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영화와 국가 사이의 창의 노동 : 영화진흥위원회 직원의 직업 경험과 정체성
  • 저자명|양소은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3
  • 담당교수|심보선

주제어

국문초록

본 연구는 한국 문화예술 공공기관 중 하나인 영화진흥위원회의 역사적, 구조적 변화를 영화진흥위원회 직원들의 경험을 통해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공공기관 중심의 국내 문화예술 정책 거버넌스 체계와 그 한계를 고찰하며, 한국적 맥락의 창의 노동 관점에서 직원들의 경험 분석을 시도한다.
1973년 설립되어 국가 주도의 영화 정책을 시행해 온 영화진흥공사는 개방화와 신자유주의라는 외부적 환경, 영화산업의 성장과 시민 사회의 요구를 바탕으로 1999년 영화진흥위원회로 새롭게 출범했다. 이는 영화 정책 거버넌스 체계의 대대적 변화 중 하나였을 뿐 아니라, 국가 주도의 한국의 문화예술 정책 체계가 위원회, 공공기관의 민간 전문가 중심의 거버넌스 체계로 변화한 사례였다. 이후 영화진흥위원회는 ‘1999년 체제’를 바탕으로 영화산업계와 협력하며 유의미한 정책 성과를 거둔다. 그러나 2000년대 중반 이후 영화산업 구조는 대기업 중심으로 변화하고 영화진흥위원회의 영향력은 약화된다. 또한 2013년 부산으로의 본사 이전, 2016년 블랙리스트 사태는 영화진흥위원회와 영화계의 관계를 악화시키며 영화진흥위원회의 거버넌스적 역할이 크게 약화된다. 더욱이 2020년 본격화된 코로나19 팬데믹은 극장 산업을 크게 축소 시켰고, 영화진흥위원회는 새로운 정책 방향과 역할을 모색해야 하는 중대한 시기를 맞이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영화진흥위원회가 겪는 거버넌스적 한계가 무엇인지 추적하기 위해 본 연구는 영화진흥위원회 직원들의 경험에 주목한다. 영화진흥위원회 직원들은 오랜 기간 근속하면서 영화 정책에 참여하고, 고민해 온 주체들이기 때문이다. 연구 결과 영화진흥위원회의 직원들은 1999년 체제의 성공을 통해 영화계와 긴밀하게 소통하며 영화인이자, 지원 기관 행정인으로서의 성취감을 쌓아왔지만, 점차 산업과 분리되고, 국가로 인해 그 독립성이 제한되며 자율성과 전문성의 상실을 경험하고 있다. 국가와 영화라는 상이한 세계를 연결하며 역할 갈등을 겪는 모습도 발견되는데 이는 국가 주도의 한국적 창의 산업 환경에서 만들어진 새로운 창의 노동자성으로 해석할 수 있다. 입사 시기와 경험에 따라 직원들의 정체성과 성취감은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으며, 영화진흥위원회의 새로운 정책 방향을 적극적으로 고민하는 모습도 확인할 수 있다.
각 분야의 공공기관을 통해 실현되는 국내 문화예술 정책은 시대의 요구를 반영하여 독립성과 자율성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변모한 듯 보이나 여전히 국가의 개입과 요구를 벗어나기 어려운 제도적 한계를 갖는다. 영화진흥위원회 직원들은 영화계에 대한 지원과 국가의 모순적 요구 속에서 역할 갈등을 경험하고 있으며, 이 속에서 다양한 직업 경험과 정체성을 구성하고 있음이 발견된다.

영문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historical and structural changes of the Korean Film Council, one of the public institutions for culture and arts policy, through the experience of Korean Film Council(KOFIC) employees. Based on this, it examines the limitations of the Korean culture and art policy governance system centered on public institutions, and attempts to analyze the experience of employees from the perspective of creative labor in the Korean context.
Established in 1973 and implementing state-led film policies, Korea Motion Picture Promotion Corporation(KMPPC) was newly launched in 1999 as KOFIC based on the external environment of market opening and neo-liberalism, the growth of the film industry and the demands of civil society. This was not only one of the major changes in the film policy governance system, but also an example of a change from a state-led culture and arts policy system in Korea to a governance system centered on private experts in committees and public institutions.
Since then, based on the '1999 system', the KOFIC has cooperated with the film industry and achieved meaningful policy outcomes. However, since the mid-2000s, the structure of the film industry has changed to center on large corporations, and the influence of KOFIC has weakened. In addition, the relocation of the headquarters to Busan in 2013 and the Blacklist incident in 2016 worse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FIC and the film industry, and the role of the KOFIC in governance was greatly reduced. Moreover, the COVID-19 pandemic, which began in earnest in 2020, greatly reduced the theater industry, and KOFIC has reached a critical time to seek new policy directions and roles.
Based on this background,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experiences of KOFIC employees in order to track down the history and governance limitations of KOFIC. Employees of the KOFIC have participated in and agonized over film policy while working for a long time. As a result of the study, through the success of the system in 1999, KOFIC employees have been communicating closely with the film industry and building a sense of accomplishment as filmmakers and support institution administrators. But they lose their independence from the state and lose their autonomy and professionalism. It is also found that there is a role conflict connecting the different worlds of the state and the film industry, which can be interpreted as a new creative worker character created in the state-led environment of Korean creative industry. The identity and sense of accomplishment of employees are changing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time and their own experience. And it can be seen that KOFIC employees are actively contemplating new policy directions in many ways.
Korean culture and art policies realized through many public institutions in each fields. It seems to have changed in the direction of respecting independence and autonomy by reflecting the demands of the times, but they still have institutional limitations that make it difficult to escape the intervention and demands of the state. KOFIC employees are experiencing role conflicts in the contradictory demands of the state and support for the film industry, and it is found that they compose various job experiences and identities in state-led Korean creative industry environment. Although the identity and sense of accomplishment of employees are changing according to generation and experiences, it can be seen that each employee seeks alternatives and pursues a new policy direction for the KOFIC.

비고 : MCM-2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