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동시대 국악인의 창의 노동 : 다중직업, 불안정성, 자율성
  • 저자명|김예린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4
  • 담당교수|심보선

주제어

창의 노동, 창의 노동자, 다중직업, 불안정성, 자율성, 국악, 국악인, 전통, 전통음악

국문초록

본 연구는 동시대 국악인을 창의 노동 관점을 통해 바라보고자 하였다. 시대적 흐름에 따라 문화 산업이 디지털화되면서 창의 노동은 더 이상 미디어 산업 내에서만 일어나지 않는다. 국악인은 전통음악가라는 이미지에서 벗어나 대중문화산업과 미디어 환경에서도 새로운 시도로 활발한 활동을 보여주며 자신의 창의성을 바탕으로 창작음악을 생산하는 일뿐만 아니라 방송, 유튜버, 교육자 등 유동적인 노동 형태를 수행하는 다중직업 종사자이다. 다만 이들을 새로운 예술적 가치를 창출하는 창의 노동자보다, 전통음악을 계승 및 전승하는 존재로 바라보는 시각 또한 존재한다.
이는 무형문화재로서 보호되는 국악의 장르적 특수성에서 기인한다. 창의 노동 개념을 통해 국악인을 조명하는 것은 전통의 위계가 작동하는 국악계와 새로운 콘텐츠 생산에 기반한 문화산업 사이에 자리 잡고 있는 국악인의 이중적이고 불안정한 노동 및 창작 환경을 잘 드러내 줄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악인을 다중직업 창의 노동자로 규정하여 국악인들의 다중 노동 형태를 이해하고 이들이 어떻게 문화산업과 전통 국악계 사이에서 자율성을 조율하고 타협하며 불안정한 노동 상황에 대처하는지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세 가지 측면의 연구 질문을 설정하고 10명의 국악인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첫 번째 연구 질문은 “창의 노동자로서 국악인의 다중직업은 어떻게 구성되고 연계되는가?”이다. 두 번째 연구 질문은 “창의 노동자로서 국악인이 다중직업을 가지며 문화 산업 내에서 인식하는 불안정성은 무엇인가 그리고 어떻게 수용하는가?”이다. 세 번째 연구 질문은 “ 문화 산업 내에서 창의 노동자로서 국악인의 자율성은 어떻게 타협되는가?”이다.
국악인의 창의 노동 분석 결과는 크게 다중직업, 불안정성, 자율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로,
국악인의‘전통음악 일’과 ‘창작음악 일’을 구분하여 활동하는 것은 창의 노동자로서 국악인의 중요한 특징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악인의 불안정성은 ‘경제적 불안정성’,‘커리어 불안정성’,‘정체성 혼란’으로
파악 된다. 문화산업의 불확실한 노동 환경은 안정적인 커리어와 경제적 보상을 받기 어렵게 만들었으며 국악인은 더 많은 다중직업을 갖게 되었다. 이에 따라 국악인은 여러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되었고 이는 다시 정체성 혼란으로 이어지고 있었다. 셋째로, 국악인의 자율성은 전통 국악계의 권위보다 자신의 창작에 주안점을 두며 자기 결정권을 강화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원형주의로부터 창작의 자유'와 '상업적 시장의 압박에서의 자유'가 동시에 교차한다는 지점이 여타 창의 노동자의 자율성과 가장 다른 차이점이다. 이러한 자율성을 유지하기 위한 타협의 전략은 '국악의 원형주의'와 '상업적 시장의 요구'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눠 볼 수 있었다. ‘전통음악 일과 창작음악 일을 병행’하는 것이 국악의 원형주의에서의 자율성을 유지하는 핵심 방안으로 나타났으며, 상업적 시장에서 자율성을 타협하는 방안으로는‘자신만의 장르 구축’, ‘자체적 음반 제작과 유통’, ‘해외 시장 진출’과 같은 전략적 방안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 연구는 국악계의 풍토와 창작환경의 변화에 국악인들이 어떻게 적응하고 또한 새로운 시장과 창작물을 개척하는지 보여준다. 이는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국악인의 면모라는 점에서
논문의 의의를 지닌다. 또한 사회문화적으로 중요한 연구 주제인 창의 노동이 가진 한계와 가능성을 국악인이라는 대상 속에서 심층적으로 탐구하려는 시도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contemporary Korean traditional musicians from the perspective of creative labor. With the digitalization of cultural industries in line with the contemporary trend, creative labor is no longer confined solely to the realm of media industries. Korean traditional musicians, moving beyond the image of traditional musicians, engage in diverse activities not only in creating music based on their creativity but also in various fluid forms of labor such as broadcasting, YouTube content creation, and education within the popular culture industry and media environment. However, there exists a perspective that views them not as creative laborers generating new artistic values but as entities preserving and transmitting traditional music, stemming from the specificit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being recognized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Korean traditional musicians as multi-job creative laborers, understand the various forms of their multi-faceted labor, and analyze how they navigate and cope with the dual and unstable labor and creative environments situated between the traditional Korean music industry and the emerging content production within the cultural industry.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formulat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n Korean traditional musicians.
The first research question examines how the multi-job creative labor of Korean traditional musicians is structured and interconnected. The second question investigates how these musicians accommodate the instability of their multi-faceted labor. The third question explores how autonomy as creative laborers within the cultural industry is negotiated.
The analysis of the creative labor of Korean traditional musicians can be broadly categorized into three aspects: multiple jobs, instability, and autonomy. Firstly, distinguishing between ‘traditional music activities’ and ‘creative music activities’ emerged as a significant feature of Korean traditional musicians as creative laborers. Secondly, the instability experienced by these musicians can be seen as economic instability, career instability, and identity confusion. The uncertain labor environment within the cultural industry made it challenging to achieve stable careers and economic rewards, leading Korean traditional musicians to undertake multiple jobs, resulting in identity confusion. Thirdly, autonomy for Korean traditional musicians involves prioritizing their creative work over the authority of the traditional music industry, enhancing their decision-making power. The intersection of 'freedom from traditional conservatism' and 'freedom from commercial market pressures' stands out as a distinct difference from the autonomy of other creative laborers. The strategies to maintain this autonomy can be divided into two aspects: maintaining autonomy within the traditional framework by balancing ‘traditional music activities and creative music activities’ and compromising autonomy in the commercial market through strategic approaches such as ‘building one's own genre,’ ‘producing and distributing independent albums,’ and ‘expanding into foreign markets.’
This study illustrates how Korean traditional musicians adapt to the changing landscape of the traditional music industry and creative environment, exploring new markets and creative works.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lies in shedding light on aspec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ians that have been overlooked until now. Furthermore, it delves deep into the subject of creative labor, a socially and culturally significant research topic, within the context of Korean traditional musicians, highlighting both its limitations and possibilities.

비고 : MCM-24.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