and deducting meaning changes. In particular, additional attention was paid to the changes in the ‘enthusiasts’ audience. In addition, the musical appreciation experience was divided into ‘pre-watching activities’ - ‘watching a performance in the theatre’ - ‘post-watching activities.’ In the analysis, ‘post-watching activities’ were focused on as they are the result of the audience verbalizing and reconstructing their own performance-watching experiences. As ‘post-watching activities’ were actively carried out online, the behavior and interaction of musical audiences were naturally identified in the online community such as SNS(Twitter, Instagram, etc.) and the DC INSIDE musical-related galleries. Moreover, since the change that the audience experiences over time is a long-term change, there is a limit to capturing it as participatory observation. So, some of the 'enthusiasts' who formed a rapport with the researcher were interviewed in-depth to supplement the participatory observation. It was found that musical audiences were steadily acquiring information capital and accumulating cultural capital to deepen their interest. Their appreciation method showed changes in a pattern following the accumulation of cultural capital. Not only that, some enthusiasts said that they can acknowledge those changes on their own. In the process of accumulating cultural capital, the role of social capital still appears, but the possibility of supplementing it by acquiring information capital with individual efforts was show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deepening an understanding of cultural capital and the audience of middle-brow arts and performing arts.

비고 : MCM-2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