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군대 조직문화와 역할 인식 변화 연구 : 해군 미디어 생산 조직 구성원들을 중심으로
  • 저자명|조유진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4
  • 담당교수|정재현

주제어

군대, 조직문화, 역할 인식, 미디어 생산, 소셜 미디어, 미디어 불확실성, 군대사회학

국문초록

본 논문은 군대는 국가 수호를 위한 임무 특성으로 인해 구성원들의 헌신과 희생을 요하는 성격을 가지고 있으나, 일반 사회와의 연결성이 강해지면서 이와 다른 새로운 가치관이 다수 유입되는 맥락에서 출발한다. 일반 사회와 군대의 접촉면이 넓어짐에 따라 사회의 영향을 받아 변화하는 군의 조직문화와 역할 인식을 좀 더 깊게 이해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외부와의 상호작용이 활발한 조직인 해군의 미디어 생산 조직을 대상으로 삼아 해당 조직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는 현역 및 예비역 장병과의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먼저, 군대를 정의하는 두 가지 특성인 공공조직주의적, 직업주의적 군대의 측면에서 구성원들의 역할 인식이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미디어 생산 조직의 구성원들은 자신의 역할을 군인으로서의 자아가 주가 되는 ‘미디어 생산 용역자’나 창작자가 주가 되는 ‘군대 콘텐츠 생산 전문가’로 바라보고 있는데, 이는 각각 공공조직주의적 특성과 직업주의적 특성을 강하게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양 특성은 구성원들이 자신의 역할 인식을 정립해가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미디어 생산 조직의 구성원들은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구성원들을 포용하며 외부 사회와의 간극을 줄이기 위하여 군대의 조직문화를 느슨하게 유지하려는 움직임을 보인다.
이는 수평적 집단주의와 숨겨진 위계성이라는 조직문화로 나타난다. 집단주의는 여전히 중요한 문화로 기능하고 있으나 형성 방식이 구성원들의 동질감에 의해 수평적으로 형성되고 있었으며, 위계성은 구성원들에게 자율성을 부여하기 위해 한발 뒤로 물러나 있는 모습을 보인다.
본 연구는 군대의 미디어 생산자로 역할하는 군인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담아내었으며, 군대 조직이 일반 사회의 가치를 받아들여 변화하는 역동적인 과정을 군 내부의 시각으로 조명하여 군에 대한 이해를 더한 것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초록

This paper originates from the nature of the military's mission for national defense, which demands dedication and sacrifice from its members. However, as connections between the military and society grow stronger, new values distinct from these demands emerge. In this context, the study aims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the evolv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role perceptions within the military, influenced by societal changes. To achieve thi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both active-duty and reserve soldiers who have experience working within the Navy's media production unit?a highly interactive organization that frequently engages with the external environment.
Initially, the study examined how members' role perceptions manifest within the military's characteristics, namely, its public-service-oriented and professional aspects. Members within the media production unit perceive their roles either as 'media service providers' where their identity as soldiers takes precedence or as 'military content production experts,' emphasizing respectively the public-service-oriented and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However, these characteristics continuously influence members' establishment of their role perceptions. They exhibit tendencies within the media production unit to embrace individuals with diverse characteristics and maintain a loosely defined military organizational culture to bridge the gap with the external society.
This is manifested in an organizational culture of horizontal collectivism alongside underlying hierarchical features. Collectivism remains a significant cultural aspect, but it is horizontally shaped by members' sense of belonging, while hierarchy seems to take a step back to grant autonomy to members.
This paper captures the vivid voices of soldiers acting as media producers within the military. By shedding light on the dynamic process of the military embracing societal values and evolving, the study contributes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military from an internal perspective.

비고 : MCM-24.2-04