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한국 비거니즘 담론의 형성과 변화 : 매스 미디어와 소셜 미디어를 중심으로
  • 저자명|김재아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3
  • 담당교수|심보선

주제어

비거니즘, 베지테리어니즘, 채식주의, 동물권, 환경운동, 사회운동, 라이프스타일 정치, 비판적 담론 분석, 프레임 이론, 미디어 담론

국문초록

본 연구는 한국 사회의 매스 미디어와 소셜 미디어에서 드러나는 비거니즘 담론을 분석하여 신념이자 실천의 집합으로서의 비거니즘이 한국 사회의 맥락에서 담론적으로 구성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비거니즘은 최근 한국 사회에서 대안적 삶의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다양한 층위에서 논의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거니즘 담론이 다양한 국면에서 정치적 입장이나 사회운동 등 다른 담론과 접합하는 방식과 변화를 탐구하고자, 주요 언론과 트위터에서 전개되는 비거니즘 담론을 비판적 담론 분석(CD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2008년부터 2021년까지 주요 일간지 5종에서 발행된 비거니즘 관련 기사와, 트위터에 게시된 비거니즘 관련 게시물을 수집하여 비판적 담론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한국의 인터넷 환경에서 비거니즘과 관련하여 ‘건강’, ‘소비’, ‘환경’ 의제가 부각되고 있었으며, 매스 미디어와 소셜 미디어에서 상이한 담론적 양상이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매스 미디어에서는 비거니즘 실천을 평범하지 않은 기행 또는 유행의 일환으로 바라보는 반면 소셜 미디어에서는 비거니즘 실천 사례가 공유되거나 급진적인 논쟁이 벌어지는 담론적 양상을 볼 수 있었다. 한편 분석 결과는 비거니즘이 동물권, 페미니즘 등 한국 사회의 다양한 담론과 비가시적인 형태로 접합하며, 사회운동으로서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함의를 드러냈다. 본 연구에서는 비판적 담론 분석을 통해 동시대 사회에서 비거니즘이 담론적 정당성을 획득하고 확산되는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궁극적으로는 특정한 신념 체계가 사회적 동의를 얻어내고자 하는 과정에서의 이데올로기적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자 했다.

영문초록

This study advances the understanding of veganism discourse in both mass and social media within the South Korean societal framework, as the rising interest in veganism as an alternative lifestyle in Korean society has prompted significant discussions and debates across discursive layers. It examines the process through which veganism discourse is formed as a specific structure of beliefs and practices within the social context of South Korean society. Utilizing the method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CDA), the paper unpacks the implications and patterns of veganism discourse, focusing on newspapers and Twitter. The study aims to capture the interplay of vegan discourse with other societal discourses, including social movements and the dynamics over time.
To accomplish this, the research analyzes related articles from five primary daily Korean newspapers between 2008 and 2021, along with Twitter posts pertaining to veganism. Upon analysis, the research findings highlight that the topics of 'health,' 'consumption,' and 'environment' have prominently featured in the veganism discourse within the Korean digital landscape. While the mass media often portrayed veganism as a transient trend or unconventional behavior, social media exhibited a divided discursive terrain characterized by the sharing of vegan practices and intense debates.
In conclusion, the analysis unveils a significant intersection of veganism with a variety of other Korean societal discourses, such as feminism and queer discourse, taking on less visible forms and implying its potential to catalyze a broader social movement. Through the lens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his study provides an insight into how veganism acquires discursive legitimacy and proliferates in contemporary society, ultimately aiming to contribute to a more nuanced understanding of the complex ideological interaction and dynamics involved in a belief system’s quest for societal consensus and recognition.

비고 : MCM-2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